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압축적 근대성과 한국여성상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와 공지영의 [즐거운 나의 집]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연나탈리

Advisor
은기수
Major
국제학과(한국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12. 2. 은기수.
Abstract
1961년부터 1979년까지는 한국이 경제적인 성장을 위한 결정적인 정치적 선택과 결정들이 만들어지고 극적인 경제발전을 달성하는 가운데 한국의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많이 기울여졌던 시기로 보인다. 하지만 국민소득을 87달러에서 1,644달러로 약 19배로 끌어올린 약 20년간의 짧은 통치기간에 이루어낸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심각한 정치, 경제, 사회적 결함들이 숨겨져 있었다. 32년이 지난 지금 한국은 빠른 경제성장이 만들어낸 부작용들을 주목하는 것으로 보인다. 급격한 사회변동 속에서 한국의 여성상 역시 나라의 경제발전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여왔다. 빠른 경제성장이 엄청난 사회변화와 이에 따른 부작용을 낳은 것과 마찬가지로 이에 따른 여성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여성들과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후유증이 누적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여성과 한국사회변동간의 관계, 특히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성에 의한 한국여성상에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사회가 추구해온 급속한 물질적 확대재생산중심의 압축적 근대화 과정과 근대한국여성간의 관계를 압축적 근대성의 개념을 사용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 한국여성의 대표적인 문제로 보이는 양면 가치성 문제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60년 이후 지금까지 한국사회가 경험했던 사회변동과정을 설명하는 압축적 근대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성요인이 한국여성의 양면 가치성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인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성요인을 한국여성상에 내재하고 있는 원인과 효과측면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인 재구성으로 새로 구축된 이론적인 분석틀은 신경숙의 [어머니를 부탁해]와 공지영의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소설 속 여성인물들을 분석하는 토대가 되어주었다. 분석의 최종적인 목표는 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인물들을 통해 가정되는 여성들의 양면 가치성 문제를 경험적 가정에서부터 이론화시키는 것이다. 이론적 재구성을 통해서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성에서 한국여성의 압축적 근대성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틀을 이용해 두 소설 속 여성인물을 관찰한 결과 한국여성의 양면 가치성 문제의 측면에서 한국여성의 압축적 근대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불연속적인 인과관계에 따른 초고속 효과를 바탕으로 한 한국여성의 압축적 근대성은 구체적으로 세대간의 불연속성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들은 여러 이념들을 순차적으로 거치지 않음으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할 수 밖에 없으며 제도적인 측면의 불연속적인 세대관계는 여성들이 이들에게 변함없이 존재하는 가족에게서 도피처를 찾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회는 불안정한 환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현대 여성들이 사회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가족의존적인 행동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복합•부분적인 인과관계에 따른 우발적 다원성을 바탕으로 한 한국여성의 압축적 근대성은 구체적으로 여성의 가족의존적 정체성확립 즉, 기능적 과부하 현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우발적인 다원성 현상은 근대적인 현모양처 개념을 만들어냈다. 유교적인 열녀효부와 근대적인 현모양처의 개념의 적대관계는 부정합성의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결과적으로는 발전적인 여성의 가족 내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소설 여성인물들이 보여주듯이 자기실현보다 가족의존적이며 가족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려는 경향이 컸다.
셋째, 압축적 인과관계에 따른 전통-현대/토착-외래요소의 적대관계를 바탕으로 한 한국여성의 압축적 근대성은 구체적으로 여성 가치관의 비일치성에서 나타난다. 한국사회에서 여성 개인주의 결혼관이 일반화된 것은 누구나 동의하겠지만 이 결혼관은 여성들의 적극적인 개인주의화의 실현보다는 사회적 계층질서의 재생과정에서 파생된 여성들의 수동적 반응인 것으로 보여진다. 현대/토착-외래요소의 적대관계는 한국여성들에게 있어서 신유주의적 결혼관으로 나타나는데 서구적인 개인주의화 결혼관과 전통유교적인 사회적인 의무로서의 결혼관이 적대관계를 이루면서 여성들에게 이중적이며 불안정한 이념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분석된 두 소설을 근거로 한국여성의 양면 가치성 문제는 부분적으로 압축적 근대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면적인 가치관은 오늘날 한국여성들의 이념형성에 불균형성과 혼란을 가져다 준다. 결론적으로 여성들은 표면적으로는 개인주의화된 생활을 하는 것 같으면서도 동시에 가부장적 체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게 한국 여성상에는 전통적인 특수성과 근대적 특수성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South Korea in the 60s and 70s strived to match the level of modernization of Western societies by concentrating its policy in substantially growing and modernizing its economy. However, the 20 years of national attention given to economic growth to increase GDP from USD 87 to USD 1,644, effectively increasing GDP by 19-fold, failed to recognize the various side effects it brought to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nly 32 years later, Korea is finally focusing on addressing these side effects. Image of Korean women also quickly changed and developed just like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Korea experienced. Parallel to the side effects caused by dramatic economic development, the sudden change of the image of Korean women has allowed the accumulation of serious side effects for Korean women and their environment.
The following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men and the change in Korean society, and especially the influence of Koreas compressed modernity on the image of women. It attempts to outline and prove the changes seen in Korean women based on the framework of compressed modernity. It also illuminates the problem of value ambivalence which appears to be a representative problem of modern Korean women.
For this research, the general idea of Compressed Modernity is introduced which explains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fter 1960. On this basis, the influence of Compressed Modernity on the modern image of women is examined using a theoretical restructuring. As a subject of analysis two popular novels [Please look after Mom] by Kyung-Sook Shin and [My Sweet Home] by Ji-Young Kong were chosen. The final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and identify the problem of value ambivalence and Compressed Modernity in Korean Women through the novel's female characters and to finally form a theory from the former empirical assumption. Compressed Modernity in modern Korean women from the value ambivalence aspects point of view is found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ompressed Modernity as follows:
First, the discontinuous relationship from the high-speed effect manifests itself specifically as a discontinuity between the generations phenomenon representing the first aspect of Korean Womens Compressed Modernity. Not going through the sequential order of several modernization ideas and concepts makes Korean women mentally insecure. Gaps from discontinuous development in institutional matters constantly exist between the generations forcing women to seek refuge in family. Society becomes an unst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an identity of the modern woman becomes more difficult while women show an increasingly family-dependent behavior.
Second, the complex causation and the resulting accidental partial pluralism effect manifests itself specifically as family dependent identity establishment and functional overload phenomenon representing the second aspect of Korean Womens Compressed Modernity. The aspect of accidental partial pluralism has created the modern idea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hyun-mo-yang-cheo). Modern Korean women build their identity by taking roles of mothers and wives instead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identity.
Third, the compressed causation and resulting traditional-modern/native-foreign contrasting effect manifests itself specifically as Korea Women's discordance in values. Getting married in Korea should be a matter of individuality. Nevertheless, this seems to be not an expression of individuality, but a passive response to the regeneration process of social hierarchy and order. The traditional-modern/native-foreign contrasting aspect manifests in Korea womens Neo-Confucian values in marriage. Western liberal values and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form a hostile relation and cause unbalanced and insecure core values in marriage.
In conclusion on the analytic basis of the two novels, compressed modernity is partially inherent in the value ambivalence problem of modern Korean women. On the surface Korean women lead an autonomous life but in fact at the same time they support the patriarchal system. Korean women personify a synthesis of traditional and modern characteristic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71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0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