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족 돌봄제공자의 노인 돌봄비용과 돌봄비용부담감 관련요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은솔

Advisor
김홍수
Major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김홍수.
Abstract
인구 고령화, 부양의식의 변화에 따라 노인 돌봄의 사회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였고, 2008년 7월부터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었다. 이후 공식적인 돌봄 측면의 발전은 두드러진 반면, 비공식적 돌봄에 대한 지원이나 정책 수립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고, 재정 부족, 사회적 비용 억제, 비시설화 경향으로 가족돌봄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비공식적 돌봄 영역의 확대를 위해 가족돌봄제공자에 대한 적절한 지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가족돌봄제공자의 노인 돌봄비용과 노인 돌봄비용부담감의 관련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Aneshensel 등(1995)의 돌봄 스트레스 과정 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일차적 스트레스요인, 이차적 스트레스요인, 대응 및 사회적지지가 돌봄비용 및 돌봄비용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자료를 이용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자료는 2006년 가족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허약노인을 이용하였고,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서울,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과 가족 400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돌봄노인은 일상생활수행에 돌봄을 필요로 한 자이며, 가족은 노인과 함께 거주하면서 직접적인 돌봄 제공자로 정의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은 SAS 9.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 일반적 특성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일차적 스트레스요인, 이차적 스트레스요인, 대응 및 사회적지지에 따른 돌봄비용 및 돌봄비용부담감 관련요인을 살펴보고자 단변량 분석과 위계적인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량 분석을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다변량 분석시 해크만 모형과 순서형 프로빗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인으로는 돌봄노인의 특성이 일차적 스트레스요인에 포함되었고, 가족돌봄제공자의 특성, 돌봄 노인과의 관계, 가족갈등, 돌봄기간, 주관적 건강상태는 이차적 스트레스요인에 속하였다. 대응 및 사회적지지에는 부돌봄자, 돌봄시설 및 서비스이용, 가족 및 친척지원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돌봄비용 유무와 관련된 요인으로 가족돌봄제공자의 소득과 돌봄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노인 돌봄비용수준의 관련 요인으로 배우자, 소득, 직업, 돌봄시설 및 서비스 이용, 가족 및 친척 지원, ADL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유배우자 그룹에서 돌봄비용 지출수준은 낮아지며, 소득이 150만원이상인 그룹, ADL제한이 많을수록 돌봄비용은 높아졌으며, 돌봄시설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가족 및 친척 지원이 있을 경우 돌봄비용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노인 돌봄비용부담감 유무 관련 요인으로 가족돌봄자의 성별, 소득, 가족 및 친척 지원, 가족갈등, 돌봄기간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노인 돌봄비용부담감 수준 관련 요인으로는 가족 및 친척 지원과 돌봄노인의 성별, 가족돌봄제공자의 배우자유무, ADL, 가족갈등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가족 및 친척 지원이 있는 경우 돌봄비용부담감이 낮았고, 돌봄노인의 성별이 남성일 경우 돌봄비용부담감이 높아졌다. ADL제한이 많아지거나 가족갈등이 있을 경우 돌봄비용부담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셋째, 돌봄비용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돌봄노인과의 관계가 친척인 경우보다 배우자 또는 며느리가 돌봄비용부담이 높았다. 특히, 며느리가 자녀에 비해서 돌봄비용부담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요인들을 통제한 뒤에도 돌봄비용이 돌봄비용부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돌봄비용의 영향요인과 돌봄비용부담감의 영향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소득, 돌봄기간, ADL제한, 가족 및 친척의 지원이 객관적/주관적 부담 모두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객관적 부담에는 추가적으로 가족돌봄제공자의 직업, 돌봄시설 및 서비스이용이 중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부담에는 가족돌봄제공자의 성별과 배우자 유무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특성과 가족돌봄자의 특성, 그리고 부담의 객관적/주관적 측면을 고려한 노인 가족돌봄자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necessities for elderly patients has increased due to the change in thoughts about care-giving in a growing elderly population. From September 2008,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as enacted. Contrary to the developments in formal caregiving, the support and policies for informal caregiving has been lacking. Due to the financial burden on health insurance system, demand for reducing the social costs and the trend towards deinstituionalization, the role of informal caregiving became important. To expand this informal caregiving, proper support and policies are necessary.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sts and cost burdens of family caregiving for the elderly. Guided by Aneshensel's Caregiving Stress Process Theory(1995), the study examines how primary stressor, 'secondary stressor' and 'cop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costs and cost burdens.
I used the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in 2006. The study sample included 400 elderly in needs of assisted living and 400 of family caregivers providing direct care.
I analysed the data through SAS 9.0 statistical programs. I compared variables in primary stressor, secondary stressor, and coping and social support and costs/cost burdens with t-test and ANOVA. I then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ors of spending costs and cost burdens. Heckman two-stage was performed for detecting indicators of costs. Lastly, I used ordered probit model for cost burdens.
The primary stressor include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DL dependencies, and disease status. The second stressor includes socio-economic variables of family caregi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family caregivers and the elderly family member, family conflict, care period,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family caregiver. The coping and social support includes social program usage and facilities, the existence of the secondary family caregiver and relatives, support of family or rel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osehold income, care period, ADL dependencies, and support of family and relativ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both cost and cost burden. Job, social program usage and facilities were significant only to costs. Sex of family caregiver and spouse of family caregiver were significant variable to cost burdens.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several factors affecting costs and cost burden. The results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tical methods for the relief of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in long-term care plan in Kore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1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2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