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 여성에서 혈청 matrix metalloproteinase-2와 유방암 예후와의 연관성 연구 :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survival of breast cancer among Korean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난

Advisor
서영준
Major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2012. 2. 서영준.
Abstract
연구 목적: 유방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수술 전 혈청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가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는 바이오 마커로 작용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자는 조직학적으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중 유방 절제술을 받은 환자 3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환자로부터 수집된 혈액에서 혈청을 추출하여 효소 결합 면역 흡수 측정 검사 (ELISA)를 통해 MMP-2의 양이 측정되었다. 수집한 환자군의 총 추적기간은 4.24년 이었다. MMP-2와 임상 병리학적 요인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이것을 고려하여, MMP-2와 유방암의 예후에 관한 생존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TNM 단계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상태를 보정한 다 변량 분석을 통해 유방암의 예후를 알아본 결과 MMP-2가 가장 높은 군에서의 무 질병 생존률이 MMP-2가 가장 낮은 군에서의 무 질병 생존률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HR=1.80, 95% CI-1.04-3.11) 하지만, 진단 시 나이, 조직의 분화 정도에 따른 등급, 핵의 변화에 따른 등급,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상태는 MMP-2의 양과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층화 분석 결과, 예후가 안 좋은 것으로 알려진 인자들을 가진 환자군 에서만 MMP-2의 양이 증가 할수록 무 질병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에스트로겐 음성, HR=2.75, 95% CI=1.32-5.73, 조직의 분화 정도에 따른 등급 III, HR=2.90, 95% CI=1.42-5.92, 핵의 변화에 따른 등급, HR=2.61, 95% CI=1.26-5.39).

결론: 예후가 안좋은 것으로 알려진 인자를 가진 환자들에서의 수술 전 혈청 MMP-2가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는 바이오 마커가 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Objective: We evaluated whether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work as a prognostic biomarker in breast cancer prognosis.

Methods: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MMP-2 were measur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303 histologically confirmed breast cancer patients. The follow-up time for all patients was 4.24 years. The relationship of MMP-2 to survival was investigated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the TNM stage and estrogen receptor (ER) status.

Result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disease-free survival (DFS) was worse among patients with the third tertile of MMP-2 compared to the first tertile of MMP-2 (hazard ratio (HR)=1.80, 95% confidence interval (CI)=1.04-3.11, P=0.04). However, when the patients were stratified by age, ER status, histological grade, and nuclear grade, invers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rum MMP-2 levels and prognostic factors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MMP-2 and DFS were only significant among patients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HR=2.75, 95% CI=1.32-5.73 in ER negative, HR=2.90 and 95% CI=1.42-5.92 in histological grade III, and HR=2.61 and 95% CI=1.26-5.39 in nuclear grade III).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MMP-2 were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of breast cancer, especially in higher histological grade, higher nuclear grade, or ER negative breast cancer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6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6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