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고용 중심지 탐색과 접근성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성

Advisor
신정엽
Major
사회교육과(지리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12. 2. 신정엽.
Abstract
도시 공간 구조는 도시의 물리적 형태와 시민의 사회 경제적 활동 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형성된다. 이러한 도시 공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실제 도시에서 생활하며 도시 공간 구조를 만들어 가는 도시 인구와 생산 활동의 패턴을 설명하는 고용의 집중과 분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 고용 중심지 성장과 관련하여 주목하여 볼 것은 고용 중심지에서 활동하는 사람의 통근 통행이다. 왜냐하면 고용 중심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의 통근 통행을 통해서 역동적인 도시 공간 구조를 살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공간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보다 적절한 지표를 이용하여 고용 중심지를 탐색하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고용자들의 통근 통행을 기반으로 고용 중심지로의 접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를 사례로 고용 중심지 탐색 기준을 선정한 후 서울시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시의 공간 특성은 고용 중심지를 구성하고 있는 산업 특성을 분석하고, 고용 중심지의 접근성을 분석한다.
기존 고용 중심지 탐색 방법에 관한 연구에서 이용된 고용 밀도 기준을 대신 E/R(거주자 대비 고용자 수) 지표를 서울시 고용 중심지를 탐색하는데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E/R 지표는 주거와 고용 관계를 고려한 E/R 지표를 이용하여 통근 유입 지역으로서 고용 중심지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고용자를 끌어들이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E/R 지표가 보다 실질적인 고용 중심지를 찾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총 고용자 수와 주거-고용 관계를 고려한 고용 중심지의 탐색 방법을 찾아 서울시 고용 중심지 탐색에 적용한 결과 도심, 강남, 영등포 등 3개의 주요 고용 중심지와 12개의 소규모 고용 중심지가 탐색되었다. 또한 고용 중심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시민의 통근 통행을 통하여 본 고용 중심지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비슷한 규모의 도심과 강남 고용 중심의 접근성이 이질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의의는 서울시의 공간 구조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실질적인 고용 중심지 탐색 방법을 제안하고, 고용 중심지의 통근 통행에 따른 접근성을 분석함으로써 각 고용 중심지의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는 것이다.
The form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refl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ysical structure of city space and the socio-economic activities of people. In order to describe urban spatial structure, understanding the population forms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concent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employment explain the pattern of producing activities is crucial because cities pose a more polycentric form, which is caused by the dispersion of the employment and the population.
The study of commuting trip yields insights into employment centers characteristic. Observing the movement of labors into employment centers enables exploring dynamic urban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mpirical criteria for the identification of urban employment centers.
It is suggested that gross employment and the employment-resident ratio are better measures to identify employment centers in Seoul.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accessibility of identified employment centers to observe how well the commuting patterns reflect the corresponding urban spatial structure.
As a result, identified employment centers in Seoul are composed of 3 main centers-Dosim, Gangnam, Youngdengpo- and 12 small subcenters. Dosimcenter and Gangnamcenter are similar in the perspective of size. However, the commuting trip-accessibility based analysis reveals that Dosimcenter and Gangnamcenter are heterogeneou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7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1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