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북아시아 묏미나리와 신감채의 실체에 대한 분류 연구 : Taxonomic study of Ostericum sieboldii and O. grosseserratum in eastern Asia
플라보노이드 및 다변량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장진성
- Major
-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 Issue Date
- 2012-0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2012. 2. 장진성.
- Abstract
- 묏미나리속의 신감채와 묏미나리, 강활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을 위하여 flavonoids 성분을 분석하고 형태 형질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신감채외 묏미나리 및 4종의 다른 묏미나리속 식물들에서 총 15개의 flavonoids가 동정되었고, 주요 성분들은 apigenin과 luteoline의 flavones 계열의 성분과 kaempferol과 quercetin의 flavonol 계열의 성분이었다. 신감채에서는 flavonol 성분이, 묏미나리에서는 flavones 성분이 나타나서 화학적으로 명확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형태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단변량분석으로 각각의 분류군이 화서의 크기와 총포의 개수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묏미나리의 경우 지역과 식물의 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화학성분이 나타났는데 한국 및 일본 남부에서 채집된 식물의 잎에서는 flavone이, 꽃에서는 flavone과 flavonol이 동시에 나타났고 일본의 혼슈에서 채집된 식물의 잎과 꽃에서는 모두 keampferol 계열의 flavonol만 검출되었다. Luteolin의 유무에 따라 묏미나리의 화학형 그룹을 비교해보았을 때 기존에 종이하 분류군을 구분하는 잎과 관련된 형질에서는 두 그룹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연속변이를 보였다. 따라서 잎의 형태로 구분되었던 나머지 묏미나리의 종이하 분류군은 다년생 초본에서 보이는 발달 변이로 보고 묏미나리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야생에서 생육하거나 재배되는 강활의 형질을 묏미나리, 신감채와 비교하였을 때, 잎과 관련된 형질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화서가 훨씬 크고 소산경의 개수가 다른 두 종보다 많다는 점에서 뚜렷하게 구분되며, 형태적인 특징에 의하여 왜천궁(Angelica genuflexa)과 동일한 식물임을 확인하였다.
Flavonoid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axonomic identities of Ostericum grosseserratum, O. sieboldii, and Angelica genuflexa. A total of 15 flavonoid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six taxa of genus Ostericum (Apiaceae), mainly flavones (apigenin and luteolin) and flavonols (kaempferol and quercetin). The relatively simple flavonoid profiles showed distinct differentiation between Ostericum grosseserratum containing only flavonol and O. sieboldii containing flavones and flavonol compounds. These two species showed distinct morphological difference in umbel size and bract number. In the case of O. sieboldii, flavonoid patterns varied not only in different organs but also in different localities. Leaf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from Korea and southern Japan represented flavone and floral materials in the same place above contained flavone and flavonol compounds; however, the floral and leaf material O. sieboldii from Japan (Honshu) contained only kaempferol-type flavonol. There were no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chemical type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O. sieboldii should be recognized as one polymorphic species. Compar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O. praeteritum with O. grosseserratum and O. sieboldii, clear distinction could be found in their umbel size and ray number, and O. praeteritum were recognized as synonym of Angelica genuflexa.
- Language
- kor
- URI
- https://hdl.handle.net/10371/154990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02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