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hanges in the Form of the Entrance Corridor to : 서울 역사의 핵심적인 주진입도로의 변화상에 대한 연구: 1910년대부터 현재까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카터스미스

Advisor
김성균
Major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2. 2. 김성균.
Abstract
본 연구의 초점은 서울의 핵심적인 주진입도로인 숭례문에서 시작하여 경복궁 정문, 그리고 태평로에서 세종대로에 이른다. 본 도로들은 現서울의 역사적 공간으로 통하는 대표적 주진입도로들이다. 본 도로들은 공간 사용자들의 체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기능과 역사적인 특수성 때문에 본 도로들은 서울, 심지어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로로 알려져 있다.
서울은 매우 극단적인 근대사를 거쳐 왔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본 도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근대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1910년 8월 22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의 일제강점기
2.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의 한국전쟁
3. 한국전쟁 종전 후부터 현재까지의 급격한 경제발전

위의 사건들을 바탕으로 한 서울의 형태를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의 역사적인 발전 단계를 보여주는 Historic maps들이 작성되어졌다. 이 지도들은 현재, 1960년대, 1946년대 그리고 1910년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서울 역사로의 입구적인 역할을 하는 주진입도로는 특별한 개성을 지닌다. 그리고 공간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는지를 보여주고, 동시에 본 공간의 사용자들이 겪었던 체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러한 개성들은 각각 시간대 순으로 측정되고 분석되어졌다. 공간 분석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전체 공간의 면적
도로의 폭
블록(block)의 길이
교차로의 너비
교차로의 수 및 빈도
다중 교차로
도로의 vector 각도
도로의 폭과 광장의 폭의 비율

공간의 물리적 환경과 그 특수성을 시간대순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공간이 지닌 공간성과 역사적인 사진에서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세종대로와 태평로의 시간대별 대표적인 단면도들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단면들과 기존의 분석들을 바탕으로 본 공간과 공간 사용자들의 체험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 단면과 수치를 파악하고자 세종대로부터 태평로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인 사진 자료들과 지도 자료들이 사용되어졌으며, 본 연구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 사용자들이 체감한 공간성의 변화를 제시해 줄 것을 기대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1910년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두 공간의 분석은 각 시대별 공간적 특성과 해당 특성 사이의 그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분석 자료는 시간에 따른 공간의 통일성과 전문성의 증가를 보여준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대표적인 단면도는 공간 스케일의 다양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가적인 인프라 스트럭쳐의 변화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분석은 서울 역사의 핵심적인 주진입도로의 각각 다른 역사적 배경을 지닌 시간에 따른 발전상을 제시한다. 향후 추가되는 연구에 있어, 본 논문은 지역의 발전에 따른 도시의 형태와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동시에 타문화의 도시 문화유입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전통적인 토착 도시의 형태와 구조를 근거로 한 발전 단계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a stretch of road within the historic city of Seoul, South Korea,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entrance corridor to Seoul's historic core. As such, it serves as the main entrance to this area of the city and strongly affects the way that users experience the space. Because of this function and it's historic nature, this road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n the city of Seoul, if not the whole of Korea. It runs from Seungnyemun to the front gate of Gyeongbokgung and is made up of Taepyeongno and Sejongdaelo.
The modern history of the city of Seoul has seen dramatic events which have shaped the current form of the city. These events are broadly group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from 22 August 1910 until
15 August 1945
2. The Korean War from 25 June 1950 until 27 July 1953
3. The period of rapid industrialization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until the present time

Historic maps are chosen to show the form of Seoul at snapshots between these events. They date from: the present time, 1960, 1946, and 1910. The spatial dimensions of the main entrance corridor to Seoul's historic core are then measured and analyzed at each time period in order to discover the ways in which the space has changed and developed in response to each of these events and to develop a picture of the users experience of this space at each different time period. The spatial analysis conducted considers the following dimensions of the space:

Total Area
Street Width
Block Length
Width of Crossroad Intersections
Intersection Frequency
Multi-Crossroad Intersections
Street Vector Angles
Street-Plaza Width Ratio

The dimensions of the space are combined with evidence from historic photographs to create representational cross sections of Sejongdaelo and Taepyeongno respectively at each time period in order to consider the structure and relative specialization of the space by time period. Finally, the results are analyzed in order to show the changes in the space and in the users experience of it over time.
In addition to th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t each time period and the changes from one time period to the next, the spatial analysis shows the general increase in uniformity and specialization of space throughout the length of both roads that occurred from 1910 through the present time. The representational cross sections show the variations in the scale of the space and the additional infrastructure which was added over the time period under review. Finally, analysis in this study is offered as a record of the development of the entrance corridor to Seoul's historic core under the different influences which were dominant in each time period. With the addition of further research, this record can contribute to a process which can identify urban forms and structures based on local processes of development and those which were imported from other cultural traditions. As such, it can contribute to a process of experimentation in developing modern urban forms based on a traditional vernacular urban structure.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05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5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