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olyyne을 포함한 해양천연물 Trocheliophorolide D의 전합성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현

Advisor
김상희
Major
약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2. 2. 김상희.
Abstract
2001년, Řezanka와 Dembitsky는 연산호인 Sarcophyton trocheliophorum과 Lithophyton arboretum으로부터 불포화 탄소사슬을 가진 butenolide 계열 화합물들을 분리하여 보고했다. 이 화합물들은 brine shrimp의 독성 평가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 새로운 화합물들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Trocheliophorolide D를 합성적 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합성의 핵심 반응은 butenolide 고리의 형성을 위한 borane을 이용한 aldol 반응이다. 또, skipped diynes을 구축하기 위한 cupper를 이용한 coupling 반응, P-2 nickel을 이용한 내부 삼중결합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 그리고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polyynes을 합성하기 위한 두 단계의 순차적 homologation 반응이 이용되었다.
합성된 화합물의 NMR 자료는 보고된 천연물의 NMR 자료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천연물의 제안된 구조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2001, Řezanka and Dembitsky isolated several butenolide lipids from the soft corals Sarcophyton trocheliophorum and Lithophyton arboreum, which were collected in the Red Sea. These marine natural products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ly Gram-positive bacteria and are toxic to brine shrimp. Among these natural products, we chose Trocheliophorolide D as synthetic target.
Our synthesis features the construction of the 2-butenolide moiety by using a borane-mediated aldol strategy. Also cupper-mediated cross-coupling rea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skipped diyne, regioselective hydrogenation of internal triple bond and sequential homologation of acetylene units were used.
The present work suggests an incorrect assignment of the reported structure for trocheliophorolide 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18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2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