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관한 연구 : The rediscovery of predictor variables of family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usage
소셜 미디어 이용을 통한 가족 커뮤니케이션 예측변인의 재발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염리리

Advisor
강남준
Major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2. 2. 강남준.
Abstract
국문초록


이 연구는 미디어 이용구도의 변화를 가져 온 소셜 미디어의 출현이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20-30대 젊은 층의 사람들이 미디어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미디어 이용이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 그리고 가족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는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미디어 이용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즉, 소셜 미디어 이용, 기존 미디어, 그리고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하나의 그림으로 묶어 함께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다중 미디어 이용의 시각에서 접근하였고 소셜 미디어 이용과 기존 미디어 이용의 관계, 소셜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 가족 커뮤니케이션 형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예측변인의 존재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1. 소셜 미디어 이용은 기존 미디어 이용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연구문제2. 소셜 미디어 이용은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유형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연구문제3. 가족 커뮤니케이션 유형(RFCP), 소셜 미디어 이용량과 기존 미디어 이용량, 미디어에 의한 대화촉발이 가족 커뮤니케이션 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떻게 다른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답하기 위하여 20-30대의 대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일원분량분석(one-way ANOVA),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간의 관계를 통해 구상한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 이 연구가 가족 대화촉발 변인에 대해 새롭게 제안한 것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소셜 미디어의 혼종성(hybridity)이 실증적으로도 유의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가족 대화 촉발변인이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파악하는 새로운 변인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현대인의 가족 커뮤니케이션은 개개인의 정보력에 의해 영향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이용의 환경에서 미디어 이용과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도 점점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 연구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변화를 종합적으로 바라 본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현 시점의 가족 커뮤니케이션을 새롭게 바라보고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rediscovery of predictor variables of family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usag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which brought changes in the utilization composition of media has also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family communi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use med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of these people to the types and forms of family communication.
Examine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family communication in our everyday life and furthermore empirically studied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taking an important part in media usag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has been investigated among social media usage, existing media and family communication bind together as a picture.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angle of the multimedia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age and existing media usag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age and the types and form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new predictor variables considering family communication has been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age and existing media usag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age and the forms and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influence differ on the amount of family communication coming from family communication pattern(RFCP), social media and existing media utilization and conversations initiated by media?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have been surve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examin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considering the new proposal about the variable that trigger family communication from analyzing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ach model desig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hybridity of social media was empir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variable triggering family communication is significant as a newly discovered variable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family communication. Finally, it was determined that contemporary family communication is affected by individual capability of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family communication is showing more various aspects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media usag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hanges in terms of macroscopic view. A new approach to the current view of family communication and in-depth research is necessary with this study as a momentum.

Keywords: Social media usage, Existing media usage,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RFCP).
Student number: 2009-22507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22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8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