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킨즈와 공리주의 : Dickens and Utilitarianism: From Bleak House to Hard Times
『블리크 하우스』에서 『어려운 시절』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우창

Advisor
유명숙
Major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2012. 2. 유명숙.
Abstract
19세기 영국사회에서 공리주의가 갖는 의미는 복합적이다. 공리주의는 의회 및 법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정치적 운동의 중심사상이었을 뿐 아니라 19세기 후반까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 사고의 틀이기도 하다. 그러나 푸코가 제기한 판옵티콘과 같은 한정된 사례를 제외한다면 제러미 벤섬이 서구 근대사회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 결과 단순히 공리주의가 동시대에 끼친 영향이 충분히 평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나타내는 근대사회의 주요한 특질 또한 간과된다. 벤섬의 공리주의에 내포된 인간관은, 아도르노의 개념을 빌리자면, 관리되는 세계의 핵심을 이루는 단자적 개인을 초래한다. 이처럼 공리주의와 단자적 인간관의 관계를 짚어낸 사례로서 찰스 디킨즈의 중기소설 『어려운 시절』이 갖는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은 벤섬의 공리주의가 대두하던 맥락에서 『어려운 시절』의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산업소설 혹은 사회문제 소설로 분류되곤 하는 『어려운 시절』은 그 예술적 성취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 소설이 다루는 공리주의의 역사적 의미가 소설의 비평에서 심도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그 이유 중 하나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표면적인 해피엔딩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문제들이 해결의 가능성이 제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는 사실 또한 평가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아도르노의 관점에 따라 작품에서 해결되지 않은 모순들 자체를 분석대상으로 삼는 일 및 공리주의의 본질과 소설에 나타난 인식 간의 관계를 탐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어려운 시절』의 내적 구조를 파악한 뒤 이에 기초하여 소설에 드러난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갖는 의미를 포착한다. 소설의 내적 구조를 이해하고 역사화 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사회적 모순과 그 해결책이 대립하는 구도로 바라보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방법론은 좋은 참고가 된다.

1장은 『어려운 시절』이 갖는 특수성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디킨즈의 전작 『블리크 하우스』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 소설에서 구체제의 지배계급 및 법제도 등은 가정의 해체를 초래하며, 여기에 대항하여 화자이자 주인공인 에스더는 소외된 인물들을 보살피고 재통합하는 새로운 가정의 중심이 된다. 에스더를 부르주아 가정의 대변인으로 간주하는 비평적 통념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그녀가 구축하는 가정은 타자에 열려있는 가족-공동체라고 주장한다. 디킨즈는 『블리크 하우스』에서 이와 같은 가족-공동체를 통해, 비록 그것이 주변적이지만, 사회모순을 봉합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견지한다.

2장에서 논의하는 『어려운 시절』은 1장에서 다룬 『블리크 하우스』와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 공리주의로 대표되는 사회문제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는 상황이 마찬가지로 제시되지만, 에스더와 달리 이 소설의 대안적 위치에 놓인 씨씨와 서커스단은 마찬가지로 가족-공동체의 성격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명시적인 문제해결의 이면에 소설 전반에 걸쳐 이들이 이미 무력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설의 결말로서는 충분한 만족을 주지 않는 모순적 상황이야말로 공리주의의 문제, 곧 타인들로부터 고립된 단자적 인간의 문제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장과 2장이 『블리크 하우스』와 『어려운 시절』의 대조를 통해 후자에 내포된 모순을 드러낸다면, 3장은 『어려운 시절』이 벤섬의 공리주의에서 짚어내는 통찰을 드러낸다. 가족-공동체적인 해답이 더 이상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된 상황에는 계급구도의 변화와 같은 외적인 요소와 함께 단자적 인간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디킨즈가 공리주의와 단자적 인간관을 연결시킨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물론 벤섬이 직접적으로 단자적인 혹은 이기적인 인간관을 주장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그의 논리를 끝까지 전개시킬 때 그와 같은 결론이 필연적으로 초래된다는 점에서 디킨즈의 판단은 옳았다고 봐야한다. 3장에서는 벤섬의 『도덕 및 입법의 원리서설』 독해를 통해 어떻게 공리주의의 체계로부터 단자적 인간관을 초래될 수밖에 없는지를 논증한다. 더불어 『어려운 시절』의 자본가들은 공리주의적 인간관이 초래할 문제를 예견한다.

『어려운 시절』의 미덕은 공리주의를 자본가의 이데올로기로 비판하는 데 머무르는 대신 그것을 근대사회의 주요한 특질로 예감한다는 것, 즉 공리주의에 잠재된 단자적 인간관 및 그 귀결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는 서구 근대문명을 합리화과정 및 그에 따른 비인간화로 파악하는 막스 베버나 아도르노 등의 역사 인식을 선취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소설이 벤섬의 공리주의로부터 끌어낸 통찰은 이들이 관찰한 바에 부합하는 사례로, 근대사회의 핵심적인 기제와 함께 그것의 모태로서 공리주의가 갖는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Placing utilitarianis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is easier said than done because it provided the theory for reform movements, as well as a frame of thought that made "Western modernization" possible. However, aside from Michel Foucault's highlighting of the panopticon,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Jeremy Bentham and utilitarianism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Consequently, the contemporary effects of utilitarianism upon society, as well a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that they reveal,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The attributes of human being described in Bentham's theory give rise to an ideology of human beings reduced to isolated monads, which constitute what T. W. Adorno terms a "managed society." In this point of view, Charles Dickens's Hard Times serves as a significant case in point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tarianism and the monadic man.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Hard Tim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ise of utilitarian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England.

Considered as an industrial novel or social-problem novel, Hard Times has yet to garner critical consensus regarding its artistic achievement. The main reason may lie in the critical failure to address utilitarianism as an effective ideology in historical context. Two complementary tasks are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crux: an analysis of the "contradictions" themselves in accordance to the critical stance of Adorno and a questio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 of utilitarianism and representations of utilitarianism in the novel.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internal structure of Hard Times and proceed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judgment taken against utilitarianism in the novel. Fredric Jameson's Political Unconscious, which locates antagonism between the representative narratives of social contradiction and their imaginary solutions within literary texts, provides a useful reference for accomplishing these tasks.

The first chapter analyzes the internal structure of Dickens's preceding work Bleak House, which serves to highlight the distinctness of Hard Times. Such social problems as the age-old judicial institutions are represented in Bleak House through the dissolution of families. The conflict is resolved in the end by Esther Summerson who re-constructs a new kind of family which cares for and reintegrates alienated individuals. In opposition to the critical tradition disparaging Esther as an agent of the Bourgeois family, this study argues that her newly constructed family could be considered as a "family-community" opened to the others. Thus, Dickens maintains a faith in the possibility that this 'family-community' could offer a solution, however marginal, to the social problems in Bleak House.

The second chapter proves that Hard Times contrasts with Bleak House in its internal narrative structure. Unlike the previous novel, the characteristics of a "family-community" found in Sissy Jupe and the circus belie their inability to function as an alternative. They intervene and resolve the conflict, but fail to from a nucleus of "family-community." Indeed,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which dissatisfies the readers provides the key for a reflection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utilitarianism: the monadic man isolated from one another.

Chapter three assesses the value of the novel's critique on Bentham's theoretical system. The rise of the monadic men found in the novel, along with the change in historical positions of the classes, fatally damages the "family-community" as a solution to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It is significant that Hard Times indicates this connection between the monadic man and utilitarianism. For although Bentham did not theorize upon the monadic man, this conclusion is inevitably implied in and caused by his logic. This chapter demonstrates through a critical reading of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that the monadic man is embedded in the theoretic system of utilitarianism.

One of the virtues of Hard Times is that it criticizes utilitarianism as a main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 novel foresees Adorno and Max Weber's historical view which deems western modernization as a rationalizing and dehumanizing process. In this point of view, Hard Times allows for a reflection on the monadic man as one of essential mechanisms in modern society while also reevaluat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utilitarianism as its theoretical groun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5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7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