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차이이론에 의한 여성 수트의 조형적 특성 변화와 의미 해석 : Formative Changes in the Womens Suit, and their Significance Based on Difference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가영

Advisor
김민자
Major
의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2. 2. 김민자.
Abstract
차이이론에 의한 여성 수트의 조형적 특성변화와 의미 해석

안 가 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19세기 이후 처음 착용된 여성 수트는 그 형태와 의미 변화가 계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대표적인 여성복으로서 현대 복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 여성 수트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개성 추구에 따라 디자인과 그 의미가 한층 다각화되었다.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패션의 공급자인 디자이너의 창조 의지와 그것의 수용자이자 재 창조자인 개인의 취향에 따른 구별 욕구가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여성 수트는 현대 패션의 트렌드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면서 최근에는 그 형태뿐 아니라 의미 또한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여성 수트의 형태와 의미의 변화를 들뢰즈의 차이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 수트가 현대패션에서 사회·문화적 배경, 디자이너의 창조 의지, 착장자의 취향 구별 욕구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영향을 받아 차이로서 어떻게 구체화되어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2000년대 여성 수트의 형태와 의미 변화를 새로운 창조로 해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패션 디자인의 창조적 발상과 기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변화를 어떤 고정된 본질이나 근원의 반복성이나 주기성이 아닌 다양화로 해석하고자 한다.
2000년대 여성 수트의 형태와 의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고 연구의 틀로써 들뢰즈(Deleuze)의 차이이론을 이용하였다. 복식양식의 변화에서 차이를 표현하는 방식을 제시하기 위해서 들뢰즈와 푸코(Foucault)의 베이컨(Bacon), 벨라스케스(Velazquez), 마그리트(Magritte) 회화 해석을 통해 차이 화의 방식을 유추한 결과, 변형(deformation), 혼성(hybrid), 부재(absence), 유사(resemblance)를 도출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2000년대 여성 수트 해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20세기 여성 수트의 출현은 크게 시대에 대표적이었던 네 가지 사건에 의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제 1, 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유틸리티 클로스와 같은 단순하고 실용적인 수트의 등장이고 두 번째는 여성 해방운동과 사회활동 증가로 여성의 팬츠 착용이 성행하고 수트가 여성미가 배제된 유니섹스 룩으로 등장한 것이다. 세 번째로 스포츠의 보급에 따라 캐주얼한 스타일의 실용적이고 활동성이 있는 수트가 등장하게 된 경우이며 마지막으로는 아르누보, 아르데코, 미니멀리즘 등의 20세기 예술 사조에 의한 지나친 장식이 배제된 단순한 형태의 수트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20세기의 여성 수트의 등장에는 사회·문화적 이슈들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성 수트는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대표적인 여성복으로서 현대 복식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 수트의 시대를 불문한 보편적 특성들은 20세기를 거치면서 더욱 확실히 자리를 잡았다. 여성 수트의 출현 배경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20세기 여성 수트는 획일성, 귄워성, 고전성, 기능성의 특성을 가지며 이는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인체의 형태가 그대로 드러나는 인체우선형, 좌우 대칭형의 앞여밈과 칼라, 라펠과 같은 수트의 기본 디자인요소들에 의한 정형, 상·하 동일 색상과 소재의 한 벌로만 착장하는 통합형, 기능성의 중시에 따라 장식이 배제된 비장식형의 네 가지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2000년대의 여성 수트를 20세기 여성 수트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변형, 혼성, 부재, 유사의 차이 표현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체우선형으로 정의되었던 여성 수트는 변형, 혼성, 유사의 차이 표현 방식에 따라 인체의 자연스러운 곡선보다는 수트 자체를 부각시키는 복식우선형으로 변화했다. 또한 여성 수트의 정형성은 더 이상 보편적 특징일 수 없으며 변형, 혼성, 부재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변화되었다. 상·하의 한 벌 착장을 기본으로 하던 통합형의 조형적 특성은 제한점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착장하는 분리형으로 표현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능성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있던 20세기 여성 수트의 비장식적 특성은 기술의 발달과 같은 단순한 이유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한 방법으로의 사고의 전환을 통해 장식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여성 수트의 차이 형성 요인을 사회·문화적인 배경, 디자이너의 창조 의지, 착장자의 취향 구별 욕구에서 살펴보았다. 사회·문화적인 배경에서 살펴보면 더 이상 20세기와 같은 전쟁의 발발이나 지배적 예술 사조의 등장 등과 같은 복식에 영향을 미치는 급 변화된 사회 이슈가 없었던 것이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다원주의와 같이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2000년대에는 나타났다. 다원주의의 영향으로 각각의 양식이 존중하고 경계를 넘나드는 혼재를 통해 공존하면서 개성화와 다양화가 요구되었다. 디자이너의 창조 의지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20세기 패션은 소수의 디자이너들이 대표성을 띠며 시대의 유행을 이끌어 갔던 양상이었지만 2000년대에는 다수의 디자이너들이 공존하면서 패션을 더욱 다양화시키는데 주력하는 양상을 보였다. 착장자의 취향 구별 욕구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취향의 문제에 있어서 소극적인 자세로 보편성을 지향하는 20세기의 착장자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특수성을 추구하는 2000년대의 착장자로의 변화가 또 하나의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이 2000년대의 여성 수트는 사회·문화적인 배경, 디자이너의 창조 의지, 착장자의 취향 구별 욕구와 같은 차이를 형성하는 요인들에 의해 현대 사회에 적합한 복식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여성 수트는 원본이 가지고 있는 획일성, 권위성, 고전성, 기능성의 상징적 의미는 사라지고 새로운 의미들을 부여받게 되었다. 다양성에 추구에 따라 새롭게 재창조된 여성 수트는 탈획일성, 유희성의 특징을 보이며 남성의 복식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가지고 있던 권위성의 축소와 관능성의 부각이라는 결과도 나타났다. 그밖에도 도구적, 사회적 의미의 기능성은 표현적 의미의 기능성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의미 변화들은 일련의 과정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다원주의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디자이너의 다양화 추구에 따른 창조의지와 착장자의 개성 추구에 따른 취향 구별의 욕구에 의해 가능 했다. 이것은 20세기 여성 수트의 의미의 재현을 통해 동일성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무한한 차이를 생성함으로써 여성 수트의 사실적 재현과 무관한 또 다른 창조로 부각되었음을 나타낸다.
차이이론을 통해 여성 수트의 형태와 내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복식 양식의 변화가 본래 양식의 고정되고 한계 지워진 현재에서부터 새로운 환경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새로운 창조의 개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복식양식의 변화를 새로운 복식양식의 창조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식양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해 야기되는 차이를 포착할 수 있는 한 여성 수트는 또 다른 여성 수트의 모습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주 요 어: 차이, 여성 수트, 변형, 혼성, 부재, 유사, 창조성
학 번: 2010-21602
Formative Changes in the Womens Suit, and their Significance Based on Difference Theory

AHN, Ga-Young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ince the 19th century, when women began to wear suits for the first time, the womens suit has continuously changed in its form and significance, and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fashion as representative womens apparel that has been generalized all across the world. In the 2000s, the womens suit has been further diversified in terms of design and significance, as people seek various life styles and express their individuality. This is due to the strengthened interest in creativity by designers who are fashion suppliers, and the increased desire for differentiation by individual tastes by individuals who are wearers as well as re-creators of fashion, in our more diversified society. As the womens suit has continuously experienced changes amid the contemporary fashion trend, it has recently been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s well as significa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based on Gilles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terprets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as a new creation, not simply re-enactment, by examining how it has been embodied in contemporary fashion as difference in the wake of being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cultural background, designers and wearers . For the study, basic data will be collected on creative ideas and techniques of fashion design. In the meantime, change is interpreted as diversification, not recurrence or periodicity of a certain essence or source.
Literary research and ca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and Deleuzes difference theory has been used as a framework.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ch generated deformation, hybrid, absence and resemblance by making differenc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Bacon, Velazquez and Magritte's paintings by Deleuze and Foucault, the framework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has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offer a way of expressing difference among the changes in fashion style.
The emergence of the womens suit in the 20th century can be grasped by considering four representative events in the era. The first event is the emergence of simplified and practical suits such as utility clothes in the wake of World Wars I and II. The second event is the popularization of womens pants as well as the emergence of suits with a unisex style in the wake of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the increased women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The third event is the emergence of practical and active suits in a casual style with the popularity of sports, and the fourth is the emergence of simplified suits that exclude excessive trimmings in the wake of 20th century art trends such as Art Nouveau, Art Deco and Minimalism.
The womens suit has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fashion as a representative form of womens apparel that has been generalized across the world.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suit transcending the ages have been further clarified during the 20th century. As inferr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womens suit, the womens suit in the 20th centu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formity, authority, classicality and functionality, which are reflected in the formative aspect. It had four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body priority style in which the shape of the body is revealed, typical style based on such basic design factors as symmetrical front, collar and lapel, integrated style based on a suit composed of a jacket and trousers of the same color, and non-adornment style where trimmings are exclud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ity.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based on a way of expressing difference summarized as deformation, hybrid, absence and resemblance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suit in the 20th century are as follows: In the formative aspect, the four characteristics of body priority style, typical style, integrated style and non-adornment style that have been cited a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suit have appeared difference. The womens suit that was defined as body priority styl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lothes priority style, where the suit itself is emphasized instead of the natural curve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 way of expressing difference that can be summarized as deformation, hybrid and resemblance. In addition, the formality of the womens suit has been completely destroyed, and has been freely expressed through deformation, hybrid and absenc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tyle are also expressed as an opposite disintegrated style. Non-adornment style has been represented as adornment style through a change in the mindset as well as the simple reason of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study has examined the difference factors of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from the socio-cultural, designers and wearers perspectives.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a lack of rapidly changing social issues such as the outbreak of wars or the appearance of dominant art trends that had an effect on costume as seen in the 20th century is cited as one of the reasons. Changes in perspectives on phenomena as seen in pluralism appeared in the 2000s.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s, customers who pursued universality with a passive attitude in the 20th century transformed themselves to push for particularity with a positive attitude in the 2000s with regard to taste.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ers, fashion was represented by a small number of designers who led trends in the 20th century, but in the 2000s, a large number of designers coexist, diversifying fashion.
As described above,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has emerged as clothing appropriate to the contemporary society due to such change-inducing factors as pluralism, designers formative determination and customers desire for differentiating taste. In the meantime, unexpected difference was generated, and the womens suit in the 2000s lost such symbolic meanings as conformity, authority, classicality and functionality that the original had to carry a new significance. The represent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womens suit in the 20th century has not led to sameness, but it has generated unlimited difference to emphasize another creation not related to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womens suit. In this regard, change in fashion style shows the possibility that a new environment can be created by departing from the current fixed and limited style, and it is a new creative concept to become something else. This has made it possible to interpret change in fashion style as creation of a new fashion style. As long as the difference caused by factors influencing change in fashion style is captured, the womens suit is expected to continue appearing in other ways.




keywords : Difference, womens suit, deformation, hybrid, absence, resemblance, creativity

Student Number : 2010-21602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2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6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