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미술에 표현된 복식의 언캐니 : The Uncanny of Dress in Contemporary A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용덕

Advisor
김민자
Major
의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2. 2. 김민자.
Abstract
미술과 패션이 상호작용의 범위를 넓혀 가는 가운데 현대 미술에서 복식을 통한 표현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언캐니(uncanny)는 익숙하지만 낯선 양가적 두려움의 본질적 심상이며, 예술을 창조함에 있어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언캐니의 개념과 확장된 의미를 정신분석학적•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언캐니의 미학을 통해 현대 미술에서 표현된 복식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세기로 들어서면서 미술에서의 복식은 재현적 대상을 넘어 광의적 함의가 가능한 창조적 발현의 내러티브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하였다. 이성중심주의에 억압되어 이상적인 완전성을 직설했던 과거의 몸과 달리 오늘날의 몸이 왜곡, 해체되어 파편화된 몸으로 실존을 직시하게 하듯, 제 2의 몸인 복식 또한 전통적인 신체와의 관계 안에서의 도상, 상징, 지표에서 벗어나 있는 동시에 그 모든 것에 속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현대성을 획득하였다. 아울러 포스트모던 사유의 패러다임은 터부시했던 영역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전통적 권력구조를 전복시키게 하였고, 오늘날의 미술은 그 어느 때보다 도착적이며 신경증적인 충격적 이미지를 통해 이를 드러내어 폭로함으로써 보는 이의 직관에 대면케 하는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이와 같은억압된 것의 회귀를 일컬어 언캐니라 하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적용된 이후 라캉의 욕망이론을 위시한 후기정신분석학, 현대미학이론과 접맥되어 오늘날 확장된 의미의 언캐니가 갖는 미학은 이러한 현대미술의 양상을 고찰함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분석틀로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언캐니의 미학을 분석틀로 현대미술에서의 복식의 표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언캐니의 양가성에서 배태된 타자성, 전복성 등의 미학적 특성은 분절, 접합, 폭로, 교란, 위장, 월경 등의 낯설게 하기의 방법론을 통해 시각화된다. 신체와 결부하는 미적 대상, 성의 구분이나 집단 혹은 개인의 정체성 등을 드러내는 사회적 대상 등으로서의 복식은 시각예술 작품에서 일상의 구체적 상징으로 주위의 낯선 타자와 대비되어 표현되거나 스스로 상징계의 기호 체계를 벗어난 무언가로 또 다른 정체성을 띠어 언캐니를 환기한다. 파편화된 신체에 대응하여 부분 대상이 과장되거나 상이한 기능이 부여되고 이질적 절합으로 왜곡되는 등의 레토릭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과 조형성을 가지는 복식은 주효한 내러티브로서 언캐니의 미학적 효과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예술의 근원적 방법론으로서 낯설게 하기를 통한 언캐니의 미학은 미술과 패션의 장르간 경계를 전복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rt and fashion are broadening the grounds for mutual interaction, expression through dress is making a leap forward in contemporary art. TheUncanny(das Unheimliche)is the fundamental image of fear from both familiarity and foreign at once, which comprises the basis of creation in arts. This study observes the concept of the uncanny and meaning extension in psycholog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and aims at analyzing the cases of dress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Dress in art developed into a narrative of creative representation which enables to imply broad meanings to it beyond an object of reproduction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s the human body is observed in parts after being broken down and distorted today in order to face the reality as it is, instead of the speaking forwardly of idealistic completeness in body in the past under the repression of logocentrism, dress, which is otherwise recognized as the second body, also acquired modernity by breaking its relations with the traditional human body pertained in icons, symbols, and graphs into a broader meaning that encompasses all. Furthermore, postmodern thought was no longer a taboo and dismantled the traditional power structure, and modern art today uses perversive and neurotically shocking images more than ever to get the message across, and seems to emphasize the aspect of confronting the observers intuitions. Such the return of the repressed is referred to as theuncanny in psychoanalysis. Since Freuds application in psychoanalysis, connecting to post-psychoanalysis, including Lacans desire theory, and modern aesthetics theory, the aesthetics of the broadened concept of todays uncanny has studied as an efficient tool for analysis in observing the aspects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observed the aspects of dress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using aesthetics of uncanny as the frame for analysis. ambivalence, and otherness and subversion originated in it are the main aesthetic attributes of the uncanny, which are made visual through methodology of defamiliarization like the following: dissembling and assembling, disclosing and deranging, disguising and transgressing. Dress as in object of aesthetics associated with the human body, or as social object of distinction of sex, reflection of individual and group identity, appears as concrete symbol of everyday life in visual arts to differentiate one from others or evokes the uncanny as such that exculpated itself from the sign system of the Symbolic. In response to the fragmentized body, the parts are either exaggerated or different function is adopted and distorted by such disparate articulations. Such rhetoric gives a new identity and formativeness to dress, which beholds aesthetic effect of the uncanny as the main narrative. In conclusion, the study verifies that aesthetics of the uncanny through defamiliarising as a fundamental methodology subverts the boundaries between genres of art and fash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2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3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