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amivudine Prophylaxis for Hepatitis B Virus Carrier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Adjuvant Chemotherapy : B 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보조 항암 요법 시 라미부딘 예방 치료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정

Advisor
김지현
Major
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2. 2. 김지현.
Abstract
Background: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is well-known complication of cytotoxic chemotherapy in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positive cancer patients. Lamivudine was reported to reduce hepatitis B virus (HBV) reactivation during chemotherapy in cancer patients. Our study aimed to describe the temporal trend in HBV surveillance and management during cytotoxic chemotherapy, and to assess the efficacy of lamivudine prophylaxis on hepatic complication in HBsAg positiv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Methods: Patients with stage 1~3 invasive breast cancer who received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neoadjuvant and/or 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2000 and 2009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Patients with positive HBsAg and normal liver function were enrolled. Hepatotoxicity, defined as ALT ≥ 100 IU/mL, and HBV reactiva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lamivudine prophylaxis. Annual trends in HBV surveillance and use of lamivudine prophylaxis were also reviewed.
Results: A total of 165 HBsAg positiv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enrolled. After the year of 2004, surveillance of HBV infection status and use of lamivudine prophylaxis significantly increased (2.5% vs. 57.6%, p < 0.001). Seventy-three (44.2%) patients received lamivudine prophylaxis and 92 (55.8%) patients did not. Incidence of hepatotoxic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ophylaxis group (2.7% vs. 14.1%, p = 0.011). Among the patients with baseline HBV DNA titer available, HBV reactivation rate was lower,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rophylaxis group (0%) compared to no prophylaxis group (20%) (p=0.104). Lamivudine 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rate of hepatotoxicity in subgroup analysis of the patient who received anthracylcine based chemotherapy (2.8% vs. 14.8%, p = 0.013) and glucocorticoids (2.1% vs. 18.6%, p = 0.012). Chemotherapy delays (4.1% vs. 7.6%, p = 0.515) and premature termination of planned chemotherapy (0% vs. 2.2%, p = 0.504) related to hepatic complication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amivudine prophylaxis group. Lamivudine withdrawal hepatitis was not detected, but one case of breakthrough HBV reactivation during lamivudine treatment was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Conclusions: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wareness of HBV reactivation and use of lamivudine during cytotoxic chemotherapy. Lamivudine prophylaxis reduced hepatic complications during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Lamivudine prophylaxis should be considered in HBsAg 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candidates of adjuvant chemotherapy.
배경 및 목적: B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인 환자에게 세포 독성 항암 치료를 진행할 때 많이 발생하는 합병증 중의 하나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를 들 수 있다. 라미부딘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항암 치료 시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감시와 예방적 라미부딘 투여의 연도별 변화를 살피고, 예방적 라미부딘의 사용이 B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할 때 간 관련 합병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는 데 있다.
방법: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수술 전 항암 화학 요법 및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을 받은 1기에서 3기의 유방암 환자 중에서 정상 간기능을 가진 B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간독성은 ALT 수치 100 IU/mL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간독성과 B형 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율을 라미부딘 사용 여부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도 별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감시 및 예방적 라미부딘 사용 실태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결과: 2004년 이후, B형 간염 표면 항원 양성인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암 화학 요법 시행 전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감시가 증가하였고, 라미부딘의 예방적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2.5% vs 57.6%, p<0.001). 총 165명의 대상 환자 중 73명 (44.2%)에서 예방적 라미부딘이 투여되었고, 92명 (55.8%)에서는 투여되지 않았다. 간 독성 발생률은 예방적 라미부딘 투여를 받은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2.7% vs. 14.1%, p=0.011). 항암 치료 전, 기저 B형 간염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했던 환자들 만을 대상으로 B형 간염 재활성화율을 보았을 때, 예방적 라미부딘 투여를 받은 군에서 재활성화율은 0%, 그렇지 않은 군에서는 20%로 보고 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p=0.104). 안스라사이클린을 포함한 항암 치료를 한 경우 (2.8% vs. 14.8%, p=0.013)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경우 (2.1% vs. 18.6%, p=0.012) 에서 예방적 라미부딘을 투여했을 때, 유의하게 간 독성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예방적 라미부딘의 사용군에서 간 합병증에 의한 항암 치료의 지연 (4.1% vs. 7.6%, p=0.515) 및 예정된 항암 치료의 조기 종료 (0% vs. 2.2%, p=0.504)가 더 적게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방적 라미부딘 중단 후 간 기능 악화는 보고 되지 않았으나, 라미부딘 사용 중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재 활성화는 한 예에서 보고 되었다.
결론: 세포독성 항암 치료 중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의 위험이 증가함에 대한 인식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예방적 라미부딘의 사용도 증가하였다. 예방적 라미부딘의 사용은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보조 항암 치료 시 간 관련 합병증을 감소시켰다. 라미부딘의 예방적 사용은 향후 보조 항암 치료의 대상이 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되어야 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5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9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