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출신 결혼 이민자 여성들의기독교 교회 참여
서울 화곡동 지역의 사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해안

Advisor
김광억
Major
인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2. 2. 김광억.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출신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기독교 활동 참여 사례를 통해서, 중국인 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과 기독교 교회가 제공하는 사회적 기능의 관련에 대해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최근까지 국제결혼 이민자 여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1)국제적인 결혼이주 현상을 둘러싼 객관적인 조건에 주목하여 국제결혼의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그 동인을 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밝히려는 연구들과, 2)결혼이민자 여성 당사자의 주체성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녀들이 새로운 사회적 환경에서 구사하는 다양한 적응 전략을 조명하려는 연구경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가부장적 훈육·관리 및 동화정책에 의해서 대상화되고 있는 한국의 이주현실에 대한 전자의 연구 경향의 기본적인 논점에 동의하면서도, 후자의 연구 경향을 받아들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문화가 다른 타향에서 생활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지속시키는 힘이 어디에서 오는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종교활동 참여의 현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국제이주에 관한 연구들에서 이주자들의 활발한 종교 활동과 그를 통한 연계망의 형성이 자주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중국의 독특한 역사적 배경과 민간 신앙의 부활 등의 이유로 인해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기독교를 포함한 서양종교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즉, 보통 이민자들보다, 중국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기독교 활동의 참여는 특별한 양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국 출신 여성의 결혼이민은 신분의 하향 유동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출신 결혼이민자 여성들은 착한 아내를 바라는 한국인 시댁 식구들의 기대와 언어 소통의 어려운 사이에서, 가내 영역으로 활동 영역이 제한되고 공적 영역 참여의 측면에서 자유로웠던 고향 생활을 그리워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국인인 그녀들과 혼혈아인 자녀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편견과 차별은 그녀들의 이민 생활의 스트레스의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그녀들은 자신의 이민 생활을 지지할 수 있는 힘과 위안을 원하게 되고, 한국인 가족들과의 관계에서는 얻기 어려운, 중국인으로서 향수와 이민생활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 공간이 바로 교회인 것이다.

중국출신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교회에 다니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들의 유형을 분류하자면 자발적인 사례와 수동적인 사례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드문 사례인 전자는 주로 중국에서 삼자교회를 다니다가 한국에서 신앙생활을 계속하는 것이고, 보다 일반적인 후자는 기독교를 믿는 한국인 가족의 요구와 영향력에 의해서 교회를 처음 접하는 것이다. 즉, 후자들에게 교회는 처음에는 한국인 가족에 의해서 강요된 공간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녀들이 교회를 피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교회는 종교적 의례활동을 위한 공간이며, 신앙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마음의 안식처의 역할을 한다. 또한 신자들이 사회적인 연결망을 획득하는 중요한 경로이기도 한다. 이처럼 그녀들은 교회에서의 얻은 자원들을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로의 적응과 통합을 시도한다. 다른 한편, 교회는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동화를 도울 뿐만 아니라 고향의 중국 문화와 정체성을 이주의 맥락에서 재생산하고 유지하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This study is about Christian church activities of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It is an approach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and the social function of the Christian church. Precedent studies on marriage migrant women have 1)focused on the objective conditions surrounding the phenomenon of "migrant marriage" to grip the realities and present status of the transnational marriage, and to explain the motives of the transnational marriage from social sciences perspective, 2)endowed the subjectiv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with a signification and had a tendency toward illuminating the women who are searching for various adaptation strategies in the new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follows the research tendency to the realitie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ve been the object under the patriarchal education and management in South Korea. At the same time tries to explore where the power comes from which can make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 continue their lives while encountering many difficulties in the country different from their homelan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on the phenomenon of marriage migrant women's religious activities.
The vigorous religious activities of the migrants and the network building through the religious space are often revealed by research on transnational migration. But for the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most of Chinese are unconcerned or have a negative thought with the western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 religion is based on the peculiar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alities of the revival of folk religion. Thus, the Christian church activities of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have very special aspects different from most of other migrants. Women desiring to be a nice wife from Korean family perspective while meeting problems with problems in communication, their active domain has been limited in the domestic sphere. Consequently, this result leaded them to feel homesick for their "unrestricted life" before the marriage migration. Moreover, toward the foreigner wives" and the "half-breed children", the prejudice and the discrimination from some Korean people are concern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women's stress within their immigrant life. Thus, to confront the difficulties, the marriage migrant women pursue a kind of "power" and "consolation" to support their life, especially with the problems coming from their life with the Korean families. Therefore, a kind of space where they can share the problems to be retrieved from troubles and homesick as a migrant from China is necessary for the women. And the Christian church can be such a space.
The immediate causes of the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attend the Christian church are sorted into two categories: the active case and the passive case. Relatively as a rare instance, the first category indicates the women who have attended the Three-Self Church in China and continue the faith even after the migration. The second category represents those women who are demanded and influenced by Korean families and it is comparatively more general than the first one. And so, for passive attendees, the space was initially an "imposed" space. However, the women do not just accept the faith passively. And the Christian church, as a religious space for their ritual activities, provides the women relief and comfort. Moreover, in the aspect of the social function of religion, the Christian church could be an important route for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 gain social network. Thus, the marriage migrant women try to make use of the social resources from the Christian church to adapt and actively merge themselves into Korean society. Besides, the religious life of the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does not only facilitate their adaptation and assimilation into the society, but also became a mechanism in the context of transnational migration to keep 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reproduce their identity of their homeland, China.
本研究旨在通过对于部分跨国婚姻移民到韩国的中国女性的基督教教会参与的事例分析,来探讨这些女性在异国他乡的生活经历与宗教的社会功能之间的关系。对于国际结婚移民女性的研究大致可以分为以下两种趋势。一是在关注围绕着跨国结婚移居现象的客观条件的基础上,掌握跨国婚姻的实态和现状,并基于社会科学的角度对产生此现象的动因进行分析的研究。二是将主体性赋予婚姻移民女性本身,探讨她们在新的社会环境中寻求的各种适应方法。在本研究中,一方面延续了上述前者的对于成为韩国家长制教育和管理以及同化政策中的对象的跨国婚姻女性的生活实态和现状的描述,另一方面也结合了后者的观点,尝试对结婚移民女性们在异乡生活中遇到的各种困难的进行研究并探讨她们客服这些困难的力量来源。因此,立意于上述的观点,本研究将重点放在跨国结婚移民女性的宗教活动参与上来进行分析。
在关于跨国移民的话题上,往往会提到移民者们的活跃的宗教活动和藉此产生的关系网。但是由于在中国遭受列强侵略的历史上,基督教等洋教充当着不光彩的角色,以及二十世纪八十年代以后民间信仰的盛行,大多数中国人对于基督教教会并没有很关心,因此,中国跨国婚姻女性们在韩国的宗教参与,与其他移民者相比具有其非常独特的一面。而在跨国结婚移民的过程中,中国女性们存在着身份下降现象,即,处在韩国家人们对于善良的妻子的期待和语言交流障碍等问题以及局限于家内领域中的女性们,更多的开始倾向于思念移民前在公共领域当中自由自在活动的家乡生活。另一方面,部分韩国大众对于外国结婚移民女性以及她们的混血子女存有一定的偏见和差别待遇,这也成为本研究中的跨国结婚移民女性们在移民生活中感受到压力的主要原因。上述种种困难和问题,直接导致了这些女性开始寻求可以支撑自己移民生活的力量和心理上的安慰,特别是寻求在韩国家人身上难以得到的,可以共同抒发故乡的乡愁以及移民生活苦闷的朋友以及空间,而本论文把这一空间叠放在基督教教会的场中加以分析。
本论文的研究对象中国跨国婚姻移民女性在韩国参与教会活动的最初契机可以分为两种类型:自发型和被动型。前者主要是指那些移民之前就是三自教会的信徒,婚姻移民后继续这一信仰的女性,这个类型的事例相对来说比较少。而后者主要是指在韩国家人的要求和影响下成为信徒的女性,而这个类型的事例相对来说比较多。对于第二种事例的女性来说,在一开始,教会是一个被要求的空间。但是这些女性,并没有消极地被动地参与到教会的活动中。而教会作为一个宗教性的空间,首先对她们在移民生活的困苦中起到了一个心灵上的安慰作用,并且对于这些女性们来说,教会更是起到了一个提供关系网的社会功能,这个关系网既连接了同是跨国婚姻移民的女性,也体现在了和其他韩国人交往之中。即,婚姻移民女性们通过在教会中获得的资源来帮助她们适应韩国的生活,并且加速了她们在韩国的社会性统和。而另一方面,通过在韩国的中国人教会中的活动,教会成为了一种移民生活中渐渐被淡忘的中国文化以及作为中国人的同一性的再生产和得以维持的载体,而这也在某种程度上减缓了跨国婚姻女性们在移民国家的社会性统和。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41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5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