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朱彛尊《靜志居琴趣》의 애정표현 방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하늬

Advisor
류종목
Major
중어중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2012. 2. 류종목.
Abstract
국문초록

淸代 浙西詞派의 宗主로 평가받는 朱彛尊은 다양한 詞論을 제창하고 이론에 부합하는 작품을 창작하여 淸詞의 부흥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의 中期 詞集 중 하나인 《靜志居琴趣》는 한 여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녀와의 사랑을 시작부터 끝까지 다루고 있는 작품집이다. 사집 전체가 단 한 사람과의 애정을 다루고 있는 것은 中國詞史에서 전무후무한 일로 그 존재 자체로도 의미가 있다.
詞라는 체제는 그것이 탄생된 이래로 줄곧 애정이라는 주제와 함께 발전해왔다. 朱彛尊의 《靜志居琴趣》 역시 이러한 愛情詞 발전의 흐름 속에 있는 사집이지만, 단순히 기존의 愛情詞의 명맥을 잇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성격의 愛情詞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기존의 愛情詞가 대개 화려한 술자리에서 기녀가 노래 부를 거리를 제공하고 그녀들의 아름다운 자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것이었던 것과 달리, 《靜志居琴趣》는 담백하고 청아한 언어로 작자의 眞情을 토로했다. 《靜志居琴趣》가 기존의 愛情詞와 다른 풍격을 갖게 된 것은 그것이 창작된 이유와 표현하는 대상이 기존의 愛情詞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즉, 처제와의 사랑이라는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없지만, 결코 잊을 수도 없는 작자의 실제 情事를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금기에 저항하는 애정 관계를 드러낸 것이기 때문에 작품에서는 작자의 복잡한 심리가 드러나게 된다. 이때 숨기고자 하면서도 드러내고자 하는 작자의 모순된 태도는 풍부한 함의를 가진 작품을 탄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로 인하여 朱彛尊의 《靜志居琴趣》는 愛情詞史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집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고는 朱彛尊의 사집 《靜志居琴趣》를 은밀한 방식을 통한 진실한 애정의 표현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작자 朱彛尊이 《靜志居琴趣》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했는가를 밝히기 위해 《靜志居琴趣》의 本事에 관한 다양한 논쟁을 비교하였다. 《靜志居琴趣》의 여성 인물이 기녀라고 주장하는 기녀설의 경우, 《靜志居琴趣》가 기녀에게 선사한 작자의 다른 작품들과 풍격 상 차이를 보인다는 점, 사회적인 제약에 의해 억압되고 있는 인물들의 관계를 기녀와의 관계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 등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런가하면 《靜志居琴趣》가 작자의 실제 경험을 다룬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설은 대체로 朱彛尊의 도덕적 허물을 덮어주려는 의도가 보인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작품의 本事에 관한 가장 유력한 설은 작품 속 여성 인물을 朱彛尊의 처제로 보는 처제설이다. 《靜志居琴趣》가 작자 朱彛尊의 개인적인 사연을 바탕으로 하였고, 처제라는 특정한 여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점은 이제까지의 愛情詞와 분명히 다른 점이다.
《靜志居琴趣》는 발전된 聯章體의 형식을 활용한 자기 서사이다. 작품집 전체가 한 여성과의 情事의 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거대한 聯章體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작자 자신의 기억의 편린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서사로 완성한 것이다. 《靜志居琴趣》를 구성하는 83수의 개별 작품들은 하나의 자기서사로서의 《靜志居琴趣》를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부품들이지만, 반대로 하나의 완결된 서사로서의 전체가 개별 작품을 읽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애정의 충족과 좌절이라는 측면에서 《靜志居琴趣》의 시공간의 활용을 분석하였다. 《靜志居琴趣》는 현재에서 과거를 되돌아보는 회고체인데, 작품 속 화자는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해 애정이 좌절된 현실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제비 意象은 때가 되면 변함없이 돌아오는 존재로도, 떠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 존재로도 나타나서 과거와 현재를 분명하게 대비시킨다. 한편, 《靜志居琴趣》에서는 인물을 만나게 하면서도 억압하는 실내 공간과 애정에 대한 욕망이 충족되는 실외 공간이 대비되며, 부정적인 현실 공간을 초월하고자 하는 인물의 욕망이 반영된 비현실적 공간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현실적 공간은 인물들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공간이기 때문에 애정에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좌절시키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금기에 대응하는 작자의 복잡한 내면세계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 있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복잡한 내면세계로 인하여 작품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드러내고자 하면서도 숨기려는 작자의 모순적인 태도로 인하여 작품에서는 감추기와 드러내기가 계속해서 교차하게 된다. 완곡하고 은밀한 표현은 작품의 함의를 풍부하게 하는데, 이것이 《靜志居琴趣》의 예술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朱彛尊의 《靜志居琴趣》가 詞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애정을 노래하면서도, 기존의 愛情詞와는 어떻게 차별화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靜志居琴趣》의 차별점은 바로 애정 표현의 방식에 있으며 그것은 결국 《靜志居琴趣》가 작자 자신의 특별한 경험을 다룬 것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리하여 진실한 애정을 노래한 자기 서사로서의 《靜志居琴趣》는 고백하려는 의지와 감추려는 욕구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한 뒤에야 비로소 탄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朱彛尊이 淸代 詞 발전의 선봉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에 대한 연구, 특히 그의 개별 작품의 가치에 관한 연구가 미흡했다. 그러한 점에서 본고는 朱彛尊 개별 작품집 연구의 시작으로서 의미를 가지리라 본다.
中文提要

朱彝尊是清代浙西詞派的開創者, 在詞的理論、 創作、 詞集的編選上, 都有卓越的成就, 因此對清詞的發展產生了重大的影響. 朱彝尊在中期所寫的《靜志居琴趣》八十三首是朱彝尊為一位女子所寫的. 《靜志居琴趣》一整卷詞都在記敘一件事情: 真實地記敘作者與一位女子之間的感情歷程. 如此格局, 在中國詞史上是空前絕後的.
艶詞在中國詞史上佔據絶對優勢, 其內容非常的重要. 在中國詞史上對朱彝尊的艶詞評價非常高, 因為《靜志居琴趣》不僅繼承原本的風格, 還也與從前的艶詞有所區別. 從前的艶詞大都是為狎妓宴飲創作的, 作者以濃艶的筆致強調了妓女的妖艶姿態. 但《靜志居琴趣》的艶詞與從前不同, 以淡白清雅的言語吐露真情. 《靜志居琴趣》與從前的艶詞的區別在於其描寫的物件、 創作的動機, 也就是作者與其小姨之間的熱戀. 朱彝尊對小姨的戀情無論在哪個社會都不能被原諒, 但他的感情仍舊不變, 甚至連小姨去逝以後仍然沒世不忘. 《靜志居琴趣》記敘著違背社會倫理觀念的情感, 因此詞中展示出欲露欲隱的複雜心態. 作者的感情在短短的作品中, 表現得含而不露. 這種隱秘和複雜的愛情表現就是《靜志居琴趣》的審美特質, 因此《靜志居琴趣》在中國艶詞史上很有價值. 筆者認為朱彝尊以隱秘和巧妙的方式表現出真摯的愛情, 所以考察了《靜志居琴趣》中愛情的表達方式.
首先, 筆者探討關於女主人公的各種學說. 有人說《靜志居琴趣》是朱彝尊為妓女所作的作品, 但是《靜志居琴趣》八十三首的風格卻與此說全然不同;在對男女情事的態度上, 《靜志居琴趣》不像是對待妓女時的態度, 《靜志居琴趣》所表現的情事不是可以公開渲染的, 而是被社會制約壓抑著的, 這並不是與妓女間之的情事, 所以歌妓說是不可信的. 此外也有人提出無此事說, 但持此論者實質上不認為並無此事, 只是不下定論而已, 此說大都是為隱瞞朱彝尊在道德上的過失, 難以令人認同. 妻妹說是《靜志居琴趣》為朱彝尊的小姨所作的論點, 此說的考證比較可信, 所以筆者按妻妹說考察了《靜志居琴趣》的表達方式.
《靜志居琴趣》整體堪稱巨大規模的一組聯章詞. 朱彝尊利用聯章體強化敘事性, 記敘自己的感情歷程. 這一敘事是作者自己一連串的回憶組合, 單篇的作品就是片片的回憶. 《靜志居琴趣》中單篇的作品借助于聯章體的結構, 能得到更多意味無窮的闡釋.
朱彝尊利用時間及空間手法表現出愛情中滿足和受挫的情感. 《靜志居琴趣》中大都是憶舊的詞, 話者用抒情的方式感嘆因今昔對比而痛感不幸的現實, 以及在愛情上的受挫感. 此時, 朱彝尊頻繁使用了別燕意象, 作品中拿別燕比喻女人, 它有時歸來, 有時一去不回, 話者抒發出今非昔比之感. 《靜志居琴趣》作品中男、 女主人公被壓迫的室內空間與他們滿足愛情的室外空間有了對照, 也有跨過現實制約的虛幻空間, 但是這種虛幻空間必然有臨時性, 男女主人公的愛情與欲望忽然受挫.
在《靜志居琴趣》作品中, 我們發現作者內心的矛盾與痛苦. 違背社會倫理的愛情本是無望的, 但是作者心中的不安和痛苦使他不能忘情. 這種複雜的內心世界在作品中巧妙地露出. 朱彝尊一方面想要吐露他的真情, 另一方面又想要隱瞞這種不可原諒的情感, 所以在《靜志居琴趣》里至始至終採取交替使用吐露和隱藏的手法. 從這種隱秘和複雜的表達方式中, 可以看出《靜志居琴趣》是篇含義深邃的文學作品.
愛情是中國詞史上最重要的主題, 詞史上艶詞的地位非常高, 寫艶詞的作者、 作品很多. 朱彝尊《靜志居琴趣》也是以愛情為主體的艶詞, 但是它的愛情表達的方式卻與從前的艷詞全然不同, 其根本原因在於《靜志居琴趣》記敘著作者親身的愛情經驗. 總而言之, 《靜志居琴趣》是吟誦作者朱彝尊自身真摯的愛情敘事, 這是一篇徘徊於告白的意志和隱瞞的欲望之間, 苦思創作出的作品.

關鍵詞 : 朱彝尊, 靜志居琴趣, 淸詞, 艶詞, 愛情表現, 聯章體, 自己敍事, 吐露和隱藏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1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9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