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대중교통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Region-Based Online Community's Activities on Change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 A Case of Namyangju City
-남양주시를 사례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주락

Advisor
손정렬
Major
지리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리학과, 2012. 2. 손정렬.
Abstract
교통현상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형성되는 한편, 매우 지역적인(local) 속성도 가지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제도의 성숙과 참여 민주주의의 성장이라는 시대적 변화는 지역주민의 정책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교통현상에 있어서도 지역 사회의 활동이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지리학에서도 교통현상의 분석에서 있어 지역사회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대중교통정책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것의 활동이 지역 대중교통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동이 대중교통정책에 개입하는 방법과 특징을 기존 시민 조직의 활동과 비교해 알아보았다. 연구지역은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동이 활발한 경기도 남양주시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양주시는 사회경제적 특징, 지형 및 규제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대중교통 관련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양주시는 택지지구 개발 등을 통해 주택이 대거 공급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인구 유입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주민 사이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생성에 좋은 조건이 됐다. 또한 남양주시는 짧은 기간 동안 인구가 급증하면서 인구에 비해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통근, 통학 등 일상생활에서 매일 부딪히게 되는 교통문제는 주민들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큰 불편을 느끼는 부분이고, 따라서 이와 관련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한편, 남양주시는 비교적 넓은 시역(市域), 산재한 산지로 인해 지역 간 이동이 쉽지 않고, 각종 규제로 시가지가 연속으로 발달하지 못해 생활권이 읍면동 단위로 단절돼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가 시군구 단위로 형성된 다른 지역과는 달리, 남양주시에서는 생활권 중심의 더 작은 행정구역(읍면동)을 단위로 형성되는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남양주시에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수와 인구 대비 가입회원의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편이다.
둘째, 남양주시에 존재하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대중교통정책 결정과정에 개입하는 방법을 지역에 기반하지 않은 온라인 커뮤니티, 시민단체의 활동과 비교해 그 차이점을 밝히고, 특성을 도출했다. 먼저,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가 온라인 공간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온오프라인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교통정책 결정과정에 개입하는 모습은 지역에 기반하지 않은 온라인 커뮤니티의 정책참여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가 특정 현안의 발생, 해결 여부와 상관없이 상시적으로 조직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존 온라인 커뮤니티와 차이가 있다. 이는 해결된 현안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상시적으로 주민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공식부분의 정책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다음으로,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는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됐다는 점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형성된 시민단체와 성격이 다르다. 대증교통과 관련한 시민단체의 활동이 주로 대중교통의 질적 측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든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가거나 교통약자를 우대하는 공익적 가치를 중심으로 행해졌다면,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동은 지역 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한 문제제기가 대부분으로, 지역의 대중교통체계에 가시적인 변화를 준다. 이를 위해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는 필요에 따라 인근 지역의 온라인 커뮤니티, 운수업체와 협력하기도 하며, 때때로 지방정부와도 협력적 관계를 맺기도 한다.
셋째,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는 지역주민이 대중교통 정책에 참여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정립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다뤄지는 대중교통 문제는 대단히 국지적인 일로, 지역주민의 이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주민의 관심을 끌기 쉽다. 여기에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가능한 온라인 공간의 특성은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었다. 대중교통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자이자 피해자인 지역주민의 이와 같은 적극적인 대중교통 정책참여는 유관 기관의 변화를 이끌어 냈다. 즉, 대중교통 정책과정에서 지역주민이 주요 고려요인(참여자)이 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체계가 정립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지속적인 주택공급은 신규 주거지를 양산하고 있고, 사람들은 더욱 보편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지방 행정에서 주민 참여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높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온라인 상의 지역 공동체 결성과 이를 통한 정책 참여가 보다 활발해질 것이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역이라는 공간적 구심점을 가지고 결성되는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존 시민조직과 비교해 차별화 된 특성을 살펴보고, 여기서 이뤄지는 주민의 대중교통 정책참여와 이것이 유발하는 지역의 대중교통체계 및 정책과정의 변화를 파악했다. 교통현상의 연구에 있어 지역사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지만, 그간 중요하게 다뤄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Transport phenomenon is based on economic logics like demand and supply. However, it is local as well. As the mature of local autonomy and participatory democracy promotes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policy making, influence of local society's activities on transportation phenomenon has become more important. Thus, in the field of transport geography, there needs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ocal society's activities on analysis of transport phenomenon. Regarding this point, this study makes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which are actively involved in public transport policy as its research objects and aims to find influence of their activities on the change of public transport system. To achieve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intervene in public transport policy and explores the characters of the intervention by comparing the activities of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with those of existing citizen's organization. The research area is Namyangju city, located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 number of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exist t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and geographical properties and regulations of Namyangju city make region-based online community's creation and activities about public transport active. The massive housing construction in all around Namyangju city has resulted in a great influx of population from its neighboring cities. It has become optimal conditions to shape the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where newly moved residents share variou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Namyangju City fail to fully establish well-timed infrastructure because the city has grown too fast. It makes local residents feel uncomfortable; they are facing a lack of public transportation everyday when they go to work, school, shopping and etc. Therefore, on the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local residents have lively discussion about public transport issues. Meanwhile, it makes intra-regional movement difficult where Namyangju city has a relatively vast and mountainous municipal area. Namyangju city divided by regulation into primary administrative unit like Eup, Myeon, Dong(sub-administrative unit under city). It seems the reason that there are sub-administrative region based online communities in Namyangju city which is unlike other cities where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are shaped by city (county) unit. By these characteristics of Namyangju city, the number of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and members per population of each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is more than those of other cities and counties.
Second, this study shows how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participate in public transport policy process by comparing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to non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and NGOs, and draws features. At first, the way of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to collect public opinions in online space and to intervene public transport policy process by using various methods in on- and off-line isn't so different from the way of non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However, the fact that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are constant regardless of creation and extinction of a certain issue differs from existing non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It enables feedback of problems. First of all, it makes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as a political partner of the local government because they function as 'the window' that the local government always gets public opinion. Next, while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are shaped around 'region', NGOs are shaped around 'theme'. NGO's activities for public transport usually focus on promoting public interest such as improving quality of public transport, sharing several benefits to all public transport users and giving preference to the mobility handicapped. However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activities for public transport focus on considering their regional advantage to makes visible changes in regional public transport system. To do so, the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cooperates with its neighboring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transportation companies and sometimes the local government as needed.
Third,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functions as a channel for local residents to take part in public transport policy process and it's important because the foothold of user-oriented public transport system is established through that. The issues raised in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are quite local, so it's easy to appeal to them. In addition, free expression inherent in region-based online communities leads to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ho are beneficiaries or victims of local public transport policy let local government change. That is, as local residents become an important factor (participants) in local public transport policy process, they establish foothold for the user-oriented public transport system.
Continuous housing provision produces lots of 'new residential area', people use ICTs more generally an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n local governance is getting higher. Under such circumstance, shaping local community in online space and the policy process participation will become more active. This study finds differentiated features by comparing region-based online community shaped by 'region' with existing citizen's organization and investigates how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n public transport policy.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public transport system and its policy process. The necessity to consider the local society's activities in the analysis of transport phenomenon has been brought up all the while, but not fully researched so far. In this regard, this study would contribut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3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2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