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새로운 치아마모 측정항목 및 효율성 검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학

Advisor
이승표
Major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2. 2. 이승표.
Abstract
1. 연구목적
최근 삶의 질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하여 자연치 잔존율 향상과 동시에 치아마모 및 이와 관련된 자연치 교합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정성적 치아마모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가상모형을 이용한 정량분석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가상치열모형에서 가상 벡터 및 평면을 통해 만들어진 각도값들을 이용하여 치아마모도를 측정하는 정량적 방법을 개발하고 어떤 항목이 가장 유용하게 쓰일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소아군 20명과 성인군 20명의 가상모형에서 16가지 항목을 측정하였다. 그 중 각도는 12개 항목이었고 높이는 4개 항목이었다. 또한 가상 평면을 이용한 항목은 10개이었고 가상 벡터를 이용한 항목은 6개이었다.

3. 결론
각 항목에서 구해진 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쌍표본 T-검정을 소아군과 성인군 간에 시행하였다. 모든 항목에서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였으며 소아군을 기준으로 퍼센트로도 나타내었다. 결과로 모든 계측 항목에서 소아군과 성인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01). 변화량에서는 항목 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가상 평면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보다 가상 벡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의 변화량이 더 컸다. 또한 측정 기준 평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P < 0.001), 변화량을 퍼센트로 나타낸 값을 보면 DLCA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각도의 변화량은 모두 비슷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 벡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협측과 설측 모두에서 교두의 마모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치아마모, 효율성, 가상모형, 측정항목

1. Objectives
Nowadays, tooth wear and related proper occlusal condition conservation are focused for the elevation of the quality of lif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ooth wear is used for overcome the limit of traditional qualitative scoring method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new tooth wear measurement parameters using angle value.

2. Methods
Virtual 3D dental models were constructed from 40 dental models (20 young group and 20 adult group). Twelve angles and four heights were measured using software. Ten and six parameters were based on the virtual plane and vectors, respectivel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paired-samples T-Test was done for comparing young and adult group. Mean difference and percentage value were also calculated.

3. Results - 10p, 180% 줄간격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young and adult group. Generally, parameters using virtual reference vectors showed higher amount of change than using virtual reference plane.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buccal and lingual reference plane, differences in percentage were similar except DLCA. Therefore, parameters using virtual reference vectors have more effectiveness and tooth wear took place on both buccal and lingual sides.

Key Words ; Tooth wear, effectiveness, virtual models, measurement paramet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7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3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