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하악 대구치 근첨과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관계에 관한 연구 : Anato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apices of lower molars and the mandibular cana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상춘

Advisor
백승호
Major
치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2. 2. 백승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단층영상(CT영상)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하악 제1대구치 근첨과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를 비교분석하고, 파노라마영상과 CT영상에서 측정된 제1대구치 근첨과 하악관의 거리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방사선과에서 하악 CT영상과 파노라마영상을 촬영한 653명 환자의 영상 중에서 하악 제1대구치가 포함된 100명의 방사선사진을 선별하여 연령과 성별에 따라 분류하였다. CT영상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 근첨과 하악관의 최단거리, 근첨에서 협측 골 표면 사이의 거리, 하악관의 협측 피질골에서 협측 골 표면 사이의 거리, 하악관의 지름을 측정하였고, 파노라마영상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 근첨과 하악관의 최단거리를 측정하였다. CT영상 측정값들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이원 분산분석(2-way ANOVA)을 하였으며, CT영상과 파노라마영상의 비교에서는 paired t-test를 하였다.
분석 결과 근심치근에서 하악관의 평균최단거리는 6.7 2.1mm였으며, 원심치근에서 평균최단거리는 6.3 2.5mm이었다. 제1대구치 근첨과 협측 골 표면사이의 평균거리는 근심치근에서 4.3 1.3mm, 원심치근에서 4.8 1.6mm로 나타났다. 하악관에서 협측 골 표면까지의 평균거리는 근심치근에서 4.7 1.2mm, 원심치근에서 5.3 1.3mm로 관찰되었다. 하악관의 지름은 근심치근 하방에서 1.8 0.5mm 이었으며 원심치근 하방에서 1.8 0.4mm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첨에서 하악관까지 평균거리는 원심치근과 근심치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p<0.05)
2. 협측 골 표면에서 근첨 사이의 평균거리는 원심치근과 근심치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p<0.05)
3. 협측 골 표면에서 하악관 사이의 평균거리는 원심치근과 근심치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p<0.05)
4. 연령에 따른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5. 근첨에서 하악관까지 평균거리는 파노라마영상이 CT영상보다 더욱 크게 측정되었다(p<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atomical relationships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api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gend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pex to mandibular canal in panoramic radiography was compared with the distance in the CT image.
We searched CT and panoramic images of 635 patients who visi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1, 2008 to December 31, 2010 and 100 subjec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gender. In CT views, The distances from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the root apex, from the root apex to the mandibular canal and from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the mandibular canal were measured. The diameter of mandibular canal was measured as well.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mandibular canal were measured in panoramic radiography. Data were analyzed by 2-way ANOVA and paired t-test.
The mean distance to the mandibular canal was 6.7 2.1mm for the mesial root and 6.3 2.5mm for the distal root. The mean distance from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the mesial root apex and distal root apex was 4.3 1.3mm and 4.8 1.6mm, respectively.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to buccal cortical plate was 4.7 1.2mm for the mesial root and 5.3 1.3mm for the distal root. The mean diameter of the mandibular canal was 1.8 0.5mm for the mesial root and 1.8 0.4mm for the distal root. The average magnification value of panoramic view was 39% for the mesial root and 40% for the distal root.
Based on thes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Males had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s from the root apex to the mandibular canal than women(p<0.05).
2. Males had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s from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the root apex than women(p<0.05).
3. Males had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s from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the mandibular canal than women(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groups.
5.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mandibular canal in panoramic was measured significantly greater view than in CT view(p<0.0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76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2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