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 Using the Power Size of Departments as Moderating Variable
정부부처의 권력 크기를 조절변수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도빈-
dc.contributor.author안경희-
dc.date.accessioned2019-06-25T16:51:37Z-
dc.date.available2019-06-25T16:51:37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094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5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4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2. 2. 임도빈.-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며, 나아가 이를 활용하여 적절한 인사정책과 조직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하여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일반적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권력 크기에 따라 정부 부처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별 소속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권력 크기가 큰 부처의 공무원 집단일수록 직무만족이 낮았는데, 이는 조직의 권력 크기 및 영향력과 개인의 직무만족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직무만족 영향요인 파악과 맞춤형 인사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반적인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탐색함은 물론, 권력 크기를 조절변수로 하여 권력지수가 낮은․중간․높은 부처 공무원 집단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각각 분석하고 차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측면(공공봉사동기, 부처소속감, 정부책임 인식), 조직 내적 측면(업무 운영, 상관의 리더십, 조직구성원, 직무자율성, 평가공정성), 조직 외적 측면(외부 영향, 시민만족도에 대한 인식)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어떤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개인의 특성과 조직 내적 특성을 직무만족의 요인으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조직 외적 측면의 요인도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었다. 또한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인만큼 개인적 측면에 성별, 소득 수준 같은 요인보다는 공공봉사동기(PSM), 정부의 책임에 대한 인식 등을 적용하였다.
각 요인은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정제된 설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성별․연령․직급은 가변수(dummy variable)로 처리하여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부부처 전체 공무원 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개인측면 요인에서는 공공봉사동기, 부처소속감이, 조직내적측면 요인에서는 업무운영의 효율성, 상관리더십, 직무자율성, 평가공정성이, 조직외적측면 요인에서는 외부영향, 시민만족도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권력 크기를 조절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권력지수가 낮은 부처의 공무원 그룹의 경우 공공봉사동기, 부처소속감, 상관리더십, 직무자율성, 평가공정성, 시민만족도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력지수가 중간인 부처의 공무원 그룹의 경우 공공봉사동기, 부처소속감, 상관리더십, 평가공정성, 외부영향, 시민만족도가, 권력지수가 높은 부처의 공무원 그룹의 경우 공공봉사동기, 부처소속감, 정부책임인식, 평가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어떤 개별적 요인이 아니라 개인측면 요인, 조직내적측면 요인, 조직외적측면 요인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무를 수행하는 공무원 집단의 특성에 따른 공공봉사동기(PSM), 시민만족도에 대한 인식, 외부영향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처의 권력 크기를 조절변수로 한 직무만족 분석을 통해 권력지수가 큰 부처의 공무원 집단의 경우 개인측면 요인이, 권력지수가 낮은 그리고 중간인 부처의 공무원 집단의 경우 조직외적측면 요인과 조직내적측면 요인이 상대적으로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는 권력지수가 높은 부처의 공무원 그룹의 경우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개인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고, 권력지수가 낮거나 중간 부처의 공무원 그룹의 경우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인간관계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요인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부처소속감, 공공봉사동기 등 개인측면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공정성과 시민만족도도 큰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공공봉사동기와 부처소속감, 평가공정성 요인은 모든 그룹에서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무원 인사정책 및 조직 운영 정책을 확립한다면 직무만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는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and furtherm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by appropriate human resources policies and practice of efficient organization operations.
In this study, gener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is expanded with three groups of officials that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ower of government departments. Job satisfac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officials of a group with larger power had relatively low job satisfac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size and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 power do not necessarily match with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to design customized human resource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not only identifying comprehensive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but also in analyzing job satisfaction factors of three different groups separately with low, middle, and high power index and discovering the differences in those groups.

This study analyzed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cross-functionally in personal aspect (public servi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in the department, awareness of the government accountability), inner aspect of the organization (business operations, leadership of the superio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utonomy of job, fairness of the assessment), and outer aspect of the organization (external influences, awareness of the public satisfaction) and reviewed which factor has significant impact. In previous studi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ner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were seen as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ut in this study the out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were also accounted to become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wareness of the government accountability were applied rather than on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or income level for it is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Each factor had been composed of a questionnaire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gender, age, and position were processed as dummy variables to set up control variables.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in personal aspect factor, efficiency of business operations, leadership of the superior, autonomy of job and fairness of assessment in inner aspect factor of the organization, external influences and public satisfaction in outer aspect factor of the organization gave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when targeted the entire public official as subjects in government ministries.
Meanwhile, in the analysis with department power size as moderating variable, for the group of public officials in the department with low power index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leadership of the superior, autonomy of job, fairness of assessment and public satisfaction were dominant factors. For the group of public officials in the department with middle power index, public servi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leadership of the superior, fairness of assessment, external influences, and public satisfaction were most influential in job satisfaction and for the group of high power index, they were public servi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awareness of the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fairness of assessmen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were affected by combination of personal factors, inn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and out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not just by the individual factor.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public officials performing the public service facilitated factors like public service motivation, awareness of public satisfaction and external influences to exert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analysis with power size of department as moderating variable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high power index was mainly affected by personal factors and the group with low and middle power index were affected by inner factors and out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ublic officials in the department with high power index are relatively influenced by personal factors rather than out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and for those in the department with low or middle power index comparatively affected by out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lation factors. Overall, personal factors such as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public service motivation were most influential as well as fairness of assessment and public satisfaction when contemplated by each factor. In particu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and fairness of assessment factors were found in all groups as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establishment of human resources policies and operation policies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could enhance job satisfaction and increase quality of public service in the long ru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_x000D_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_x000D_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_x000D_
_x000D_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검토 4_x000D_
제 1 절 직무만족 4_x000D_
1.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 4_x000D_
(1) 직무만족의 정의 4_x000D_
(2) 직무만족의 중요성 6_x000D_
(3) 직무만족의 측정과 결정요인 7_x000D_
(4)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에 관한 이론 8_x000D_
1) 욕구충족이론(need fulfillment theory) 8_x000D_
2) 보상이론(rewards theory) 9_x000D_
3) 불일치이론(discrepancy theory) 9_x000D_
4) 형평이론(equity theory 혹은 justice theory) 9_x000D_
5) 상호작용모형(interaction model) 10_x000D_
6) 직무동기이론을 직무만족이론에 원용하는 견해 12_x000D_
2.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3_x000D_
제 2 절 정부부처의 권력 크기 18_x000D_
1. 관료제 권력의 정의 18_x000D_
2. 정부부처의 권력 크기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8_x000D_
3. 본 연구에 적용할 정부부처의 권력지수 분석 20_x000D_
제 3 절 선행 연구의 한계 및 연구의 방향 25_x000D_
_x000D_
제 3 장 연구문제 및 연구설계 26_x000D_
제 1 절 연구문제 26_x000D_
제 2 절 분석틀 및 변수의 설정 27_x000D_
1. 분석틀의 제시 27_x000D_
2. 변수의 설정 28_x000D_
(1)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28_x000D_
(2)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29_x000D_
1)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한 독립변수 설정 29_x000D_
2) 독립변수의 설정 31_x000D_
① 개인적 측면 33_x000D_
② 조직 내적 측면 34_x000D_
③ 조직 외적 측면 36_x000D_
(3) 통제변수(control variable) 38_x000D_
3. 분석 모형의 설정과 연구가설의 정리 39_x000D_
_x000D_
제 4 장 분석의 결과 42_x000D_
제 1 절 기술통계 분석 43_x000D_
1. 표본의 현황 43_x000D_
2. 각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44_x000D_
(1) 종속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45_x000D_
(2) 독립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45_x000D_
3. 권력 크기에 따른 집단 간 비교 분석 45_x000D_
제 2 절 다중회귀분석 결과 47_x000D_
1. 다중회귀분석의 가정에 대한 검증 47_x000D_
2.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49_x000D_
(1)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분석 49_x000D_
(2) 권력 크기에 따른 집단별 직무만족 영향요인 분석 53_x000D_
제 3 절 가설의 검정결과 63_x000D_
_x000D_
제 5 장 결론 67_x000D_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67_x000D_
제 2 절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68_x000D_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제시 70_x000D_
_x000D_
참 고 문 헌 72_x000D_
각 독립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 79_x000D_
Abstract 82
-
dc.format.extent9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50-
dc.title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 Using the Power Size of Departments as Moderating Variabl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An Gyeong-hui-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학과-
dc.date.awarded2012-02-
dc.title.subtitle정부부처의 권력 크기를 조절변수로-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094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