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사의 연수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재원

Advisor
금현섭
Major
행정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2. 2. 금현섭.
Abstract
교육훈련이 직무태도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며, 조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과 공공조직은 교육훈련에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계속적인 훈련과 교육이 필수적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원 연수도 양적 확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교원 연수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연수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교사의 연수 경험을 주요 독립변수로 사용하는 한편 이를 연수 종류의 다양성과 연수 이수시간으로 세분화하여 각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종속변수는 직무만족으로 교사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공립과 사립이라는 학교 설립 유형 변수가 연수 경험 관련 변수와 직무만족변수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 연수와 직무만족 변수 모두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교사효능감 변수를 모형에 추가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사 연수 이외에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령, 성별, 학력 등과 같은 개인적 특성 요인과 학교유형, 학교 소재지역 등과 같은 조직 특성 요인을 고려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시행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연수 경험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는 기존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학교 설립 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호항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던 교사효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통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중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는 영향력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교원 연수의 근거가 될 수 있으며, 교사 연수의 내실화와 다양화를 통해 자발적인 교사 참여를 유도하고 독려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교육인적자원관리 정책에 있어 함의를 주고 있다. 또한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교사 연수의 효과가 달라지므로 연수 기획 시 이를 고려하여야하며,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교사 연수의 질적 제고가 선행되어야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교사 연수가 전문성 신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향상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체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기관과 공급자를 중심의 연수제도가 아니라 교사의 자발적 성장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요자 중심, 현장 중심, 사례 중심의 연수 제도로 근본적인 변화를 도모해야한다.
Previous studies show that train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ur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st measures of performance. Both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have raised spending on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lthough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has expanded quantit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test the actual effect of teacher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ing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using teachers training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undation category(public and private)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teacher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Other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sex, and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education and region which can affect job satisfaction were considered as well.
This study using first-year data of Korea Education Panel Research 2005 by KEDI found that teacher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affec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findings support previous research arguments. This thesis included interaction terms to examine if training has a differe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different foundation category. The interaction terms are significant and this suggests that foundation category has a moderating effect. Moreover,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was also confirmed and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 efficacy exert strong influence to job satisfaction by Sobel-test.
This paper can be a basis of teachers in-service training and implies that advancement and diversific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leads into spontaneous teacher training participation. Furthermore, This study signifies that school foundation category has to be considered when teacher training is planned and exercised. Training system should change government-centered and provider-centered into consumer-centered, field-centered, and case-centered in order to complete the virtuous circle among teacher training, job satisfaction, and school education competitivenes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791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7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