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in the Korean Elderly : 노인용 스트레스 척도 개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혜연

Advisor
이경민
Major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2012. 2. 이경민.
Abstract
Stress is a compound topic since i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such as environmental experienc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tressfulness of a situation, and biological response. Although there are many stress measurements including questionnaires or experiments, most of them mainly target the youth or adults. A new stress scale for the geriatric group is needed and this scale should be comprehensible, low cognitive burden, and simple.
Through common factor analysis, we explored geriatric stress factors among Koreans aged over 6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we made a Geriatric Stress Scale and compared the scale scores and other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ymptoms. Neuropsychology tests such as K-MMSE, FAB, and GDS were applied.
Five stress factors were suggested: family stress, finance, alienation, regret for the past, and health. With these five factors, the stress scale scor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sex and age but higher education level showed lower stress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cognitive function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stress groups. Depression, however,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stress factors, only alien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normal patients and ones with dementia.
The Geriatric Str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organized scale. With further research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cale will appear to be more valid. Moreover, to observe stress related cognitive functions, specific neuropsychology tests should be employed to compare stress.
스트레스는 항상성을 위협하는 환경자극과 그에 대한 인지과정으로써 심리적 반응 및 신체의 생리적 반응을 포함한다. 스트레스의 복합적인 특성에 따라 실험이나 설문지를 활용하는 측정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중학교이상의 학력이 요구되거나 주로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에 적합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고, 문항이 길지 않아 인지적 부담이 적으며 임상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스 척도의 필요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스트레스 척도를 만들어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성별과 연령, 학력수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스트레스의 지각수준, 인지기능 및 증상 등이 변인으로 포함되었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와(K-MMSE), 전두엽기능평가검사(FAB), 노인우울검사(GDS)의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48명의 스트레스 설문지 응답을 기반으로 공통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가족요인, 경제요인, 소외요인, 후회요인, 건강요인의 총 다섯가지 스트레스요인을 제시하였다. 이 다섯가지 스트레스 요인으로 이뤄진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낮은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다. 학력의 영향을 통제하였음에도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척도의 점수도 높았다. 스트레스 점수에 따라 인지기능검사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의 우울점수가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요인 중 소외요인은 정상과 치매환자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트레스 척도는 척도개발의 선행작업에 해당하며 추후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통해 검증된다면 더욱 타당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인지노화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의 측정을 세분화시켜 스트레스 점수와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84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6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