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주여성 미디어 제작 워크숍'의 연행론적 치유성 연구 : A Study of the Migrant Women's Media Workshop on Performative Heal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서정

Advisor
임한순
Major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12. 2. 임한순.
Abstract
본고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교육프로그램인 이주여성 미디어 제작 워크숍(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6~)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과 이러한 특성이 참여자인 이주여성에게 가져오는 변화를 분석한 논문이다. 본 워크숍을 통해 이주여성이 겪는 변화를 게슈탈트 치유 원리인 알아차림과 접촉의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워크숍의 효용성을 리차드 쉐크너의 연행이론을 통해 규명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워크숍의 고유한 특성을 과정중심과 교육자와 이주여성의 수평적 관계,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 비공개되는 가정법적 공연과 공개되는 직설법적 공연이 본 워크숍에서 공존하는데, 본고의 연구대상인 워크숍은 전자를 특히 강조한다. 이는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과정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 과정 산출을 위해 결과물이 존재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결과에 초점을 두지 않는 특성은 교육자와 이주여성의 관계를 수평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런 관계는 이주여성의 경계심을 늦추어 이주여성에게 일상생활과 분리되는 워크숍 안에서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밝힌 워크숍의 고유한 특성이 이주여성에게 야기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워크숍은 공연의 전·후단계가 모두 강조되고 있다. 이런 연행의 전체 과정 안에서 이주여성은 자신의 내적, 외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자각할 수 있는 알아차림을 경험하였다. 또한 인지된 이주여성의 욕구는 완결된 작품으로 표현되는 접촉의 과정을 통해 해소되었다. 쉐크너의 연행의 긴장성 구축방법을 통해서 연결-분리-통합으로 본 워크숍의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구조를 1회부터 5회까지의 워크숍 작품내용에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주여성은 외부와 온전한 접촉을 이루었다. 또한 쉐크너가 제시한 연행단위 개념으로 작품 제작 과정에서 나타난 연행 요소들을 분석하여 이주여성의 나-경계가 확장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결국 이러한 알아차림과 접촉의 과정을 통해 이주여성은 궁극적으로 자기-지지를 확립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즉 이 예술교육프로그램은 이주여성이 처해있는 내적, 외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자각하고(알아차림), 그동안 해보지 않았던 방식으로 삶의 영역을 발견하고 체험하며(접촉), 자신의 삶이 통합되는 과정(자기-지지)을 이끌어냈다.
Ⅳ장에서는 본 워크숍이 이주여성의 변화뿐만 아니라 가족 및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환경적 지지까지 확립시켜줄 수 있음을 밝혀, 이주여성뿐만 아니라 배우자, 지역사회까지 변화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주여성이 본 워크숍을 통해 변화하는 과정과 모습을 추적하여 분석함으로써 본 워크숍이 대안적 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연행에 의거한 치유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ey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Migrant Womens Media Workshop, an art education program designed in 2006 for migrant women in Korea. Based on the Gestalt Therapy approach that highlights the concepts of awareness and contact, the analysis considers the potential healing effects of performance that migrant women experience through the workshop.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shop is tested using Richard Schechners Performance Theory.
Chapter II divid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rkshop into two categories: 1) a focus on the process, not the end result, and 2) the building of horizont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ors and migrant women. Both of these features differentiate the Migrant Womens Media Workshop from other healing workshops. While the workshop provides both subjunctive and indicative performances, the emphasis is explicitly on the former. Furthermore, the process of the workshop does not exist solely to produce the end result; rather, the end result exists in order to foster meaningful processes. Since the workshop does not emphasize the end result, migrant women feel less pressure and a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more freely in an environment that is process-driven and distinct from their normal daily lives. By constructing horizont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ducators and migrant women, the workshop also empowers migrant women with a sense of status and responsibility.
Chapter III examines in greater detail the changes migrant women experience through the workshop, including the prior and the post stage of the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migrant women build internal and external awareness of their reality. By expressing their desire through performance, in other words, an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ir awareness as performers, they are able to release their inner voices.
The workshop bases its structure on the concept of connection-separation-integration, which stems from Richard Schechners intensity of performance. Expressed explicitly in the contents of the first through fifth workshops (2006〜10), the concept of connection-separation-integration allows migrant women to achieve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which in turn helps them to build their self-support. Through the workshop, migrant women learn to build awareness of their inner and outer surrounding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realm of life that they have not previously experienced, and to discover a means of integrating self-support mechanisms into their life beyond the workshop.
Chapter IV suggests that the workshop has the power not only to change the lives of migrant women, but also to establish an environment that opens communication lines with the migrants families and with other communities. In this sense, the benefits of the workshop can extend well beyond the participants, enriching communities and improving the lives of others, as well.
By trac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that migrant women experience through the workshop, this paper confirms the performative healing effects of the Migrant Womens Media Workshop as an alternate art education progra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86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8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