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체움직임이 리듬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세은

Advisor
이석원
Major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2012. 2. 이석원.
Abstract
학교 현장에서 음악교육의 실제는 일반 학습자 전체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리듬학습은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리듬은 음악을 듣고 느끼고 이해하게 하는 데 가장 초기 단계에 발생하는 현상과 관련한 것으로, 특히 리듬지각에 관여하는 신체 움직임(body movement)의 효과는 리듬학습과 지도의 측면에서 오랜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은 철학적 견지와 임상적 경험에 기초한 교수법에 그치고 있으며 사실상 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움직임이 리듬패턴의 박을 인식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청소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Phillips-Silver와 Trainor의 구조화 된 실험(Phillips-Silver& Trainor, 2005., ; Phillips-Silver& Trainor, 2007)을 적용, 리듬패턴의 박 인식에 서로 다른 신체 움직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신이 움직인 신체 움직임에 따라 청각 리듬자극의 박을 인식 하였다. 특정 강세가 없는 리듬패턴을 들으며 서로 다른 신체 움직임을 하게 했을 때(2박과 3박 강세의 무릎 굽히기 동작), 피험자들은 자신이 몸을 움직인 강세의 박자와 일치하는 리듬패턴을 들은 것으로 인식했다(2박 움직임 집단의 선택 일치 빈도 95.5%, 3박 움직임 집단의 선택 일치 빈도 72.7%). 이는 리듬패턴의 청취와 인식에 신체 움직임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뜻하며 특히 2박의 경우 그 경향성은 훨씬 강했다.
둘째, 학생들은 타인의 움직임을 단순 관찰 하는 것만으로도 리듬 패턴 박자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관찰한 움직임의 박 유형(2박과 3박)에 따라 움직임에 영향 받는 정도가 달랐다. 2박 움직임을 관찰한 학생들은 강세 청각자극 선택 일치 빈도가 높았고(71.4%) 3박의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선택 일치도를 보였는데(33.3%) 2박에 비해서 3박에서는 움직임에 덜 민감하게 영향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인 분석에서 박 유형(2박과 3박)에 따른 선택 일치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2박 움직임을 시행하거나 관찰한 학생의 강세 선택 일치도가 높은 것이 확인 되었다(t=2.12, p=.040, p<.05).
셋째, 움직임을 단순 관찰하는 것 보다는 신체를 직접 움직이며 리듬을 청취하는 것이 리듬 인식에 확실히 더 효과적이었다(t=2.66, p=.01, p<.05). 이는 다른 사람의 리듬적 움직임을 보기만 하는 것 보다 학습자 개개인이 직접 신체를 리듬에 맞추어 움직이면서 청취할 때 박의 인식과 리듬 패턴의 이해에 훨씬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실험에 참여한 남자 중학생(2학년, 70명)들의 사전 음악 학습 경험과 그 정도는, 피험자들의 움직임과 청각 자극 선택의 일치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데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t=0.3, p=.075, p>.05). 신체 움직임이 리듬 지각과 박의 인식에 작용하는 기제에 사전 음악학습 경험이 개입하고 있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통해, 리듬 인식 및 이해를 효과적으로 돕는 신체 움직임과 그에 대한 인체의 처리과정이 다소 생득적이고 본능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 움직임을 동반한 리듬학습의 실제적 적용에 있어서, 교실 내 학생들의 다양성과 음악학습경험의 폭에 의해 편향되지 않는 수업 내용으로의 긍정적 가능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실행한 결과 학령기 중학생들 역시 특정 박의 신체 움직임을 수반 하며 리듬을 청취할 때 리듬 인식에 움직임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청소년 학습자의 리듬학습에서도 단순히 지적, 청각적 제시를 통한 접근보다는, 적극적으로 신체움직임을 병행하는 수업 내용과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학교 음악수업의 리듬 교수법에 대한 과학적 검증의 시도로써 후속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한다.
Practically, music education has to start with the students of general public school. In that context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of rhythm is very important portion. Body movement is especially related to rhythm perception, and the music education has long target of interest in that relationship. But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by experimental approach and just some empirical and philosophical principles of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ody movement on rhythmic pattern perception of adolescent learner. So 8th grad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 experiment was derived from Phillips-Silver & Trainor's (Phillips-Silver & Trainor, 2005., ; Phillips-Silver & Trainor,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hoose the accented auditory rhythmic pattern what their body moved for the same. That is, the subjects' bodily movement has been influenced to the perception of the beat in rhythmic pattern. Two different accented movement(knee bending by 2-beat vs 3-beat) affected to choose the beat what they heard(each group's agreement rate: 2- beat group=95.5% & 3-beat group=72.7%). This tendency is became more distinct in the 2 beat accented group.
Second, mere observation of body movement also has an effectiveness on the perception of rhythm more or less. But different from the group of 2 beat movement observation group(agreement rate 71.4%), 3 beat observation group showed a little low agreement(33.3%). Students were less affected by 3 beat rhythmic movement when they observe.
At an additional analysis, it appears that the whole students who did the movement or observed into 2 beat rhythmic movement are rated more higher than 3 beat movement(t=2.12, p=.040, p< .05).
Third, moving one's own body was surely effective to perceive the beat than just to observing(t=2.66, p=.01, p<.05). This can apply to the classroom that active movement are more helpful to learn and understand the patterns of rhythm.
Fourth, a certain degrees of experiences of music education has nothing to do with effect of movement to rhythm perception(t=0.3, p=.075, p>.05). When it comes to the mechanic of rhythm perception related to bodily movement, pre-experience on music does not affect. It means that these mechanism possibly operate in the level of instinct. And in a manner of speaking, these also means that embodied rhythmic lessons are appropriated to learners of general public classroom with a varied learning exper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listening to the rhythmic pattern with body movement is more helpful to understand the rhythmic pattern to the adolescent learners as well. It can be applied to general classroom practically to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With this study, more experimental investigation can be anticipated to continue in additional stud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90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7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