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약수지구단위계획의 계획기법과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Yak-su District Unit Plan in Seoul: Its Planning Method and Implementation Proc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정헌

Advisor
김기호
Major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2. 2. 김기호.
Abstract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2005년에 90%를 넘은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이것은 로지스틱 커브(logistic curve) 이론에 의하면 도시개발의 모습에서 도시재생의 모습으로 변화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계획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계획(plan) 중심에서 관리(management) 중심으로 변화, 외향적 확장(Extrovert Expansion)에서 내향적 재생(Invert Infill)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평면적 배열(Horizontal Homogeneity)에서 입체적 복합(Vertical Complexity)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도시설계 분야도 이러한 패러다임의 맞추어 새로운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때이다. 그러나 새로운 제도를 만들기에 앞서 기존의 제도 중에서 이러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제도를 찾아보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래서 지구단위계획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관리계획으로 도시계획법과 건축법의 중간 지대에서 태어난 입체 계획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제도를 체계화 하면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의 부합하는 제도로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은 10년 단위 계획으로 지구단위계획 도입 이후 10년이 흐른 현시점에서 계획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지구단위계획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지구단위계획은 기존 상세계획과 도시설계 제도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계획이다. 하지만 기존 계획에서 발생하던 문제점들이 반복되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연구에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개선방향들이 실제적으로 어떠한 계획기법에 의해서 수립되고, 실행과정 속에서 실현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수행되어오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그러한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다양한 지구단위계획 중 약수지구단위계획은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에서 진행한 계획으로 기존의 계획들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에서 계획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약수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새로운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와 그러한 계획기법에 의한 결과물들이 실행되었는지를 분석하여 과정상에 문제점을 분석한다면 지구단위계획에 실질적인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존의 약수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최근에 이루어진 재정비계획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계획의 참여자인 계획가, 전문가, 공무원, 시민들과 인터뷰 및 현장방문과 관련 문헌을 통한 계획의 실현과정을 분석하였다.
우선, 2002년도에 수립된 약수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계획을 분석하여 계획기법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계획가는 Coordinator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주민, 서울시와 중구청, 전문가 사이에서 각각의 요구와 제안을 잘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두 번째로 다양한 전문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 도시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곳으로 다방면의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지역특성에 적합한 계획을 만들 수 있다. 세 번째로 적극적 주민참여 유도와 협력이다. 기존의 계획은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계획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기가 힘들어서 주민들의 민원이 최소화 되는 소극적 계획에 머물게 되어 계획이 실행되어서 지구의 변화를 느끼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해 당사자들인 주민들의 참여로 지역에 적극적인 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계획이 가능하도록 집단화 구역과 블록단위개발을 통하여 주민협상이 가능하여 다양한 계획이 가능하였으며, 공공시설 확충프로그램을 통하여 체계적인 공공시설 확보를 통하여 지역의 어메니티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들이 실행되어지지 않는다면 계획은 아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실행과정을 통하여 수립된 계획들이 실현되는 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구를 통하여 실행과정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구역지정 단계에서 뚜렷한 계획목표 설정을 통한 구역지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구역지정이 이루어진 주변여건에 따른 계획목표 설정은 이후 구역의 확장과 축소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 및 주민과의 협의과정에 행정상의 낭비를 초래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계획 실행단계에서 Public leadership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계획의 수립단계에서는 계획가의 Coordinator로서의 역할을 통한 계획 수립이 진행되었지만, 실행단계에서는 계획의 실현을 위한 leadership의 부재로 이해관계가 복잡한 계획의 실현이 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계획에서 기존 계획의 의도를 충분히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10년을 바라보고 세운 계획들이 5년 단위 재정비과정에서 기존 계획의도에 반영 없이 계획이 수정되어 계획의 목표가 달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기법과 실행과정의 시사점은 새로운 지구단위계획 및 기존 지구단위계획의 재정비 과정 속에서는 좀 더 발전된 계획안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rowth of the urbanization rate of our country is going downhill, since it exceeded 90% in 2005. According to the theory of a logistic curve, this implies that the change from the urban development to the urban generation is needed. In these circumstances, a planning paradigm is also changing. It changes from 'centering on planning' in the past to 'centering on the management' and from 'extrovert expansion' to 'invert infill', and from 'horizontal homogeneity' to 'vertical complexity'.
Thus, our urban planning also needs a study in the new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is paradigm. However, before establishing a new system, we need to find a system that can play this role among the existing systems. Thus, I became interested in 'district unit planning'. 'District unit planning' is a 'urban management planning'. It is a three-dimensional planning, born between the urban planning laws and the construction laws. Thus, it is possible for this system to develop to the system corresponding to a new urban paradigm. Also, 'district unit planning' is a 10-year plan.
Thus, it is about time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lans, because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Based on this thought, I analyzed the precedented studies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ning'. 'District unit planning' was made to overcome the limits in the existing detail planning and urban planning systems. However, the problems in the previous planning continued taking place. Thus, a variety of studies on the improvement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empirical studies about by what planning methods such improvement plans were in fact established and how such improvement plans could be realized haven't been carried out until now.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is context.
Among a variety of 'district unit planning', 'Yak-su district unit planning' was the plan carried out by the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lanning was established through perceiving the problems in the previous plans and for improving such problems. Thus, I thought that the study would be a great help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ning' through the study on the new planning methods regarding 'Yak-su district unit plan' and the investigation about whether the findings resulted from those planning methods have been in fact implemented for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in the process. A time series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cent reorganization plans targeting the existing 'Yak-su district unit plan' and the process of the plan was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planners, the experts, the civil servants and the residents who were in fact engaged in the plan, a site-survey and the reviews of the related literature.

First of all, the plan for 'Yak-su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in 2002, was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in the aspect of planning methods were derived.
First, planners must play a role as a coordinator. They have to tune the needs and the suggestions from the residents, Seoul, Jung-gu Office and the experts. Second, the cooperation from various professional fields are needed. A city is the place where many interest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So, the cooperation from the experts in many different field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plans appropriate for the regional attributes. The third is encourag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nd their cooperation. It was difficult to feel the change in the distric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because the vision for the plan was not shared due to the apathy of the residents, resulting in the passive planning, minimizing the enmity of the residents. However,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e parties interested, would enable the active planning for the district. Also, the collectivized district and 'bloc unit development' would enable the residents' negotiation, resulting in a variety of planning. And this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menities in the community through systematically securing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program for expanding the public facilities.
However, those plans have no meaning if they are not implemented. Thus, it is needed to check whether the established plans through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re in fact realized. Through the study, the implication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have been derived.
First, in the stage of designating the district, the district designation by the establishment of clear targets of the plans is needed. The establishment of the target of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district designation was completed might cause the administrative loss in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unnecessary time loss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r the reduction of the district later on. Second, the need of public leadership in the stage of implementation was suggested. In the stage of the establishment of plans, the establishment of plans was progressed through the role of the planners as a coordinator. But in the stage of implementation, the plans with the complexity of interests will not be realized due to the absence of a leadership. Lastly, the intention of the existing plans in the reorganization plan of 'district unit planning' needs to be fully understood. Otherwise, the 10-year plans will be modified in the process of 5-year based reorganization process without reflecting those 10-year plans, and as a result the target of the planning may not be achieved. The planning method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will be a great hel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re developed plans in new 'district unit planning' and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existing 'district unit planning'.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00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2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