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으로 본 한국의 건축 ․ 도시 ․ 조경설계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행정타운 마스터플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푸른길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효정

Advisor
최재필
Major
건축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한국은 1960년대를 기점으로 1990년대 신도시 개발에 이르기까지, 양적 성장 위주의 급속한 도시개발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말부터는 이를 반성하는 태도로써 그간 중앙정부의 개발주의 기조와는 다른, 환경 친화적인 도시개발 측면이 고려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별로 그 시기와 도시적 상황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산업화시대가 양산한 여러 가지 폐해들을 반성하는 21세기 전 지구적 상황과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국내에서 이러한 도시의 변화 모습들 중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2000년대 이후 양산되고 있는 도시 내 공원 프로젝트들이다. 청계천복원사업,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등, 서울의 기능을 다한 오래된 도시공간들은 일종의 도시공원으로 재생되고 있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또한 한동안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있었던 미군의 이전으로 비워질 예정인 미군부지들 역시 주거 또는 상업지구로의 개발보다는 넓은 의미의 공원화가 현재의 흐름이다. 한편, 이와 같은 기존의 기능이 다한 도시 공간들의 재생에서 나아가, 최근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같은 신도시 개발까지, 공원은 이제 국내 여느 건설 프로젝트들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혹은 지향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으로, 경관(landscape)을 후기 산업도시의 재생을 구상할 매체로 보고자 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에 주목하고 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후기 산업화 시대에 점증하고 있는 새로운 도시 공간들(post-industrial site, brownfield, landfill)이 도시민의 관광과 여가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되는 현상들을 탐구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오늘날의 도시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해답을 줄 수 있는 이론적 논의로 평가되고 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지난 약 20년간 북미 및 유럽의 도시 프로젝트 사례들을 중심으로 정립되어 온 이론으로, 보편적인 이론과 실천전략으로서 한국의 도시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와 같은 일련의 현상들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 연구 사례인, 후기 산업화 시대에 점증하고 있는 새로운 도시 공간들의 21세기적 공원화 사례와 유사한 도시 프로젝트들이,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꾸준히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 현상들이 서구에서 벌어졌던 그것과 크게 다르다고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동시대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도시 현상들을 이해하는데 있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기본적인 좌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건축, 도시, 조경 등 도시 관련 다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21세기적 공원화 사례들에 대해, 서구를 중심으로 먼저 그 논의를 진행해 온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현상들에 대한 반성과, 미래 우리 도시를 사고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논의함으로써, 한국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학문적, 실천적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바라볼 대표적인 국내 사례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행정타운 마스터플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푸른길을 선정하였다. 이 세 사례는 근대 산업유산에 대한 재생에서 신도시 개발에 이르기까지, 현재 우리 도시에서 주목하고 있는 도시적 현상들에 대해서, 공공과 사용자, 그리고 도시 관련 전문가들의 진지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들로써, 동시대 우리 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을 대변하기에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사례들이다.
한편, 본 논문에서 이러한 대표적인 국내 사례들을 바라보는 렌즈 역할을 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2004년 배정한의 연구를 통해 국내에 최초로 소개된 이후, 최근까지 후속 연구들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선행연구들은 이론의 학술적 논의 부분에 있어서, 단편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논의에 대한 고찰이 잘 이루어진 이후에 그 다음의 논의들이 더 발전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에 대해 통시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득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국내 사례들에 대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해석을 진행함으로써, 미래 우리 도시를 사고함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쟁점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쟁점 사항으로는 첫째, 국내에서 경관(landscape)의 의미는 아직까지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도시의 미관, 혹은 생태환경으로서의 의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최근 국제설계공모 등을 통해 작동하는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경관의 의미가 일부 작가들에 의해서 실험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은 동적인 경관의 의미를 점차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이러한 작동하는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경관이 서구에는 없던 신도시 개발에서 실험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자연의 생태적인 진화과정과 함께 구체적인 건축 프로그램 또한, 도시의 비고정적인 경관 요소로써, 시간에 따라 진화하는 프로세스가 제안되어야 할 것을 주요 쟁점사항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한국의 근대 산업부지와 그와 유사한 새로운 유형의 도시공간들은 그 지정학적 위치 상 도시 내부에 위치하면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같은 주변 도시문제와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설계안은 주변 도시조직과의 활발한 상호관계를 통해 대상지를 포함한 주변 도시 지역의 재생에 기여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맡게 된다. 따라서 국내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사례는 도시재생이라는 부분과 함께 사고되어질 수 있음을 주요 쟁점사항으로 논의하였다.
셋째, 서구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사례에서는 현대 도시의 불확정성을 수용하는 유용한 설계전략으로써 비움과 프로그램화 하지 않음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도시구조의 형태와 기능이 거의 결정된 미국의 도시적 상황에서, 이러한 근대도시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도시화 과정은 서구에 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진행되었으며, 이 때문에 어느 정도의 통제와 규정을 통해 복잡한 도시를 정리하고자 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현대 도시의 불확정성을 수용하는 설계전략인 비움과 프로그램화 하지 않음이 국내에서는 프로그램화된 비움의 전략으로 나타난다. 또한, 국내에서는 장소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을 위해 보존에 대한 사항이 근대 산업부지 및 그와 유사한 유형의 도시공간을 설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쟁점사항으로, 이러한 보존을 강조하는 전략으로서도 비움의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국내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 개념들은 여러 도시 프로젝트들을 통해 계속해서 실험될 것이다. 이 때, 설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이러한 한국적 상황에서의 쟁점 사항들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한다면, 더욱 발전된 미래 우리 도시에 대한 사고가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동시대 국내 도시 현상들을 사고하는데 기초적인 학문적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한국적 상황에서 주목해야 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쟁점 사항들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특정 지역의 상황과 조건에 적응적일 수 있는 광역적인 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Korean society has achieved a drastic development in quantity starting from 1960s to 1990s. By the end of 1990s, as a reflex to quantitative development, they started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urban development. This trend is in line with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reflecting on the side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Korea, the most distinct aspect of this change is the creation of various parks in the city since 2000. From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to Han-river Renaissance Project, various historical spots in Seoul have been reformed to urban parks. Even concerning the American Military land sites expected to be vacated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ecological park-like area rather than business or residential areas. Meanwhile, beyond the regeneration of old urban areas, development of park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or element in any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New Town Development or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development which are part of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Following this trend, this study focuses to Landscape Urbanism which considers 'landscape' as an element of post-industrial urban development regeneration. Landscape Urbanism studies the reformation of new urban spaces(post-industrial site, brownfield, landfill) into a cultural complex space for urban people enjoying tourism and leisure in the post-industrial era. It is considered to be a theoretical discussion which can provide explicit solution in today's urban phenomena. Landscape Urbanism has been established as a theory based on the real case urban project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of the past 20 years. Therefore it may not be able to explain every detail concerning a series of phenomena happening in Korean urban areas. However, recent urba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creation of parks are very similar to the cases of Landscape Urbanism in the post-industrial era.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in the Western society. Therefore, in understanding the urban phenomena happening in Korea in comtemporary times, Landscape Urbanism can provide the basic principles.
In this study, cases of creation of parks of the 21st century in architect, urban plann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other areas since 2000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Landscape Urbanism. Based on the analysis, I will also discuss self-reflection of a series of events occurring in our urban areas and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I tried to draw academic and practical utility from Landscape Urbanism in Korea.
In this study, I have chosen Master Plan for Public Administration Town, Asian Culture Complex and Gwangju Greenway as representative cases for analysis. These three cases can represent the current phenomenon happening in Korean urban areas in the following aspects. They deal with from regeneration of modern-industrial areas to development of new towns. In addition, these cases have serious and in-depth opinions and responses from the public, users and urban development experts.
Meanwhile, Landscape Urbanism which is the tool to analyze the cases in this study, was introduced to Korean scholars in 2004 by Jeong-Hann Pae's study and has been conducted various follow-up studi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its shortcoming because it only deals with Landscape Urbanism at an introductory level. To improve the discussion of Landscape Urbanism, I examined the theory from diachronic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s in the second Chapter of my study.
Based on the major concepts of Landscape Urbanism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the Korean cases in terms and Landscape Urbanism and discuss several important issues regarding future urban development.
The first issue is Korea going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So far the meaning of landscape is mainly interpreted as visual appearance of the city or ecological factor. However, some designers are experimenting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as infrastructure through recent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Korea is now in a stage to gradually accept the dynamics of landscape. In addition, this experiment of landscape as infrastructure in Korea was not part of western new town development projects. This takes the ecological evolutionary process into consideration in planning urban projects as part of dynamic landscape factor. As a result, this phenomenon should be discussed further in the future.
Second, modern industrial sites and similar urban areas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generation of adjacent urban areas through active correlations. It is because they are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y are often related to urban problems such as doughnut pattern. Therefore, in Korea, the cases of Landscape Urbanism can be considered together with 'urban regeneration' and this needs discussion.
Third, in the cases of Landscape Urbanism in western countries, it is found that they use 'emptiness' and 'non-programed' to accept the unstability of the modern cities. This is a reflex to the previous American planning strategy in where they decide the form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city from the initial stage. However, in Korea, urbanization process took place in much more complicated form than the ones in western countries, which is why Koreans shows a tendency to control and regulate the complex urban areas. As a result, 'emptiness' and 'non-programed' strategies take place in forms of 'programmed emptiness'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conserva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reconstructing modern industrial sites and similar urban areas to keep the originality of the area in Korea. 'Programmed emptiness' strategy is also used to resolve this issue.
In the future, major concepts of landscape urbanism will be constantly tested through various urban projects. If we take the situations of Korea into consideration in establishing the designing plan, we will be able to build more improved urban areas.
Landscape Urbanism can provide basic academic framework to devise comtemporary urban developments. Moreover, the issues in Korea concerning Landscape Urbanism implies that Landscape Urbanism can be a comprehensive theory which can be adjusted to certain situations and condi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179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0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