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행동 촉진을 위한 사운드 설계전략 개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현

Advisor
나일주
Major
교육학과(교육공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휴대성과 이동성이 장점인 모바일 학습 환경은 다른 이러닝 매체에 비해 정보를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시각으로만 정보를 전달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는 시각 이외의 감각인 청각을 활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사운드는 19세기 무렵 사운드 관련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시청각교육으로 발전 및 확장되어 지금까지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업 상황에서 교수자의 음성은 중요한 정보전달 매체이나, 이러닝을 비롯한 모바일 학습 상황에서 사운드는 시각자료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거나 어학, 음악교육 등 사운드 기반 교육영역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이처럼 사운드는 시각자료를 보조하는 미약한 활용에 그치거나 특화된 교수설계전략의 부재 하에 교수설계자의 직관에 의해 설계되고 활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이러닝과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는 교수자의 직접적인 지원 없이 스스로 학습을 진행한다. 즉,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자기조절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을 규명하고 지원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 결과 이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행동 촉진을 위한 유용한 전략과 도구들을 제안하였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시각정보 위주로만 자기조절전략을 제시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사운드 설계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할 수 있게 하는 사운드 설계전략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는 개발된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하는 사운드 설계전략의 평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학습 환경의 특성, 자기조절학습 개념 및 특성, 사운드 개념 및 특성 등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개념적 수준에서 사운드 설계전략을 수립하였고 교수설계자 대상의 형성연구방법을 통해 사운드 설계전략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를 타당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사운드 설계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수설계자와 학습자 대상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하는 사운드 설계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들을 인지․동기․행동․환경적 차원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운드의 일반적 설계전략, 컴퓨터 기반 사운드 설계전략,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사운드 설계사례를 분석한 후에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의 사운드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자기조절행동 촉진 설계전략과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의 사운드 설계전략의 두 가지 영역에 대한 체제적인 검토와 분석을 통해 1차 설계전략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후 두 차례에 걸쳐 교육공학박사와 교수설계자 대상의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설계전략을 정교화 하였고, 그 결과 6개의 일반 설계전략과 16개의 상세 설계전략이 제안되었다.
도출된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하는 사운드 설계전략에 대한 평가결과를 얻기 위해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설계전략을 반영한 사례를 개발하였다. 교수설계자는 사운드 설계전략을 제공받은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사운드를 설계해 본 경험을 비교함으로써 사운드 설계전략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경우에는 사운드 설계전략이 반영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와 그렇지 않은 콘텐츠로 각각 학습을 해 보게 한 후, 두 가지 상황의 학습경험을 비교하도록 하였다. 제공된 사운드 설계전략에 대해 교수설계자와 학습자 모두 활용용이성, 효과성, 만족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자기조절학습행동을 촉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설계자의 경우 설계전략을 제공받지 않았을 때보다 설계전략을 제공받았을 때 보다 교수설계 항목이 증가하였고, 질적으로 개선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학습자주의 조절, 학습전략 조절, 학습자 정서 조절, 시간관리전략 조절, 조작활동 조절, 사운드환경 조절의 여섯 가지의 일반적 설계 전략과 이를 세분화하여 상세 전략 16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설계전략들을 체계적․통합적으로 제시할 때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행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정보제시 화면이 작은 모바일 학습 상황에서 시각 정보 설계 위주의 교수설계의 한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 그간 미진했던 청각정보 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bile learning environment has its merits in portability and mobility compared to other e-learning media. However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that presents the contents is relatively small, convey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channel is constraine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utilizing another sense other than vision such as auditory sense. Sound has been developed around 19th century and utilized to audio-visual education until now as the sound related technology advanced. Instructor's voice is crucial information delivery medium in a general classroom situation, but sound in e-learning and mobile learning situation, has been used as auxiliary means to support visual resources or employed restrictively in language, music education and other sound based educational realm. Like this, sound served a tenuous application as an aid to visual resource or under the absence of specializ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it is designed and utilized.
Students mostly precede their learning without any direct support of instructor in e-learning and mobil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high level of self-regulated ability is needed for effectively learning. Therefore, large number of researchers made many attempts to explore and support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 many useful strategies and tools to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e-learning environment have been introduced, yet, the upper limit has been reached by only suggesting self-regulated strategies with visual information in the most researches.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intent to propose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at facilitat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two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at are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at facilitate the self -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Second, what are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developed sound design strategies in terms of facilitating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literature reviews on characteristics of mobile learning, concepts and featur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ound were done to establish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rough formative research method targeting instructional designers, sound design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earch to validate these was performed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rived sound design strategies, the usability test aimed at instructional designer and learners was conducted.
To develop sound design strategies to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first of all strategies that can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ve, motivational, behavioral, environmental dimension and the meaning of each was considered. Then, the general sound design strategies, sound design strategies based on computer, sound design case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were analyzed and the sound design strategies were derived. The first stage design strategies were generated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systematically on the following two areas: design strategies that facilitate self-regulated behaviors, sound design strategie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Then the design strategies were elaborated through two rounds of expert validation from doctor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structional designers. As a result, six general design strategies and sixteen detailed strategies are presented.
The case that reflects the design strategie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to obtain the assessed outcome on the derived sound design strategies in facilitating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The instructional designer was provided with the design strategies in development stage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conducted and the assessment was done after development was completed and the students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cess. Both instructional designers and learners answered that they are satisfied in ease of use, effectiveness, satisfaction on provided sound design strategies, which proves that they facilitated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Particularly, in case of instructional designer, instructional design was conducted while design strategies were not provided and then design strategies were provided to implement the additional instructional design. As a result, compared to the initial product, the number of items in instructional design was increased and it is reported to improve in quality. Consequentially, the provided sound design strategies are proved to help facilitate self-regulated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he final sound design strategi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were six general design strategies such as 'learner attention regulation', 'learning strategy regulation', 'learner emotion regulation', 'time management regulation', 'operational activity regulation', 'sound environment regulation' and the sixteen detailed strategies which segmentalized the general strategies. When these design strategies are presented systematically, self-regulated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can be facilitated. Additional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this offers the basic research on sound information design which has been lacking and help upgrade the upper limit of instructional design which mainly focused on visual information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hat shows information in a small scre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226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9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