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과 일본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Human Character in Eth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창우-
dc.contributor.author쿠니유타카-
dc.date.accessioned2019-07-02T15:06:29Z-
dc.date.available2019-07-02T15:06:29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0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6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00ko_KR
dc.description.abstract도덕교육의 목적이 도덕적인 성격 또는 생활태도를 육성하여 사회의 관습적 규칙에 적극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인격 도야를 도모하는 것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도덕교육은 가장 핵심적인 교육활동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살펴보는 것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의 한 측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한국과 일본의 도덕교육을 살펴보면, 양국은 동일한 유교문화권에 속한 국가로서 학교교육에서 도덕교육을 위한 고유한 교과목 혹은 영역을 설정하여 도덕교육을 실시해 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시대적·사회적 배경의 변화에 따라 변천의 과정을 거치면서 각기 독자적인 도덕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도덕교육을 비교분석하여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에 기반 한 국민성을 지닌 양국의 교육이 지향하는 인간상의 특징을 밝혀내는 일은 상호이해 및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도덕교육의 특징을 보다 심층적으로 밝혀내기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더불어 교육과정의 이념을 그대로 반영한 도덕 교과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양국이 도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상에 관한 개괄적인 관점을 시작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한국과 일본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내고자 하는 사람의 모습, 즉 양국의 교육적 인간상의 특징과 변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위와 같은 양국의 학교교육 범주 안에서 교과목 혹은 교육활동의 한 영역으로 이루어져 온 도덕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양국이 도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의 시대적 특징과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의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구성과 서술 방식, 그리고 진술내용 등을 살펴보고 양국의 교육과정상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를 살펴봄으로써 양국이 도덕(과) 교육과정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사람의 자질, 성향, 품성 등을 표상하는 것이 바로 가치・덕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 비추어 내용요소에서 다루어지는 가치・덕목의 강조점을 양적으로 도출함으로써 양국이 추구하는 인간상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을 밝혀내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으나, 도덕 교과서가 어디까지나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편찬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교육과정의 구조 및 서술상의 특징과 추구하는 인간상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교육과정에서 이념적이고 규범적으로만 묘사되는 인간상을 보다 명료하고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도덕 교과서에 등장한 모범 인물에 관한 서술을 살펴봄으로써 양국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을 도출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모범 인물을 실존인물과 가공인물로 분류하고, 이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는 인물의 성향으로서 성별과 국적, 직업 및 신분, 그리고 출현시대라는 분석 요소를 적용하여 남녀성비와 내・외국인 빈도수를 각각 전체 백분율로 계산한 결과와 직업 및 신분 별 인물의 빈도수를 전체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그리고 출현시대별 인물의 빈도수를 전체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인물의 성향에 대한 양적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도덕 교과서에 등장한 모범 인물 선정의 근거로서 도덕적 가치에 관한 서술을 살펴보고 가치・덕목별로 인물의 빈도수를 전체 백분율로 나타냄으로써 양국의 가치・덕목의 강조점과 성향을 밝힘과 동시에 양국의 동일 가치・덕목의 인물 묘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일본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의 강조점과 성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은 성실함과 자주성을 갖춘 사람으로서 남을 위해 배려할 줄 알고, 애국정신을 바탕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데 비해, 일본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은 생명존중의 정신을 바탕으로 자주적이면서 절제된 사람으로서 남을 위해 배려할 줄 알며, 준법정신으로 사회질서를 지키고 봉사정신으로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모습에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인간상의 강조점은 양국의 도덕과, 혹은 도덕교육 교육과정에 나타난 그것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한국의 인간상의 특징은 성실함을 바탕으로 학구적인 모습을 추구하고 절제된 모습으로서의 바른 몸가짐을 추구하며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을 공경하는 모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유교적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일본의 인간상의 특징은 사회질서나 규칙, 법 등을 철저하게 지키고 학교나 지역사회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봉사정신과 책임감을 가지고 근로에 종사하는 모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집단에 대한 귀속성을 일관되게 강조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dc.description.abstract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people adapt actively to conventional rules of society through nurturing their moral character or attitudes and to promote character training, moral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educational activities to human life. In this sense, this study of looking into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specifically understanding an aspect of human character in educational course on a national level.
In examining the moral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notify that both are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In addition, they both carry moral education into effect by setting up a definite area or a curriculum for it. However,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nges in society, each moral education changed and eventually came to effectuate a different one from each other. Thus, the aim of this paper can be a help to explor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mutual understanding because it is designed to enunciate the features of human character each nation is seeking fo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al educ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national character based on different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Therefore, in order to illuminate the features of moral education of both nations in depth, I will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thics textbooks that reflect the educational ideology of each nation along with its educational course on a national level, and make an attempt to analyze in depth a desirable human character the two nations want to nurture with moral education. For doing so, first of all, I will start with a general perspective on human character, and, next, investigate a desirable human character both want to nurture through school education, that is, what the educational human character of the two nations and how it has changed. Furthermore,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each moral education, operated in a curriculum or educational activity in terms of school educational field, has changed, I will inquire into historical features and changes in human character the two nations want to nurture with moral education.
Next, through inspecting how the purposes and contents of the ethics textbooks of Korean and Japan now in use on a national level are organized, described and what statements are in them, I will make an effort bring to light the features in educational course of the moral education of the two nations. Moreover, by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I will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features of a desirable human character emergent in each educational course. Basically, it could be that what manifests talent, tendency and personality of a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moral education is value/virtue. On top of this, by drawing an emphasis on value/virtue in text contents quantitatively, I will try to reveal clearly the features of a desirable human character of each nation. Though this study is aimed to make clear a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ethics textbooks, I will try to present lucidly the basis of the argument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ethics textbooks are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moral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nt more clearly and specifically a human character described ideologically and normatively in educational course, I will deduct human character in the ethics textbooks of the both nations through examining some descriptions of exemplary figures, and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m. To be more specific, I will categorize exemplary figures in ethics textbooks into actual and imaginary person; in examining them, I will apply the analytic criteria, concerning their tendencies, such as sex, nationality, occupation, social status, and a time period they lived in to them, and make a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m through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ex ratio and the frequency of the number of local residents or aliens changed into percentage, of the frequency of figures according to occupation and social status changed into percentage, and of the frequency of figures according to a time period they lived changed in percentage. Also, I will investigate some descriptions of ethical value as the ground for selecting exemplar figures in ethics textbooks, and change the frequency of them by value/virtue into percentage. On this basis, along with revealing emphasis on value/virtue and tendencies of the two nations in moral education, I will make an attempt to analyze contents describing figures with the common value/virtue.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some emphases on and tendencies of a desirable human character are as follow. The human character in Korean ethics textbooks is a person with sincerity and autonomy who can consider others well. Thus, an emphasis is laid on her/his aspects to make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a peaceful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on a patriotic spirit. By contrast, the human character in Japanese ethics textbooks is a person who is independent and self-control on the basis of the respect for life. Thus, an emphasis is laid on his/her aspect that keeps social order with the law-abiding spirit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Japan with voluntary spirit. Thus, it is made clear that such emphases on human character are very analogous to them in ethics or moral education course of the two nations. Moreover, the features of Korean human character can be interpreted as keeping its Confucian tradition in light of the fact that it seeks for a scholarly attitude on sincerity, right conduct with moderation, filial duty, and respect for the elder. On the other hand, the features of Japanese human character can be interpreted as a constant emphasis on esprit de corps in light of the fact that it seeks for strict observance of social order, regulation and rule, active contribution to school and communities, etc., work with voluntary spirit and responsibility as a social member.
-
dc.format.extent29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70-
dc.title한국과 일본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간상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Human Character in Eth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國井裕-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국민윤리교육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00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