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experiencing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지언

Advisor
고정희
Major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이 연구는 고전시가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시조 의미구조 경험 교육의 내용을 개발하고, 그것이 경험 교육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교육의 실행 방안을 설계하였다.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이란 시조 의미구조의 이해 교육이나 시조 의미구조의 수행 교육과 달리 시조 의미구조를 경험의 대상으로 삼는 교육이다. 경험 교육은 경험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한 경험을 교육 내용으로 삼기 때문에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거나 경험을 통해 수행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처럼 경험을 교육적 수단으로 사용하는 교육과는 구별된다. 문학의 교육적 효용 중에서 간접 경험을 통한 경험의 확장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만큼 문학교육에서 경험 교육은 충분히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지만 경험 교육 이론의 진전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시조의 의미구조는 정형시로서 시조의 형식적 특질에 우리 언어문화의 보편성 및 당대의 고유한 세계관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산물로서 시조를 시조답게 하게 중요한 자질이다. 시조 의미구조란, 시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의미 단위인 초, 중, 종장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하나의 주제를 향해 전개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시조 텍스트 내부의 의미 단위를 결합시키는 틀인 동시에 시조의 소재가 되는 1차 경험으로부터 유의미한 요소들을 집약하여 2차 경험을 조직해내는 틀이기도 하다.
학습자들은 직접 시조를 지어봄으로써 이와 같은 시조의 의미구조를 경험하게 된다. 학습자들이 시조의 의미구조를 경험하는 방식은 시조 의미구조를 추동하는 조직자(organizer)를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을 시조의 형식으로 표현해 보는 것이다. 조직자는 구비 공식구에서 착안한 것으로서, 시조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구절 중에 시조 의미구조의 텍스트구조 표지와 같은 역할을 내포하고 있는 표현들을 가려 뽑은 것이다.
예를 들어 창을 열고 바라보니라는 조직자가 주어지면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창밖의 풍경에 눈을 돌려 특정한 대상을 탐색하고 그 대상과의 정서적 접촉으로부터 어떤 감흥을 얻게 된다. 이 과정이 시조로 표현되면 시조 의미구조의 한 유형인 계기-발견-감흥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처럼 조직자는 학습자들의 시조 의미구조 경험을 촉진시켜주는 학습의 비계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의 2장에서는 시조 의미구조 경험의 체계를 경험의 대상인 시조 의미구조, 경험의 방법인 조직자를 활용한 시조 창작, 경험의 결과인 시조 창작물 즉, 학습자의 일상의 경험이 문학적으로 구조화되어 2차 경험으로 전환된 결과물이라는 세 요소로 분석하였다. 이 때 시조 의미구조가 1차 경험을 2차 경험으로 재구성하는 원리가 밝혀지면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이 교육의 활동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원리가 밝혀지지 않으면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은 직관적이거나 우연한 행동에 머무르게 된다고 보았다.
3장은 시조 의미구조 경험 교육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학습자가 시조 창작을 통해 경험하게 될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재현 방식은 각 의미구조의 유형에 해당하는 고시조 작품들을 분석하여 얻어낼 수 있었다. 시조의 의미구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각각 개별적 인식의 일반화, 내면적 갈등의 장면화 그리고 태도 강화의 논리화라는 방식으로 경험을 구조화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경험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으로 시조 의미구조가 지니고 있는 경험 재현 태도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관조(觀照), 조화(調和), 공명(共鳴)과 같은 높은 수준의 경험 재현 태도를 지니면 대상과의 충실한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통합성을 확장함으로써 폭넓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시조 의미구조 경험 교육의 설계를 목표, 위계화, 평가의 차원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이 교육의 목표는 경험의 성장 외의 다른 것이 아니며 여기서 경험은 자기중심성과 단편성을 극복하고 통합성과 계속성을 획득하는 방향으로 성장한다. 이와 같은 경험 성장의 방향으로부터 경험의 계열성이 확립되는데 이것이 위계화의 원리가 된다.
이 교육의 평가는 경험의 주체가 경험 성장에 대한 교육적 감식안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며, 평가 역시 성장하는 경험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설계된다. 학습자가 성취한 경험 성장의 정도는 율격적 완결성, 의미구조의 입체성, 경험의 충실성의 기준과 각 세부기준들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평가의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경험 성장에 대한 교육적 감식안은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에서 학습자가 이룬 성장의 또 다른 증거이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ijo〔時調〕, which is a representative genre in classical Korean poetry, and designing them as a core sphere in literary educatio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swers to the following two questions. The first is why should learners have to study the sijo? In other words, this question is the inquiry of how can the sijo contribute to learners growth. The answer of this question can clearly show the need of this study and the ultimate goal of sijo education. The second is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learners must learn about or through the sijo. The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ill be determined by the answer of this question.
As an important property that makes a sijo what it i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structure arising from the unique form of the sijo.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signifies the way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of a sijo move towards a theme of the work in a close relationship. It is the framework which combines the internal meaning units of the work and organizes second experience by integrating the significant elements of first material experiences.
Based on the tripartite structure of sijo, the present study presents nine patterns of meaning structure. To present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sijo on nature often adopt the structure of moment, discovery, and delight; those addressing emotional issues such as parting often adopt the structure of problem, diagnosis, and response; and didactic sijo often adopt the structure of claim, grounds, and attitude.
By personally composing sijo, learners come to experience such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The way in which learners experience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is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in the sijo form by making use of organizers. Organizer, which is created based on formulas, signifies the expression which appears in the work repeatedly, and performs the role of text structure sign of meaning structure of sijo. For example, When I open the window and look out is an organizer that draws out the content that can be seen as the moment from the first line of sijo. When learners are made to compose sijo after being presented with this organizer, they create sijo with the meaning structure of moment, discovery, and delight without difficulty.
Through an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learners can learn that they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appropriate meaning structures i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not only the sijo but also other literary texts. Indeed,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a text is one of the indispensable elements of linguistic competence. By comparing classical sijo with their own sijo, other Korean poetic genres, or fixed verse forms from other countries, with a focus on meaning structures,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will allow them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in terms of literary history and to broaden their horizons to world literature.
In addition, by composing sijo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learners can experience ways of giving structure to their experiences and constructing meaning which is beyond the first impressions. Trough the mediated experience, and by way of literary works, they come to see their experiences in a new light. Naturally this applies with the linguistic, cultural, and cognitive goals of literary education.
Although the sijo is a poetic genre enjoyed mainly by the scholar-official class〔士大夫〕during the Joseon〔朝鮮〕Dynasty (1392-1910),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both literary history and education is not limited solely to the culture of a particular era and a particular class. In fact, as a unique and fixed verse form created through the summation of the heritage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ntemporary cultural sophistication, the sijo reflects the linguistic, cultur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s. In addition, it is a living genre which has been composed to this day.
In this respect, learner's experience of the sijo by personally composing it can be discovering the present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ture. And allowing learners to experience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sijo by composing it based on the organizers of sijo will be significant examples for designing the overall framework of literary educ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233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5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