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난곡 재개발 지역 노인들의 삶 - 지역사회의 변화와 사회자본 탐색 - : A life course perspective on the elderly's lives in a renewed area : Exploring a changing community and its social capita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혜-
dc.contributor.author주지현-
dc.date.accessioned2019-07-02T15:25:56Z-
dc.date.available2019-07-02T15:25:56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75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64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57ko_KR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시의 재개발 지역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의 삶을 생애과정 관점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노년기 삶의 질 이슈 탐색에 있어 장소, 그리고 지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이유는 지역사회는 우리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바탕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계층과 라이프 코스, 문화적 간극 등은 바로 우리가 사는 지역사회 안에 존재하며, 도시는 농촌과 비교하여 그 간극이 보다 심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정책적 관심을 필요로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의 개인의 삶에 대한 영향력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지점으로 최근 재개발 된 도시의 한 지역사회를 교두보로 삼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의 삶을 들여다 보았다. 질적 방법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서울의 난곡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 13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곡지역에는 재개발이 완료되면서 매우 다양한 층위의 노인들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 축에서 보면, 난곡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과 새롭게 난곡으로 들어온 노인들 그리고 재개발을 즈음하여 난곡 지역을 떠났다가, 다시 되돌아온 노인들이 확인된다. 여기에 공간축을 더하면 노인들의 경제적인 성취수준을 포함한 다양한 층위가 발견된다. 가령, 달동네 주민이었다가 재개발 된 아파트를 소유하게 된 노인이 있는가 하면, 가진 재산 없이 난곡지역에 머물러 살아가는 노인도 있다. 또 아파트를 소유한 채로 난곡지역의 일반 주택에서 거주하는 노인들도 관찰된다. 이와 같이 분류되는 각 그룹의 노인들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생애과정 관점에 비추어 재개발과 노인의 삶과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한 바로는 1) 노인들에게 재개발은 삶의 연속성이 강제적으로 단절되는 경험임을 알 수 있다. 노인들은 재개발로 기존에 어울리던 사람들이나 하던 일 등이 전방위로 교체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2) 한편으로, 재개발은 그 간의 누적된 삶의 경험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노인들이 동일한 공간에서 같은 사건을 경험했다 하더라도 살아온 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선택이 서로 다르다보니, 현재의 삶의 모습에 현저한 차이로 나타나기도 한다. 3) 서울에서 가장 가난한 동네로 낙인찍힌 난곡지역에 들어와 긴 세월을 살아온 노인들은, 경제적인 성취 여부를 떠나서 이곳에서 살아온 자신의 삶의 노고와 장소에 대한 헌신을 인정 받기를 원한다. 4) 노인들은 재개발 사건을 통해 가족관계의 상호의존성을 경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이 거주지를 옮긴다거나 잔류(殘留)하기로 하는 등의 선택 배경에는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이 가진 특성 및 영향이 결정적일 수 있음을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5) 재개발 결과로 아파트를 소유하게 된 노인들에게 아파트는 미래에 자녀들에게 이전 될 자본이며, 따라서 이는 자녀들의 부양과 교환 가능 한 가치 있는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재개발 된 지역사회 및 이곳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의 사회자본 특성은 네 개의 범주(사회적 상호작용․제도화된 사회자본․사회참여․지역사회 인식)로 정리할 수 있다.
1) 재개발 지역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약한 유대(weak tie)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규범이 강한 유대로 발전해 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타지역으로부터 이주해 온 노인들이나 난곡 지역 안에서 거주지를 옮긴 노인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기존 연구에서와 달리 노인들이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해 나가는 것에 대해 큰 거부감을 갖지 않는 데에 몇 가지 이유가 관찰된다.
노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결합 사회자본의 유지 및 강화이다. 특히, 재개발로 거주지가 제각각 달라진 노인들이 정기적인 계 모임을 통해 회합하는 것이 매우 흔하게 관찰된다. 이를 통해 같은 시기에 경험을 공유했다는 시간적 배경에서 비롯된 기대와 신뢰는 결합 사회자본 형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요소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노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방식에서 젠더의 차이도 발견할 수 있었다.
낙후된 지역에서 오랜 삶을 살아온 노인들 중에는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과의 연계망을 형성하여 상호부조 하며, 이를 통해 동네와 이웃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는 낙후된 지역 노인들의 생존을 위한 한 전략으로 보이는데, 연구자는 이를 장기화 된 호혜와 포용(inclusion)으로 보았다.
2) 제도화된 사회자본은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정리 해 볼 수 있다. 우선, 참여자들은 대체로 지역사회의 서비스나 편의시설, 조직 등에 연계되어 살아가고 있는데, 이 같은 제도적 차원의 사회자본은 이를 이용하는 노인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제도적 차원의 사회자본에의 접근이나 신뢰에는 노인 개인의 태도나 살아온 생의 역사, 환경 그리고 계층과 같은 요소들이 작용함으로써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보인다.
3) 도시지역의 사회참여는 하던 사람에게만 기회가 몰리는 쏠림 현상이 특징적이다. 도시거주 남성 노인들은 은퇴를 하면서 그 간에 해 오던 직업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사회참여를 시작하게 되는 양상이 관찰된다. 그러므로 은퇴 이전에 무슨 일을 하였는가는 지역사회 구성원들로부터 능력여부를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빈곤층 남성 노인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회참여가 제한된다. 사회참여의 장점이나 이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노인들은 하고 있는 활동을 줄여 나가고 있다. 노인문화와 관련한 사회적 담론이나 연령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 등은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가로막는 한 요인으로 보인다.
4) 노인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을 획득하는 과정에는 생의 단계의 특성이 반영된다. 아울러 생애 과정의 경험들은 현재의 인식을 구성하는 자원이 된다. 여기에 지역사회가 갖는 고유한 속성이 더해져 지역사회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참여자들에게는 현재 살고 있는 장소에 대한 강한 애착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노년기라는 생애단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들에게 살아갈 곳은 곧 죽을 곳으로, 이들은 지금 살고 있는 곳에서 나이 들어가고 싶어 하였다.
넷째, 재개발 완료 이후의 사회자본 인식에는 상당한 변화가 감지된다.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체감하는 사회자본의 수준에도 차이가 있으며, 사회자본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결과들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지역사회의 환경 변화에 대해 재개발 이전의 역사를 아는 노인들과 그렇지 않은 노인들 간에는 분명한 견해의 차이가 있다. 원주민인 노인들은 과거와 비교해 지역사회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데 반해, 이주해 온 노인들은 다른 동네와 비교하여 지금 살고 있는 곳을 평가한다. 그러다보니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도 서로 상반 된 견해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 지역사회의 인프라에 대한 인식은 노인의 계층에 따라 그 차이가 더욱 극명해 지는 것으로 보인다.
재개발이 완료되면서 경로당이나 복지관, 놀이터나 학교 등 특정한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 간에 구별짓기가 발생하는 것은 재개발에 따른 부정적 효과로 볼 수 있다. 이는 자원을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배제하는 행위로, 경계 간 구별 짓기의 심화는 지역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재개발이 주민 간 갈등을 완화시키고, 사회통합을 이루어 내는 등 보다 사회 분위기를 좋게 만든다는 가정 하에서 이루어진다(Uitermark, 2003)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결합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경계 밖 사람들에 대한 배제는 지역사회의 분열 조장이라는 위기로 나타날 수 있다. 덧붙여, 노인들이 가진 유대나 관계망의 양적․질적 특성에 따라 사회참여의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개발의 과정을 통해 거주민의 다양성은 증대되었지만 반면, 물리적인 구획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어떤 이들이 연대하면 가능한 일이 또 다른 그룹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지역주민들이 알아 채 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재개발이 이루어진 지역사회 현장에서 노인들이 겪은 재개발 경험의 주관적인 의미들을 밝히고, 사회자본 기제가 작동되는 공간으로서 도시 지역사회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불량 주거지가 사라지면 그 곳에 살던 사람들까지도 함께 떠나갈 것이라던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 재개발 된 지역사회에 다양한 층위의 사람들이 살고 있음을 환기시켰다. 특히 거대하고 낯선 도시 한 가운데, 자신이 삶의 터전으로 선택한 지역사회는 노인들의 생존을 위한 전략적 거점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가 노인들의 삶에서 갖는 의미와 위상을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한국 노인들의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시점임을 감안했을 때, 사회자본의 개념을 점검해 보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changes in community due to urban renewal. Life course approach was employed.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xamine how the elderly in the recently renewed community settled there in the first place, and what their current lives are like.

2. Understand how the elderly's lives are connected to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3.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in the renewed community and of the elder residents, a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context and the elderly's individual lives.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methodology. The subjects were 13 60-year-old or older residents of Nangok, Seoul, which was recently renew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ull-fledged renewal of Nangok began in 2000s. An apartment complex was built in the area, replacing the hillside slum and improving the community's impoverished impression. At first glance, the effort to get rid of its previously negative image seems to have succeeded. However, as the diversity in the residents increased, and a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surfaced, the danger of social exclusion, negative neighborhood effect, and stigma associated with the slum has grown immensely.

2. It is notable how the subjects, who chose to remain in Nangok even after the renewal, settled down in the area in the first place. They were primarily peasants who came up to Seoul in the era of urbanization. Without education or other utilizable resources, they had to take lower tier jobs such as simple labor at construction site and the like, sewing machine operator/assistant, and salesman; and move around slums before an acquaintance introduced them to Nangok. In the past, the hillside slum was the place people under similar circumstances clustered, and subjects felt a great deal of nostalgia for the area as a community where people genuinely cared about one another. However, this affection was limited to the street they lived in, and subjects were indifferent or cautious toward those who lived outside their personal boundaries. Some of the elderly in Nangok were ambivalent about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On one side, they were proud that their community had become "a rich community", but on the opposing end, they were resentful that their lives there were not recognized.

3. There were various types of elderly with distinctive lifestyles in renewed Nangok. The dichotomy of "newcomer" and "native" was not enough to explain the diversity in residents. Space-time diagram could be utilized to examine the variety in residents.

4.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about changes in the community and the elderly's contingent lives:

(1) The elderly experienced a forced discontinuity in their lives due to the renewal. They had to experience overall changes in their jobs or acquaintances.

(2) Since renewal, the accumulated life experiences of the elderly started to manifest. This was especially true of economic disparity.

(3) After having spent many years in Nangok, the poorest district in Seoul, subjects wish for their lives to be recognized by both themselves and others,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situation.

(4) The elderly experienced the inter-contingency of family lives through the renewal. A few anecdotes ascertained that the resident's choice to move from or remain in Nangok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Those in lower class in particular, were seen being influenced by their children's life course.

(5) The apartment the elderly came to possess as the result of the renewal, was an asset that will be inherited to the children, and was perceived by the elderly as a resource that was exchangeable with their children's support. However,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could sometimes cause discord or conflict if there were difference in opinion.

5.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its elder residents' social capital, before and after the renewal, were as follows:

(1) Considering that a renewed area is vulnerable to disintegration of social network, it may be a very disadvantageous environment for the elderly. Nonetheless, they were found to be dealing with the matter rather flexibly, by constructing new networks.

1) The most prominent trait of the elderly's social interaction in the renewed area was the relationship norm based on 'weak ties'. This could be attributed to ① the properties of a city as space, ② the pre-existence of a space-based community that is elderly-friendly, easily accessible, and promotive of elderly interaction in the area, ③ and the fact that subjects were at their final life stage, senescence.

2) The elderly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ir bonding social capital. They sought to strengthen their ties not only with the residence-based weak ties, but also with friends from hometown, alumni, colleagues, and old neighbors. The most outstanding trait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would be "gye (a traditional private fund) group" for which they got together even after they moved apart due to the renewal.

3)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way the elderly interacted. As for female subjects,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was that the reciprocity could be expected instantly, and that they felt they had confidants nearby.

4)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the danger of social exclusion as the elderly have lived for so long in the underdeveloped area. But subjects were seen working out the problems by constructing networks with people in similar circumstances to aid one another. This seems to be a survival strategy for the elderly in a slum, and the researcher deemed it as a form of inclusion, and as an abiding reciprocity.

(2) The Instituti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unique to Nangok and its residents could be summarized in t재 main points.

1) Subjects were generally linked to the community's serviced,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This is the institu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and it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elderly.

2)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oice and resource in the elderly's accessibility and trust toward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In other words, individual attitude, history, environment and class were responsible for the differences.

3. There were certain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subjects' social participation:

1) Subjects perceived social participation as the result of having been recognized, and at the same time, as a method to be recognized. It is not easy to be recognized as oneself in a city where anonymity is the rule.
Hence the elderly's explanation that their social participation was started out of others' approval and encouragement, rather than of their own volition. And considering that this recognition was by a community leader who had gone through the same steps, it could be said that this kind of social participation is somewhat hereditary, and is of unequal opportunity.

2) The elderly seemed to be voluntarily cutting down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ir needs and social pressure both play part in this decision. Especially, ageism and social discourses about the elderly were impeding the elderly's active engagement in social participation. Additionally, health was a big factor in the decrease of social participation. The decrease in social capital is both the predictor of health declination and its result at the same time.

4. The elderly's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is as follows:

1) The elderly's perception of the community was reflective of their life stage and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community constitut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perception.

2) Subjects showed strong attachment to the community, and this c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ir life stage. For the elderly, where they reside is where they will die. They wished to age in where they currently reside.

5. The following i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after the renewal:

1)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influx of new resi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made the elderly aware of the societal changes. However, opinions differ between those who know the community history before the renewal and those who do not. Additionally, where they reside and what their lives are like now also seem to affect the way they perceive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2) Distinctions emerged in specific places such as senior citizen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s, playgrounds or schools, among the users. This is an exclusion of the elderly without resources, and aggravation of this situation could lead to a delay in community integration.

3) The reason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did not bring about the same outcomes, might be the differenc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 their ties and networks. Also, it has become apparent with the demarcation, that some things are just not attainable for those in certain areas, while the diversity of the residents has been intensified. This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residential segreg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ing discussions can be made:

1) Social capital, as it is only productive to those who have access to it, is not available to every elderly person. It is hierarchical in the sense that it is influenced by class or age, and not everyone has access to it.

2) The elderly do not merely benefit from social capital, they produce and complement it as well.

3) Both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have respective merits and demerits.

4) Urban renewal has both bright side and dark side, and consequently, the resultant social capital has ambivalent properties as well.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cern that there is very little known about the elderly's lives in renewed area. It was also an effort to examine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the directions future researches could take, as the literature on Korean elderly's social capital is nearly nonexistent. This is only a small step, but we hope it will become a seed that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elderly's well-being.


keywords : life course perspective, urban renewal,
community, social capital,
elderly's lives in renewed area
-
dc.format.extent26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49-
dc.title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난곡 재개발 지역 노인들의 삶 - 지역사회의 변화와 사회자본 탐색 --
dc.title.alternativeA life course perspective on the elderly's lives in a renewed area : Exploring a changing community and its social capita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oo, Ji Hyu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아동가족학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75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