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투훈련동작에 적합한 전투복 상의 평가기준과 패턴 개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주현

Advisor
남윤자
Major
의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전투훈련동작의 3차원 관절각과 동작에 따른 체표길이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전투훈련동작에 적합한 전투복 상의 평가 기준과 패턴 제도법을 개발하였다.
전투훈련동작을 분석하여 전투복 상의의 평가 기준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복 상의의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동작을 선정하기 위해 20대 남성 4명을 대상으로 전투훈련동작 12가지에 대한 목, 어깨, 팔꿈치, 몸통 관절의 3차원 관절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관절별로 최대값이 나타난 동작을 기준으로 5가지의 평가동작을 선정하였다. 수류탄 던지기 훈련에서는 목관절 외전, 어깨관절 외전, 몸통관절 회전 각도값이 최대로 나타난 서서던지기와 목관절 굴곡 각도값이 최대로 나타난 굽혀던지기가 선정되었다. 유격훈련에서는 어깨관절 굴곡 각도값이 최대로 나타난 높이뛰기와 몸통관절 굴곡 및 신전 각도값이 최대로 나타난 팔동작 몸통받쳐로 선정되었다. 각개전투훈련에서는 목관절 신전 및 회전, 어깨관절 신전 및 내전, 팔꿈치관절 굴곡, 몸통관절 외전 각도값이 최대로 나타난 응용포복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전투복 상의의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5가지 평가동작별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여 각도값이 최대인 시점의 세부동작을 선정하였고, 세부동작의 3차원 인체형상에 대한 체표길이 변화를 분석하여 동작별 체표길이 변화가 큰 부위를 선정하였다. 세부동작은 5가지의 평가동작에 대한 6가지의 세부동작이 선정되었고, 서서던지기 동작의 세부동작을 동작1, 높이뛰기 동작의 세부동작을 동작2, 팔동작몸통받쳐 동작의 세부동작을 동작3, 응용포복 동작의 세부동작을 동작4와 동작5, 굽혀던지기의 세부동작을 동작6으로 명명하였다. 세부동작에 대한 체표길이가 최대로 나타난 부위를 분석하여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동작1은 앞품, 동작2는 뒤품과 위팔둘레선 부위, 동작3은 허리둘레, 동작4는 진동둘레와 옆선길이, 동작 5는 팔꿈치둘레선 부위와 소매길이, 동작6은 칼라높이로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평가동작과 항목을 바탕으로 전투복 상의 패턴 기준선과 선행연구의 착의평가 문항을 참고하여 전투복 상의의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평가문항은 정립 자세에 대한 형태 적합성과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동작 적합성으로 구성하였다. 형태 적합성은 착용자의 치수 적합성과 전문가 평가자의 외관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동작 적합성은 일반동작과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전투훈련동작의 분석을 통한 전투복 상의 패턴 개발 및 착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훈련 동작의 체표 신축률 분석을 통해 산출된 최소 필요 여유량을 기존 셔츠원형 제도 공식에 적용하여 패턴을 제도하였다. 여유량의 적용은 체표 신축률을 그대로 제도식에 적용한 경우와 참고하여 적용한 경우로 나누어 설정하였고, 체표 신축률을 그대로 적용한 제도 항목은 앞품, 진동둘레의 여유주름, 소매다트, 고젯 폭의 4가지 항목이며, 신축률을 참고한 제도 항목은 소매부리둘레와 옆선길이의 2가지 항목으로 하였다. 기존 셔츠원형 제도 공식에서 계산식에 의한 항목인 앞품, 뒤품, 진동깊이, 목밑너비의 4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제 5차 인체치수조사사업의 20~30대 남성 1,033명의 인체치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설정하였다. 직접측정치 사용항목과 계산 치수 사용항목을 변수로 하는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회귀식은 앞품=0.21×가슴둘레+17.8, 뒤품=0.21×가슴둘레+20.2, 진동깊이=(0.26×등길이)+(0.07×가슴둘레)+0.9, 목밑너비=0.24×목둘레+4.4이다. 연구 패턴에 대한 2회의 착의평가를 거쳐 최종 패턴 제도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최종 개발 패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얻기 위해 기존 전투복과 비교하여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종 전투복이 기존 전투복에 비하여 더 좋은 평가를 얻었다. 최종적으로는 기존 전투복에 비해 둘레항목에서의 여유량은 감소하였으며, 형태 적합성과 동작 적합성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전투훈련동작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투훈련동작에 대한 적합성 평가기준과 전투훈련에 적합한 전투복 상의 패턴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투복 상의 평가기준 및 패턴 제도법은 호칭체계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전투복의 패턴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481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5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