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3.1운동 전후 조선인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일본 육군 내 논의 : The Debate on Military Use of Colonial Koreans in the Japanese Army Before and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완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21, pp. 14-41
Keywords
the First World Warthe March First Movementthe Japanese Armythe Japanese Korean ArmyChosen-gunUtsunomiya TaroTanaka Giichi제1차 세계대전3.1 운동일본 육군조선군우쓰노미야 다로다나카 기이치
Description
이 글은 2018년도 도쿄대학(東京大学) 제출 박사학위논문 제3·6장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일본비평』 제21호 특집의 취지에 맞도록 새로이 집필한 것이다
Abstract
The First World War (1914~18)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1919) shook the ruling order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se events as the momentum, Imperial Japan, as well as Japanese Army, sought the reorganization of imperial ruling order.
The Japanese Korean Army (Chosen-gun) was optimistic about the possibility of assimilating colonial Koreans and using them in the military. Therefore, to promote the assimilation of Koreans, the Army insisted that Military Academy should be open to Koreans and Korean volunteer units should be organized. Also, the reinforcement of deployed forces in Korea was requested, partly to accept Koreans into the Army. These stances remained firm in spite of the shock from the March First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Ministry of War (Rikugunsho) focused on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legitimacy. For them, the military use of colonial Koreans was the final goal to be realized after assimilating Koreans enough for the conscription law to be enforced in Korea.
Also, the March First Movement weakened their optimism about the possibility of such assimilation. As a result, the Ministry of War remained negative to the military use of Koreans until the mid-1930s.
1914~1918년의 제1차 세계대전 및 1919년의 3.1운동의 발발은 일본의 제국 지배 질서를 동요시켰다. 이를 계기로 일본은 기존의 제국 지배 질서의 재편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이는 육군도 마찬가지였다. 그중 아카시 모토지로, 이구치 쇼고, 우쓰노미야 다로 등 조선헌병대 혹은 조선군에서 활동한 이 들은 영국·프랑스 등 구미 제국의 식민지 군대의 선례를 중시하였고, 또 병합 직후부터 식민지 조선 인의 동화 및 그 군사적 이용 가능성을 낙관하였다. 따라서 조선에서 징병을 실시할 수 있을 만큼의 동화를 촉진한다는 조선 지배 정책의 측면에서 조선인에게 육사의 문호를 개방하거나 조선인 지원 병 부대를 편성하는 등 군이 앞장서서 조선인을 군사적으로 이용할 것, 그리고 이를 전제로 하여 조선 주둔 병력을 증강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3 .1운동의 충격 속에서 더욱 절실해졌다.
반면 주로 육군 중앙에서 활동한 다나카 기이치는 러일전쟁 이후 대러시아 작전·군비라는 당면 의 목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 예산과 국내 정치적 환경이라는 정치·경제·군사적 합리성을 중 시하였다. 그에게 조선인의 군사적 이용은 조선에서 징병을 실시할 수 있을 만큼의 동화가 이루어진 다음에야 실행할 수 있는 최종적인 목표에 불과했으며, 또 조선인을 일본 군대에 받아들이기 위해 조 선군을 증강한다는 발상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뿐만 아니라 3.1운동의 발발은 조선인의 동화 가 능성에 대한 기존의 낙관적 인식을 약화시켰다. 따라서 그는 조선인 장교의 재생산, 조선인 부대 편성 및 이를 전제로 한 조선군 증강에는 소극적이었다. 이와 같은 조선인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조선군과 육군 중앙의 대립은 193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0737
DOI
https://doi.org/10.29154/ILBI.2019.21.0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