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어 유형론과 개별 언어의 문법 기술: 민족어 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linguistic typology and the grammatical desription of individual languag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高永根

Issue Date
20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Citation
관악어문연구, Vol.34, pp. 147-189
Keywords
교착어언어 유형론OV 형 언어종속적 교착어동북 아시아 문자-언어 연합시상법
Description
본고의 내용은 경상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집담회(2010, 6. 28)에서 발표한 일이 있고 국어학회 제37회 전국학술대회 석좌강의에서 내용을 보강하여 발표한 일이 있다.
Abstract
이 논문은 언어 유형론에 기반한 개별 언어의 문법 기술 모형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언어 유형론과 개별 언어의 문법 기술의 관련성을 구명하는 데 있어서는 한국어가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계통적 및 유형론적 비교에 있어서는 일본어, 몽골어, 터키어, 퉁구스어와 같은 알타이어도 활용될 것이다. 한국어는 형태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고 통사적으로는 SOV 언어에 속한다. 중세 한국어는 형태음운론적 교체가 전국적 (global)으로 실현되고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따라 어미가 달리 선택되는가 하면 어말 어미에 선어말 어미가 마치 접요사처럼 끼어들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세 한국어를 터키어와 함께 종속적 교착어에 넣을 수 있다. 평서법과 의문법에서는 1인칭과 2인칭이 활용형에 유표적으로 실현되고 관계 관형절에서는 대상 범주가 파악된다. 교착어인 일본어도 중세한국어와 같이 굴절적인 특성이 파악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중국어와 형태 ․ 통사적 양상이 다르지만 인접해 있기 때문에 동북아시아 문자-언어 묶음으로 묶을 수 있는 공통 요소가 많다. 필자는 한 사례 연구로 한국어의 시상법을 전통적으로 같은 어족으로 처리되어 온 알타이어와 비교해 본 결과, 형태는 물론, 실현 방식에 있어서도 전혀 공통성이 없다. 일본어를 비롯한 알타이 제어의 시상법은 어말 위치에서 실현되는데 반하여 한국어의 시상법은 선어말 위치에서 실현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a model of grammatical description for individual languages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In doing so, Korean can serve as an important point of reference; furthermore, Altaic languag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Korean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genealogy and linguistic typology. Korean belongs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 type morphologically and to the SOV language type syntactically. Middle Korean shows global morphophonemic alternations; different ending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nsitivity of stems; prefinal endings are inserted in between the stem and final ending in the manner of affixation.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Middle Korean can be treated as a subordinating agglutinative language. 1st-person and 2nd-person markers are distinguished in declaratives and interrogatives the object marker is realized in relative participial clauses. Japanese also shares a number of inflectional properties with Middle Korean. Japanese and Korean are quite distinct from Chinese morpho-syntactically, but since all three are contiguous to each other, they share a number of elements that can be united under the label Nord-Ost Asiatischer Schrift- Sprachbund (North east Asian Script-linguistic Area). As a case study, I compare Korean TAM (Tense, Mood and Aspect) with Altaic languages such as Japanese, Mongolic, Turkic, and Tungusic; however, there are no commonalities in the either realization or forms. While TAM in Altaic languages beginning with Japanese tends to be realized in sentence-final position, Korean TAM is realized in prefinal posi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08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