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대학원)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과)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KJPA)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vol.34 (1996)
環境情報公開制度의 導入方案에 관한 硏究 : 환경정보공개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Authors
- 洪準亨
- Issue Date
- 1996-1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 Citation
- 행정논총, Vol.34 No.2, pp. 205-268
- Abstract
- 환경에 관한 정보는 단순히 법집행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환경법 및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도 결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환경보호법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규제기관이나 대중이 모두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환경정보의 공개는 정부의 의도적인 환경홍보만으로 끝나는 문제는 아니며, 문제의 관건은 국민이 누구든지 필요한 환경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청구권으로서의 권리를 보장하는 데 있다. 국가나 기타 공공기관에 대한 관계에서 국민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환경정보에의 접근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적 지위가 확보될 때 비로서 환경정보가 환경보호를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적 완전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환경보호에 대하여 환경정보의 공개가 수행하는 기능은 무엇이며 그러한 기능에 비추어 환경정보공개의 제도화는 어떤 모습과 방향을 가져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 답하고자 이 연구는 환경정보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권과 접근절차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연구는 먼저 환경정보의 기능을 검토한 후, 환경정보공개에 관한 미국, 독일, 영국 등 각국의 법제를 비교제도론적 시각에서 분석ㆍ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있어 환경정보공개의 제도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게 환경영향평가보고서의 형태로 환경정보의 산출 및 공개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미국의 환경정책법(NEPA), 연방환경청(EPA)에게 정상조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배출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여 일반공중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뱅크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이른바 수퍼펀드법수정및재수권법(Superfund Amendment and Reauthorization Act)의 제 3 장으로 제정된 긴급상황대처계획 및 지역주민의 알 권리에 관한 법률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 이하 EPCRA 라 한다)과 최근 독일에서 제정된 환경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올 보장하기 위한 환경정보공개법(Umweltinformationgesetz: UIG), 영국의 환경정보법(Environmental Information Regulations 1992), 기타 유럽연합(EU) 회원국에서의 환경정보공개입법례에 관심을 기울였다 .
- ISSN
- 1229-6694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