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 도심부 내 재개발 해제 지역의 도시 계획과 공간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and Spatial Change of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in Seoul City Center: Focused on Gwonnong-dong, Jongno-gu, Seoul
종로구 권농동 일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태홍

Advisor
백진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권농동봉익동서순라길도시재생역사도심2층한옥한옥밀집지역Gwonnong-dongUrban RegenerationHistoric City CenterTwo-story HanokRedevelopment Project- CancelledAre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19. 8. 백진.
Abstract
Today, Seoul city center is a place where traces of a long time have been accumulated and the traces of each era -from old waterways and roads, Seoul City Wall and palaces to architectural heritage of modern times- appear together. As we can see through the title of 'The Comprehensive Plans for Historic City Center' which is a current city center management plan of Seoul,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created by these layers of time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haping the identity of Seoul city center today. In particular,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covered by this study is a place wher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eoul clearly appear. It can be seen as a place where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Historic City Cente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began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in today's urban management. Also, to look critically at the current urban planning and discuss proper management of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s, the district of Gwonnong-dong, Jongno-gu wa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urban space in Gwonnongdong, the statu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usage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each element was tracked in chronological order. Through this process,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Gwonnong-dong have been derived. and the background of each characteristic and the process of change were revealed by tracing the changes in the various urban plans applied to the Gwonnong-dong area after the redevelopment project was cancelled.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target site followed the existing scale even after the redevelopment project was cancelled, but existing dwelling was rapidly commercialized. And such a change could be attributed to the contradictions that arose between the basic direction and detailed guidelines in urban planning by time. Second, considering the speciality as an area adjacent to Jongmyo Shrine, a major cultural property, this study took note of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Seosulla-gil area after the redevelopment project was cancelled. In the 1960s, as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zone was designated, Seosunra-gil area has been treated only as a maintenance target.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given a new placeness, as it has been planned as a hub for urban regeneration. Third, the two-story Hanok that began to appear after 2010 was established as a major component of the urban space around Gwonnong-dong. It can be seen as a change caused by the designation of Gwonnong-dong area as a Hanok clustered district. And two-story Hanok shows a architectural feature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existing urban Hanok.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issues related to the problems of land use management in district unit plan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roperti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and the management of Hanok clustered district. First, more systematic use control measures are required when establishing urban planning, and detailed guidance regarding the preservation of existing uses should be provided. A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ensure that surrounding areas of the major cultural properties are effectively linked to the cultural properties, and concerns about uniform architecture are raised in the process of induc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Hanok in the Hanok clustered district.
As such, this study sought to trace the changes in urban space in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through the example of Gwonnong-dong, and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urban planning. This perception of the problem could be applied not only to the Gwonnong-dong, but also to other areas in the city center.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erms of empirical research to promot an understanding of urban space in the redevelopment project-cancelled area, which is a part of Seoul city center today, and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오늘날 서울의 도심부는 오랜 시간의 켜가 쌓인 공간으로, 옛 물길과 도로, 한양도성과 궁궐에서부터 근현대시기의 건축유산에 이르는 각 시대의 흔적이 함께 나타나는 곳이다. 현행 도심부 계획인 역사도심 기본계획의 제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이러한 시간의 층위가 만들어 낸 역사적 특성은 오늘날 서울 도심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도시계획에서의 이러한 시각 변화는 도심부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는데, 오늘날의 도심부 계획은 재개발 중심으로 관리되어 온 기존의 방향에서 벗어나 도심부 내 역사문화자산의 보존과 활용, 역사성의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재개발 해제 지역의 경우, 도심부 곳곳에 분포한 문화재와 함께 서울의 역사적 특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으로, 향후 역사도심의 정체성을 결정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이 내재된 곳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의 도심부 관리에 있어 재개발 해제 지역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시기별 도심부 계획에서 나타나는 문제인식과 계획방향의 변화를 추적하고, 도심부 계획에 있어 한양도성 내부 지역이 지니는 역사적 특성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하였다. 특히 현행 도심부 계획의 방향에 비춰보면, 도심부 내 재개발 해제 지역은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하게 분포한 곳이자 동시에 개발압력이 끊임없이 존재하는 곳으로, 철거하고 재개발되어야하는 도심부 내 낙후지역으로 대상지를 다뤄온 온 기존의 접근과는 다른 방식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현행 도심부 계획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재개발 해제 지역의 적절한 관리 방안을 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로구 권농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재개발 해제 지역의 도시공간이 지닌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권농동 일대 도시 공간의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 내 가로와 필지, 건축물의 규모 등으로 대표되는 물리적 환경과 용도 분포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각 요소의 변화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오늘날 권농동 일대 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재개발 해제 이후 권농동 일대에 적용된 시기별 도시설계와 지구단위계획,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등 여러 도시계획에서의 변화를 추적하여 각 특성의 형성 배경과 변화 원인을 밝혔다.
우선 대상지 내 개발규모와 용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상지 내 물리적 환경은 재개발 해제된 이후에도 일정 범위 안에서 기존의 규모를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용도의 경우 주택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이전과 달리, 최근 귀금속 산업을 중심으로 급격히 상업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대상지에 적용된 시기별 도시계획에서의 기본 방향과 세부지침 사이에서 생겨난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최대개발규모, 최고높이 등의 제한으로 비교적 통제가 용이했던 물리적 환경은 일정 범위 안에서 유지되었다. 그러나 2004년의 지구단위계획에서 용도복합을 유도하고, 각종 상업 관련 시설을 권장하는 세부지침이 마련됨에 따라 주거 감소 및 상업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초기 도시설계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주거지 보존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나 이와 관련된 세부지침이 마련되지 못하였고, 낙후된 지역이었던 대상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했던 상황 등을 통해 권농동의 상업화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주요 문화재인 종묘에 인접한 지역으로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재개발 해제 이후 서순라길 일대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순라길 일대는 1960년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일부 필지의 개발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데, 이후 서울시가 해당 필지를 매입, 정비함으로써 현재의 서순라길을 조성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순라길 일대의 주거지가 대거 철거되었고, 도로 개설 이후 차량통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블록내 상업화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서울시는 서순라길 주변을 권농동 일대의 도시재생 거점 공간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순라길 일대는 귀금속 공방 및 2층 한옥이 들어서는 등 이전과 다른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2010년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2층 한옥 또한 권농동 일대 도시 공간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들 2층 한옥은 권농동 일대가 한옥밀집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생겨난 변화로 볼 수 있는데, 한옥을 수선 또는 신축 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었고, 이후 지구단위계획의 재정비 과정에서 각종 인센티브 등을 통해 순라길 일대의 한옥 신축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건물의 배치, 평면, 구조 등 여러 부분에서 기존 도시형 한옥과 구분되는 건축적 특징을 보이며, 건물 외관의 경우 현행 지구단위계획에서 정하는 기준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한옥밀집지역의 지정 범위와 관리 방식의 경우 도심부 내 다른 한옥밀집지역인 인사동, 익선동과의 비교를 통해 권농동 일대가 지닌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오늘날 지구단위계획에서의 용도 관리 문제. 문화재와 그 주변 지역의 관계, 그리고 도심부 한옥밀집지역 관리와 관련된 이슈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우선,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더욱 체계적인 용도 관리 방안이 요구되며, 특히 기존 용도의 보존과 관련된 세부적인 관리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도심부에 분포하는 주요 문화재의 주변지역이 해당 문화재와 실질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관리 계획이 필요하며, 한옥밀집지역 내 한옥 신축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획일적인 한옥 건축 에 대한 우려 또한 제기된다. 이 같은 문제인식은 비단 권농동 일대만이 아닌, 도심부 내 다른 지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권농동의 사례를 통해 도심부 내 재개발 해제 지역에서 나타나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추적하고, 각 현상의 배경과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대상지에 적용되어 온 도시계획의 특성과 한계를 짚고자 하였다. 또한 오늘날 서울 도심부의 한 부분인 재개발 해제 지역의 도시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도심부 계획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099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9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