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학교 어머니회에 대한 연구 : 朝鮮学校のオモニ会に関する研究 : 総連系コミュニティの再生産とジェンダー役割
총련계 커뮤니티의 재생산과 젠더 역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awase Emari

Advisor
한영혜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어머니회조선학교여성동맹총련계 커뮤니티젠더 역할커뮤니티 워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2019. 8. 한영혜.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학교 어머니회의 활동과 조직의 분석을 통하여 어머니회가 조선학교에 존재하는 이유를 밝히며 어머니회가 총련계 재일조선인 커뮤니티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젠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모든 조선학교에는 어머니회와 교육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아버지회를 가지는 학교도 많아지고 있다. 학부모 조직이 다원화되어 있는 것은 조선학교 특유의 구조이지만, 어머니회는 다른 학부모 조직에 비하여 다양한 활동을 맡는 경우가 많다. 어머니회의 활동은 (1)국가나 지자체 등에 대한 요청 활동, (2)조선학교 운영을 위한 자금 모으기, (3)계발 활동, (4)공동 작업, (5)학교 행사 보조, (6)학교 행사의 주최라는 여섯 개로 분류된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어머니회가 수행하는 역할이 네 가지 있다. 첫째로 어머니회는 어머니회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여성동맹의 활동 폭을 학교까지 넓혀서 여성동맹에 의한 자녀교육의 방침을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기능해왔다. 둘째로 어머니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재구축함으로써 아이들의 진로 선택의 방향을 잡는다. 셋째로, 어머니회를 네트워킹의 장으로 활용하면서 어머니들은 자신과 비슷한 환경에 있는 다른 어머니들과 정보교환을 한다. 넷째로, 어머니회는 민족교육의 유지라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어머니회만이 맡고 있는 일이며, 학교 안의 학부모 조직 속에서도 교육회나 아버지회와 어머니회의 사이에는 분업체제 즉 젠더 역할이 존재한다. 이 배경에는 현재까지 일관되게 이어진 총련의 가부장적 구조 안에서 어머니들에게 학교지원활동에 진력하는 것이 요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어머니회는 임금 노동에 종사하는 교직원의 일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일이 많다는 점에서 그림자 노동(shadow work)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단, 어머니회에는 조선학교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역할이나 각 학교가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자율적인 활동의 측면도 있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학교 어머니회의 존재 이유를 총련계 커뮤니티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생각해 볼 때 어머니회 활동을 비가시화된 노동으로 규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오히려 어머니들의 일을 가시화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어머니회는 학교라는 범주를 넘어서 총련계 재일조선인 사회를 떠받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학교는 재일조선인 사회가 에스닉 커뮤니티로 유지되고 재생산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관이며, 어머니회는 학교 운영에 있어서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학교 어머니회의 활동은 공동체 존속에 필요불가결하다는 점에서 커뮤니티 워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朝鮮学校のオモニ会の活動と組織の分析を通してオモニ会が朝鮮学校に存在する理由を明らかにし、オモニ会が総連系在日朝鮮人のコミュニティにおいて果たす役割をジェンダーの観点から考察することである。
全ての朝鮮学校にオモニ会と教育会が設置されており、また近年ではアボジ会を持つ学校も増えてきた。保護者の組織が多元化しているのは朝鮮学校特有の構造であるが、オモニ会は他の保護者の組織に比べて、担う仕事の多様性が顕著である。オモニ会の活動は、(1)国や自治体への要請活動、(2)朝鮮学校運営のための資金集め、(3)啓発活動、(4)共同作業、(5)学校行事の補佐、(6)学校行事の主催の6つに分類される。また、このような活動を通してオモニ会が遂行する役割は4つある。第一に、オモニ会はオモニ会と密接な関係にある女性同盟の活動の幅を学校まで広げ、女性同盟による子女教育の方針を実践するための一つの「手段」として機能してきた。第二に、オモニ自らのアイデンティティの維持と再構築を行うことで、子どもたちの進路選択を方向付ける。第三に、オモニたちはオモニ会をネットワーキングの場として活用し、自らと類似した境遇にいる他のオモニたちと情報交換を行う。第四に、オモニ会は民族教育の維持という役割を担っている。
以上のような活動はオモニ会のみが担っているものであり、学校内の保護者の組織でも教育会とアボジ会、オモニ会との間には分業体制つまりジェンダー役割が存在する。この背景には、総連の今日までの一貫した家父長的な構造の中で、オモニたちに学校支援活動に尽力することが求められたことが挙げられる。とりわけオモニ会は賃金労働に従事する教職員の仕事を無償で支えることが多いという点で、「シャドウ・ワーク」(shadow work)を行っているのだ。ただし、オモニ会には朝鮮学校を代表する象徴的な役割や、各学校独自で行う自律的な活動の側面も見られる点にも留意する必要がある。
最後に、朝鮮学校のオモニ会の存在理由を総連系コミュニティという大きな枠組みで考える際、オモニ会の活動を見えない労働として規定するのは妥当ではなく、むしろオモニたちの仕事を可視化する必要がある。なぜなら、オモニ会は学校という範疇を超えて、総連系在日朝鮮人社会を支えるという機能を持っているからだ。朝鮮学校は在日朝鮮人社会がエスニックコミュニティとして維持され、再生産されるための最も重要な機関であり、オモニ会は学校運営のために極めて大き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のだ。したがって、朝鮮学校のオモニ会の仕事は共同体の存続に必要不可欠だという点において、「コミュニティ・ワーク」としての意味を持っている。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17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4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