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수요 모형을 이용한 절화시장의 가격-거래량 관계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나

Advisor
김관수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절화가격-거래량 관계역준이상수요체계가격 신축성규모신축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2019. 8. 김관수.
Abstract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cut flowers based on the private market is changing into a distribution structure centered on the public market. In the public flower wholesale market, most of the transactions are conducted through auction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omest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ce and the quantity formed in the auction. In this study, price-quantity relationships for cut flowers traded at Yangjae flower auctions are analyzed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various distribution participants. This study will be more important as the demand for imported cut flowers is increasing and the discussion about handling imported cut flowers in the public market is being done.
This study analyzed the price-quantity relationship of the cut flower market by deriving the flexibility of cut flowers using the Linear Approximation 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LA-IAIDS).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inverse demand model in which the quantity is determined beforehand and the price is determined in the market to liquidate i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fficult to store and perishable cut flowers.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is weekly transaction data from 2000 to 2018. The cut flowers were aggregated into six groups based on total transaction amount; rose, chrysanthemums, lily, carnation, gerbera; and a sixth aggregated category, other cut flowers.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LA-IAIDS model,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price and scale elasticity are as follows. All own price flexibility is negative, i.e. a price of a group of cut flowers is decreased when the supplied quantity of that group is increased. All own price flexibility is less than 1, indicating that the demand for all flower groups is inflexible. The group with the greatest absolute value of own flexibility is chrysanthemum. This implies that chrysanthemum producers are most likely to gain price effects by shipment of commodities at low quantity through adjustment of shipment timing. In addition, if the transaction volume increases due to the handling of imported cut flowers, chrysanthemum is the group that can show the greatest drop in prices.
Most cross flexibilities except gerbera are negative, which means most cut flower groups have quantity substitute relationships. Gerbera versus chrysanthemum, lily, and carnation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his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phenomenon that chrysanthemum, lily, and gerbera are used together in wreaths.
For rose, chrysanthemum, gerbera and others, each of the cross price flexibilities is numerically smaller than the corresponding own price flexibility, which means an increase in supply of a given flower species mostly affects the price of that flower itself. For lily and carnation, however, each of the own price flexibilities is numerically smaller than the corresponding cross price flexibility with other species except gerbera, implying that they seems to be the case that increased supply affects the prices of the other groups more that it affects its own price.
It is the others that the change of the quantity of roses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price change of other specie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the quantity of others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ice changes of roses. The change in the quantity of lilies, carnations and gerbera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ice changes of others, and the change in the quantity of chrysanthemums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ice changes of roses.
Finally, all scale flexibilities are negative, which means that the price of all groups decreases when the quantity of the whole cut flower increases. Chrysanthemum with a scale flexibility of less than 1 have an character of essential goods, while the other groups with scale flexibility of greater than 1 have an character of luxury goods.
민영시장 중심의 절화 유통구조가 공영시장 중심의 유통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화훼 공영 도매시장에서는 대부분 경매를 통한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경매에서 형성되는 가격과 거래량의 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재동 화훼공판장 경매실적 자료를 이용해 절화시장의 가격과 거래량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각종 유통 참가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절화의 가격-거래량 관계에 관한 연구는 수입산 절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공영시장에서 수입산 절화를 취급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더 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근사 역준이상수요체계(LA-IAIDS) 모형을 이용하여 절화의 신축성을 도출함으로써 절화시장의 가격-거래량 관계를 분석하였다. 저장이 어렵고 부패하기 쉬운 절화의 특성상 상품의 수량이 사전적으로 결정되고 시장에서 이를 청산하는 방향으로 가격이 결정되는 역수요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분석대상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총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장미, 국화, 백합, 카네이션, 거베라로 선정하였고, 그 외의 절화 품목을 기타로 묶어 여섯 품목의 주간 거래실적을 분석하였다.
LA-IAIDS 모형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가격 및 규모 신축성을 계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섯 품목 모두 자기가격 신축성이 음(-)의 부호로, 거래량이 증가할 때 자기가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가격 신축성이 가장 큰 품목은 국화로, 생산자 측면에서는 출하 시기 조정을 통해 거래량이 적은 시기에 상품을 출하함으로써 가격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품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수입 절화 취급으로 인해 거래량이 증가할 경우 가격이 가장 크게 하락할 수 있는 품목이 국화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차가격 신축성은 대체적으로 음(-)의 부호로 품목 간에 대체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거베라와 국화, 백합, 카네이션, 국화와 카네이션은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화, 백합, 거베라가 화환에 함께 주로 쓰이는 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장미와 기타, 국화와 거베라의 경우에는 자기가격 신축성이 다른 품목과의 교차가격 신축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 품목의 거래량 증가가 다른 품목의 가격 보다 자기 가격의 하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백합과 카네이션은 자기가격 신축성이 거베라를 제외한 다른 품목들의 교차가격 신축성보다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백합과 카네이션의 거래량 변화는 자기 가격보다 다른 품목의 가격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장미의 거래량 변화가 다른 품목의 가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타이고, 기타의 거래량 변화는 장미의 가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백합, 카네이션, 거베라의 거래량 변화가 다른 품목의 가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타이고, 국화의 거래량 변화는 장미의 가격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규모 신축성은 모두 음(-)의 값으로 절화 전체의 거래량이 증가할 때 모든 품목의 가격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 국화의 규모신축성 절댓값은 1보다 큰 값으로 필수재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품목들은 1보다 작은 값으로 사치재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18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0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