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민법 제407조(채권자취소권에서의 채권자평등주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Creditor Equalitarianism in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 Focused on its application and limitations
적용과 그 한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해찬

Advisor
남효순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채권자취소권채권자평등주의상대적효력설원상회복가액반환편파행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법과대학 법학과,2019. 8. 남효순.
Abstract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s the right to recover the property of which was secretly disposed to the debtor by canceling the fraudulent act of the insolvent debtor. The effect of this right is explained by the relative effect theory which is recognized by the precedent and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prescribed in the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The relative effect theory is the principle of effect that the effect of revocation is limited to litigation parties, namely, the revocation creditor and the beneficiary. It is the principle that the creditor should be granted priority and the revocation effect should not be extended to a third party, and it was used under the western theory of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which does not need to be extended to third parties. However, we ne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heories of effect since the Civil Act stipulates creditor equalitarianism, which does not grant priority to the revocation creditor, while embracing the relative effect theory. Moreover, under the premise that the two principles can be harmonized, the real meaning of creditor equalitarianism, its scope of application and its limitations shall be discussed.
In order to discuss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the application scope and limitations of creditor equalitarianism in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the right to deny shall be discussed first.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the right to deny, which is stipulated in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are the chargeable property preservation system recognized under the positive law. First of all, the right to deny is a right to be exercised by the custodians or trustees in bankruptcy in the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procedures. Since it focuses on the fair treatment of parties interested,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is thoroughly accomplished. Then, it is doubtful to what degree creditor equalitarianism shall be exercised in the creditor right of revocation. The issu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n conclusion, there is a clear limita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to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because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the right to deny are distinctly different systems. In essence, the right to deny not only aims to secure joint security in the bankruptcy procedure but also to realize a fair distribution of it. However,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does not need to be exercised in the bankruptcy procedure, and it is exercised by an individual, the revocation creditor. In other words,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s an exceptional right that restricts the freedom of disposition of the debtor. Even if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is guaranteed under the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the freedom of disposition of the debtor cannot be limited indefinitely before the bankruptcy procedure is initiated. In the end, even if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shall be applied in the exercis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s it is with the right to deny, there is a clear limit to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in terms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due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s. This paper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creditor equalitarianism and its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general scope of the creditor 's right of revocation and the concrete case of violation of creditor equalitarianism.
First, the general effect scop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was divided into the human range affected by the revocation and the scope of revocation. The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stipulates that the revocation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shall take effect for the benefit of all obligees, and the human range affected by the revocation is comprehensively stated as all creditors. However, since creditor equalitarianism cannot be fully applied to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s it does in the right to deny, not all of creditors who have claims to the actual debtor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enforcement of the property of which was secretly disposed under the effect of the revoc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classifies creditors having claims to a debtor into people have been creditors before the fraudulent act occurred, people who became creditors after the fraudulent act occurred, creditors who are beneficiaries, and beneficiaries who are not creditors, and examines whether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compulsory execution on the secretly disposed property under the effect of revocation. In conclusion, a person who became a creditor after the fraudulent act occurred did not have a claim at the time of the fraudulent transfer, and he cannot be deemed to have suffered damages as a result of the legal action of the debtor. If the scope of revocation is expanded to include such a creditor to participate in the compulsory execution proceedings and demand dividends, the interest of beneficiaries may be excessively harmed.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d that he should be excluded from the creditors under the effect of revocation. In addition, a beneficiary who is not a creditor can still retain the chargeable property except for the amount of return and retain the surplus after the compulsory execution. Therefore, it is not unreasonable in terms of protection of the beneficiary even if the beneficiary who is not a creditor is considered not available of participating in compulsory execution of the return property. In short, the limits of creditor equalitarianism is in the exclusion of creditor after the fraudulent act and the beneficiary who is not a creditor.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cope of revocation, the precedent is that the revocation scope is limited to the amount of claim of the revocation creditor, and the amount of revocation can exceed the amount of claim of the revocation creditor in exceptional cases. However, creditor equalitarianism should be applied in principle to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Hence, if the existence of other creditors is proved, the revocation creditor should be considered that he can basically revoke the fraudulent transfer exceeding the amount of his own claim. Nonetheless,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cannot be limitlessly applied in terms of the scope of revocation. In calculation of the scope of revocation, the amount of claim of such creditors shall be excluded as if the creditor after the fraudulent act and the beneficiary who is not a creditor was excluded from the human range of creditor equalitarianism. In addition, the scope of revocation may be limit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exercis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tself, and the scope should be limited to the extent of accomplishment of revocation purpose, that is, the extent that the debtor gets out of the state of insolvency. Also, the scope of revocation should be calculated within the range of assets that the creditors, who have claims to the debtor at the time of the fraudulent transfer, identified as joint security.
And this paper looked at the specific cases that infringe on creditor equalitarianism, by separating the preference and the recognition of de facto priority of other revocation creditors in the return of value. First, in relation to the preference,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is thoroughly applied as reimbursement can be denied regardless of liability of reimbursement if the act corresponds to preference.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the right to deny shall be operated in order to enhance the coherence. Therefore,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should be basically fully applied in relation to the handling of preference in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Hence, the act of preference should be basically revoked. However, since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are subject to the bankruptcy procedure,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cannot be fully applied to the execution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s much as it does to the right to deny. Therefore, in the handling of preference, both rights should be different, and this paper explained that the difference appears in handling of the reimbursement with liability.
In a case of the return of the equivalent value due to restitution of original status, the precedent inevitably takes the theory of setoff and gives priority to the revocation creditor since there is no distribution procedure in the positive law. However, it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stipulated in the law. There is no reason to discriminate the return of the original and the return of the equivalent value since they are just one of methods to restitute the original status. The return of equivalent value is only a method to restitute the original status when the return of the original is impossible or remarkably difficult, and the interest of general creditors who were not involved in the return of equivalent value cannot be infringed. But it seems inevitable to recognize priority of revocation creditor by taking the theory of setoff in a reality that there is no distribution procedure regarding the return of equivalent value. It is because there would be chaos if a claim of distribution of individual creditors is recognized when there is no procedure of distribution. Therefore, the ultimate solution is to establish the distribution procedure related to the return of equivalent value in the positive law, so that the requirement of dividend by the general creditor should be recognized and the system is operated in such a way that creditor equalitarianism is ensured like the return of original. In addition, the precedent restricts the scope of revocation to the amount of the revocation creditor's claim if the equivalent value is returned. If the distribution procedure is provided so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creditor is guaranteed, the revocation scope should be calculated to exceed the amount of the creditors claim. In addition, even if the procedures related to the return of equivalent value are improved to fully apply creditor equalitarianism, the limit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creditor equalitarianism which is applied to the return of the original, that is, the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effect scop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handling of preference, etc., should be intactly applied.
In sum, the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explicitly guarantees creditor equalitarianism,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coherenc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the right to deny, the creditor equalitarianism should be exercised as much as possible in terms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However, the two rights can not be treated exactly the same because they are distinctly different rights. Therefore, even if creditor equalitarianism is applied in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t can not be carried out as thoroughly as in the case of the right to deny.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s of creditor equalitarianism in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through the general effect range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infringement of creditor equalitarianism.
채권자취소권은 무자력의 채무자가 행한 사해행위를 취소하여 채무자에게 일출재산을 원상회복시키는 권리이다. 본 권리의 효력으로는 판례에 의해 인정되는 상대적효력설과 민법 제407조에 명문으로 규정된 채권자평등주의가 있다. 상대적효력설은 취소의 효력이 소송당사자, 즉 취소채권자와 수익자 사이에만 국한하여 발생한다고 보는 효력상 원칙인바, 취소채권자에게 우선권을 인정하여 취소효력을 구태여 제3자에게 확장시킬 필요가 없는 서구 채권자취소권 제도 하에서 통용되던 이론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이와 같은 상대적효력설을 받아들이면서도 취소채권자가 우선권을 가질 수 없다는 채권자평등주의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어 양 효력상 원칙의 관계를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양 원칙이 조화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채권자평등주의의 실질적 의미, 적용범위 및 그 한계가 문제된다.
본 논문의 핵심적인 주제인 채권자취소권에서 채권자평등주의의 적용범위 및 한계와 관련된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인권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정법상 인정되는 책임재산 보전제도로는 민법에 규정된 채권자취소권과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부인권이 있다. 먼저, 부인권은 회생 및 파산절차 내에서 관리인 또는 파산관재인에 의해 행사되는 권리로 이해관계인의 공평한 처우를 중점으로 하기 때문에 본 권에서 채권자평등주의는 철저히 관철된다. 그렇다면 채권자취소권에서 채권자평등주의는 어느 정도로 관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결론적으로,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은 명백히 다른 제도이기 때문에 채권자취소권에서 본 원칙의 적용상 한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부인권은 도산절차를 전제로 공동담보의 확보라는 목적뿐만 아니라 그것의 공평한 배분을 본질적인 목적으로 하는 권리지만, 채권자취소권은 도산절차를 전제로 하지 않고 취소채권자 개인에 의해 행사되는 권리라는 점에서 양 권리는 차이가 있다. 즉, 채권자취소권은 채무자의 재산처분의 자유를 제한하는 예외적인 권리로써, 민법 제407조에 의해 채권자평등주의가 명문으로 보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도산절차가 개시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위와 같은 채무자의 자유를 무한정 제한할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부인권과 채권자취소권이 공동담보의 확보라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고 민법 제407조가 명문으로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부인권에서처럼 채권자취소권을 운영함에 있어서도 채권자평등주의가 관철되어야 하지만, 위와 같은 양 제도의 본질적인 차이에 기인하여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는 그 적용상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권자취소권을 운용함에 있어 채권자평등주의의 적용과 그 한계를 채권자취소권의 일반적 효력범위와 채권자평등주의가 침해되는 구체적 사안을 검토해봄으로써 살펴보았다.
먼저, 채권자취소권의 일반적 효력범위를 취소효력을 받는 인적범위와 취소범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민법 제407조는 취소와 원상회복은 모든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효력이 있다.라고 하여 취소효력을 받는 인적범위를 모든 채권자로 포괄하여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채권자취소권에서는 부인권에서만큼 채권자평등주의가 철저히 적용될 수는 없기 때문에 실제 채무자에게 채권을 가지고 있는 모든 채권자가 취소효력을 받아 일출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참여할 수는 없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채무자에게 채권을 가지고 있는 채권자를 사해행위 이전 채권자, 사해행위 이후 채권자, 수익자 겸 채권자, 채권자가 아닌 수익자로 나누어 각각 취소효력을 받아 일출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참여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사해행위 이후 채권자는 사해행위 당시 채무자에 대해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채무자의 법률행위로 손해를 보았다 할 수 없고, 이와 같은 채권자도 이후 진행되는 강제집행 절차에 참여하여 배당요구를 할 수 있다고 하여 취소범위를 확대하면 수익자의 이익을 지나치게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취소효력을 받는 채권자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채권자가 아닌 수익자는 반환금액을 제외한 책임재산을 여전히 보유할 수 있고 상대적효력설에 따라 강제집행 이후의 잉여금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반환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참여할 수 없다고 보더라도 수익자의 보호 측면에서 큰 무리가 아니라고 보았다. 요컨대, 취소효력을 받는 인적범위와 관련하여 채권자평등주의의 한계는 이와 같이 사해행위 이후 채권자와 채권자가 아닌 수익자의 배제에 있다.
아울러, 취소범위와 관련하여, 판례는 취소채권자의 채권액으로 취소범위를 한정하고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취소채권자의 채권액을 초과하여 취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 채권자평등주의는 원칙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채권자의 존재가 입증되는 이상 이들이 추후 강제집행 절차에서 배당요구 할 것을 전제로 취소채권자는 원칙적으로 자신의 채권액을 초과하여 취소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취소범위와 관련해서도 채권자평등주의가 무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는 없는데, 앞서 인적범위를 산정할 시 사해행위 이후 채권자와 채권자가 아닌 수익자를 배제한 것과 같이 취소범위를 산정할 시에도 이와 같은 채권자들의 채권액은 배제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채권자취소권 행사 자체의 한계에 의해 취소범위가 제한될 수 있는데 취소목적이 달성되는 한도 내에서, 즉 채무자가 무자력을 벗어나는 한도 내로 취소범위는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취소범위는 사해행위 당시 채무자에 대해 채권을 가지고 있던 채권자들이 공동담보로 파악하였던 재산의 범위 내에서 산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채권자평등주의를 침해하는 구체적 사안을 편파행위와 가액반환에 다른 취소채권자의 사실상 우선변제권 인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편파행위와 관련하여, 부인권 제도에서는 본지변제인지, 비본지변제인지 구분없이 편파행위에 해당하면 부인할 수 있다고 하여 채권자평등주의가 철저히 관철된다.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은 정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규율되고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채권자취소권에서 편파행위의 취급과 관련해서도 채권자평등주의가 원칙적으로 관철되어야 한다. 따라서, 편파행위는 원칙적으로 취소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양 권리는 도산절차를 전제로 하는지 여부에 따라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채권자취소권 행사에 있어서는 부인권에서만큼 채권자평등주의가 철저히 관철될 수는 없다. 그렇기에, 편파행위 취급에 있어서도 양 권리는 차이가 존재하여야 할 것이고, 이는 본지변제에 대한 취급의 차이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우리 판례는 원상회복으로 가액반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정법상 분배절차의 미비로 불가피하게 상계설을 취하여 취소채권자에게 우선적인 만족권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명문으로 보장된 채권자평등주의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원물반환과 가액반환은 원상회복의 한 방식에 불과할 뿐 양 자를 구별하여 취급할 이유는 없다. 가액반환은 우연적인 사정에 의하여 원물반환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 인정되는 원상회복의 한 방식일 뿐이기에, 가액반환이 이루어지게 된 것에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은 일반채권자들의 이익이 침해될 수는 없다. 하지만, 가액반환과 관련한 분배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는 상계설을 취하여 취소채권자의 우선변제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분배절차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 채권자들의 분배청구권 등을 인정하게 되면 이를 둘러싸고 큰 혼란이 초래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궁극적인 해결책은 가액반환과 관련한 분배절차를 실정법에 규정함으로써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를 인정하여 원물반환과 같이 채권자평등주의가 보장되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아울러, 현행 판례는 가액반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취소범위를 취소채권자의 채권액으로 제한하고 있는바, 가액반환의 경우에도 분배절차가 마련되어 일반채권자의 참여가 보장된다면 취소범위도 취소채권자의 채권액을 초과하여 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액반환과 관련한 절차가 마련되어 채권자평등주의가 관철되는 방향으로 개선되더라도 원물반환에 적용되는 채권자평등주의의 적용상 한계, 즉 앞서의 채권자취소권의 일반적 효력범위, 편파행위의 취급 등에 따른 한계는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민법 제407조에 의해 채권자평등주의가 명시적으로 보장되어 있고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의 정합성을 최대한 높여야 하기 때문에 채권자취소권에 있어서도 채권자평등주의가 최대한 관철되어야 한다. 하지만, 앞서의 두 권리는 명백히 다른 권리이기 때문에 완전히 동일하게 취급될 수는 없다. 그렇기에, 채권자취소권에서 채권자평등주의가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부인권에서만큼 철저하게 관철될 수는 없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이, 채권자취소권의 일반적 효력범위와 채권자평등주의가 침해되는 사안을 통해 채권자취소권에서 채권자평등주의의 적용과 그 한계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24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4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