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로형태와 시간이 임금근로자의 소득수준과 미충족의료 경험관계에 미치는 영향 : Type of occupation and working hours as moderators of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 of salaried work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태진-
dc.contributor.author서영원-
dc.date.accessioned2019-10-18T16:39:01Z-
dc.date.available2019-10-18T16:39:01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14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4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19. 8. 이태진.-
dc.description.abstract미충족의료 경험은 의료서비스 접근성의 대체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미충족의료 경험에 있어 소득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임금근로자의 미충족의료 경험은 근로형태, 근로직종, 근로시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금근로자의 근로관련 요인을 조절변수로 이용하여 소득과 미충족의료 경험 관계에서 이러한 요인이 관계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적었다. 이 연구의 연구 목적은 임금근로자의 소득과 미충족의료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근로형태, 근로직종, 근로시간, 근로시간대에 따라 관계의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조절효과를 확인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2011년도부터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며, 임금근로자의 근로소득과 미충족의료 경험관계와 그 관계에 근로관련 특성의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임의효과모형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은 전체 대상 집단과 소득분위별 하위집단으로 나눠 미충족의료 경험의 차이를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학적 요인, 근로관련 요인 등으로 살펴보았다. 종속변수는 미충족의료 경험여부이며, 독립변수는 개인의 연간 근로소득으로 설정하였다. 조절변수는 근로형태, 근로직종, 근로시간, 근로시간대를 사용하였으며, 통제변수는 성,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거주 지역,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여부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임금근로자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평균 12%이며, 소득분위에 따라 소득1분위 16.9%, 2분위 17%, 3분위 12.4%, 4분위 11%, 5분위11%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근로소득은 미충족의료 경험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낮을수록, 근로형태가 정규, 상용직인 경우, 근로시간이 길어질수록 근로 소득와 미충족의료 경험의 부(-)적 관계가 강화되었고, 근로직종이 기능, 기계조립직, 농림어업, 단순노무직인 경우, 근로시간대가 교대근무인 경우에는 근로소득과 미충족 경부(-)적 관계가 약화되었다. 종단적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근로 소득은 미충족의료 경험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조절변수인 근로형태, 근로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부(-)적 관계가 강화되었으며, 근로직종의 경우엔 그 관계가 악화되었고, 조절효과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임금근로자의 근로 소득과 미충족의료의 관계에서 근로관련 요인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횡단적,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근로형태, 근로직종, 근로시간, 근로시간대가 근로소득과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한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고, 미충족의료 경험 조사가 정도와 빈도가 고려되지 않고 주관적인 척도로 설명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 후속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근로관련 요인이 구체적으로 설문되고, 보다 객관적인 미충족의료 경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자료원을 활용하여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
dc.description.abstractUnmet needs have been regarded as a proxy for healthcare accessibility. It is well-known that income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unmet needs. The income of salaried workers is affected by their type of employees, type of occupation, working hours and work time slot. Yet,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clude work-related factors in the analysis. We aimed to investigate causality between income of salaried workers and their unmet needs and identify moderation effect of work-related factors, including type of employees, type of occupation, working hours and work time slot.

We used data from Korean Health Panel Survey data between 2011-2014, and performed a frequency test, a logistic regression and a random effect model to analyse the moderation effect of work-related factors on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s. We obtained unmet needs of salaried worker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come of salaried work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oderating variables are type of employees, type of occupation, working hours and work time slot, whereas the control variables are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region, self-rated health and chronic diseases.

The unmet needs rate for salaried workers was 12%. The unmet needs rate for 1st income quantiles was 17%, 2nd income quantiles was 17%, 3rd income quantiles was 12.4%, 4th income quantiles was 11% and 5th income quantiles was 11%. It is shown that income of salaried workers had a negative impact on unmet needs. Including work-related factors as moderators, the full-time, regular workers, longer working hours have strength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s, whereas Skill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Craft and related trades workers,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nd assembling workers, Elementary workers and shift work have reduced the strength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s. The results of longitudinal analysis showed the similar result to cross-sectional analysis as the income had a negative effect on unmet needs, and moderators, type of employees and working hours, have strength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 Yet, the effects of moderato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sing moderation effects of type of employees, type of occupation, working hours and work time slot on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s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is, the directions of moderation effects of type of employees, type of occupation, working hours and work time slot are identified. Due to limitation of data, there was limit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s. In addition, unmet needs data collected from Korean health panel does not have information on degree and frequency of unmet needs but rather relies on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 For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use data with detailed work-related questionaries and more objective unmet needs measu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및 가설 3

2. 이론적 고찰 4
2.1. 미충족의료 4
2.1.1 정의 4
2.1.2 미충족의료 경험의 영향요인 6
2.2. 임금근로자와 미충족의료 9

3. 연구방법 11
3.1. 연구 자료원 및 연구 대상자 11
3.2.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12
3.3. 변수설명 14

4. 연구결과 17
4.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7
4.2 가설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34
4.2.1 가설 1 34
4.2.2 가설 2 38
4.2.3 가설 3 43
4.2.4 가설 4 48
4.2.5 가설 5 52
4.2.6 근로소득과 미충족의료 관계에서 조절효과 56
4.3 패널 분석 59
4.3.1 근로소득이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 59
4.3.2 근로소득과 미충족의료 경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 63
1) 근로형태 63
2) 근로직종 66
3) 근로시간 69
4) 근로시간대 71

5. 고찰 및 결론 75
5.1 연구 요약 75
5.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77
5.3 연구 한계점 79
5.4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 제언 80

참고문헌 82
부록 1. 소득분위별 근로소득과 미충족의료 경험 관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87
부록 2. 미충족의료 경험 요인별 조절효과분석 8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금근로자-
dc.subject미충족의료-
dc.subject소득수준-
dc.subject근로형태. 근로시간-
dc.subject조절효과-
dc.subject.ddc614-
dc.title근로형태와 시간이 임금근로자의 소득수준과 미충족의료 경험관계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ype of occupation and working hours as moderators of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unmet need of salaried worker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gwon Seo-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14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14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