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 및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Scholarly Passion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은비

Advisor
오헌석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문열정학문열정대학교수학문열정 형성과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2019. 8. 오헌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cholarly passion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Thus, 17 professors who are recognized as highly passionate about their studies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larly passion of university profess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the scholarly passion appeared to be a qualitatively changing process from survival passion to realization passion. 'Survival passion' appeared mostly in the early term of a professor who needed to survive as an independent researcher. The survival passion featured focusing all of the time and energy on personal research to survive in academia, and feeling fun and joy of the ongoing research process. However, 'realization passion' is the passion to realize a lifelong dream due to virtuous circle. The 'realization passion' has shown a characteristic of constantly learning to realize their lifelong dream, though they are afraid and have more responsibility as their influence has increase.
There are two types of process between the survival and realization passion: problem improvement process and change of perspective process. The 'problem improvement process' is the process of directly improving the problem after undergoing a disconnect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the lack of systems during their research. In this process, professors were aware that they should participate in the improvement, and they actively solved the immediate problems of academia.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perspective process' is a process that changes one's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his or her research style after facing unexpected reaction from students and progress of students. In the past, professors personally led the study. However, during this process, they provide and support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lead the stud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larly passion formation are summarized into four: formation to meet academic needs, formation through justification, formation through reflection, social formation. Scholarly passion is formed to meet the academic needs: intellectual curiosity, academic influence, and recognition from academia. In addition, scholarly passion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self-making the meaning of academic activities and through reflection of their role as an educator and interconnection of education-service-research. Finally, scholarly passion is socially formed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assion was verified empirically through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university professor. Second, the process of forming passion wa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y change', which expand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process of forming passion. Third,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passion of the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larly passion formation process.
본 연구는 학문열정 형성과정과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학문열정이 높다고 인정되는 국내 대학교수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학문열정 형성과정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열정 형성과정은 생존 열정에서 실현 열정으로 질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먼저, 생존 열정은 독립된 연구자로 생존이 필요한 교수 초임기에 주로 나타났다. 생존 열정은 학계에서 생존하기 위해 개인 연구에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며, 현재 진행 중인 연구 과정에서의 재미와 기쁨을 만끽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면, 실현 열정은 선순환이 계기가 되어 평생의 꿈을 실현하려는 열정으로, 자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두려움과 책임감을 느끼지만, 평생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는 특징을 보였다.
생존 열정에서 실현 열정으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문제개선 과정과 관점전환 과정이 드러났다. 문제개선 과정은 연구 도중 인력과 자원이 단절되고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것을 체감한 뒤 이 문제를 직접 개선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개선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숙명이라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학계의 당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관점전환 과정은 학생의 예상치 못한 반응을 마주하고, 학생들의 성장을 체험한 뒤 교육자의 관점으로 자신의 교육 및 연구를 바라보게 되는 과정이다. 과거에는 연구를 모두 주도했다면, 이 과정에서는 학생들에게 연구를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본인은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다음으로, 학문열정 형성과정의 특징은 학문적 욕구 충족을 위한 형성, 정당화를 통한 형성, 성찰을 통한 형성, 사회적 형성으로 요약된다. 학문열정은 지적 호기심 해결, 학문적 영향력 발휘, 학계로부터의 인정이라는 학문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또한, 학문열정은 학문활동에 대한 의미를 스스로 형성하는 정당화 과정, 그리고 현 상황과 자신의 역할, 학문활동의 상호연결성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문열정은 특히 학문공동체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열정의 개발 가능성을 대학교수의 경험을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열정의 형성과정을 질적 변화의 관점으로 이해하여 열정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을 확장하였다. 셋째, 학문열정 형성과정의 특징을 밝혀 학문공동체 구성원들의 열정을 고취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1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