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에서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학생의 규칙 신뢰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lass Communication Methods on Students' Rule Trust in Elementary School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혁-
dc.contributor.author권한님-
dc.date.accessioned2019-10-18T16:57:12Z-
dc.date.available2019-10-18T16:57:12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680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3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80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2019. 8. 박성혁.-
dc.description.abstractFor a law and a system to come into force effectively in a democratic society, it requires the citizens belief and supports. However, modern Korean society has very little public trust in laws and systems, and this trend of distrust can also be found in public schools. The typical examples of such distrust are: the futility of school institutions and public education, doubts about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 breakdown of trust among students who cannot trust each other.
For students who spend most of the day in school, school rules, which are the official norms of the school, are thought to be their laws and systems. Just as trust in a system must be backed up in order for democracy to be sustained, students trust in school rules must precede in order for the rules to be effective and to function as means of maintaining community in harmony. Trust in school rules will not only lead to a voluntary rule-abiding behavior of students, but als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school community by promoting studentscooperative attitudes.
This trust does not form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rather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m. In particular, official rules of living that appl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 class rule. In order for class rules to be established and enforced by consensus among the class members, the class members experience a constant process of communication. Students may or may not trust the class rules that result from the communication, depending on how they had communic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forming trust. First, the cognitive aspect and the emotional aspect of communication was distinguished in order to clarify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form the rule trust.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we found that communication rationality and communication openness, in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 of communication respectively, are necessary in forming tr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ocratic communication methods on the studentsrule trust. A concrete hypothesi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s as follows.

[The main hypothesis] The class communication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the studentsrule trust.
[Hypothesis 1]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democratic,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fairness of rule.
[Hypothesis 1-1]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rational,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fairness of rule.
[Hypothesis 1-2]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open,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fairness of rule.
[Hypothesis 2]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democratic,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usefulness of rule.
[Hypothesis 2-1]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rational,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fairness of rule.
[Hypothesis 2-2] If students perce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open, they will have a higher trust toward the fairness of rule.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3 classes from 4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Cases that responded unfairly to th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leaving a total of 260 valid responses for analysis. With these collected data,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calculated to predict students rule trust based on perceived communication openness and rationality, participation in rule formation, participation in rule enforcement, age, and gen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dopted that the class communication methods perceived by the students affects the studentsrule trust. In addition, both the rationality and openness of communic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toward fairness and usefulness of the rule and adopt all the sub–hypotheses.
Through these results, we can deriv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First, the fact that the class communication methods affect the rule trust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students trust in rule through democratic communication, which is the goal of the norm education. Communication that students experience with their teachers and peers on a daily basis serves as a potent and powerful latent curriculum for building rule trust.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trust is formed by multidimensional and persistent interactions, rule trust can be cultivated more effectively through everyday life-wide experiences.
Second, this study attempted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rule trust. Previous research on school rules has considered teacher and students separately and presumed that teacher is a rule executor and students are subject to the rules. However, in this study, we saw the classroom as a public sphere where a teacher and students make rules together. This provides a different view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the students in that we saw the role of students in operating rule as equal to that of teacher.
Third,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deal form of class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rationality and openness of communic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lass communication method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forming students rule trust. These results reveal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class that promote students trust in rules.
Fourth,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ormative education aimed at raising trust in rule. The rule tru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median(M=4.15). School normativ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mote rule trust, not just rule observance. This will be possible by creating a class atmosphere where democratic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Rule trust formed through democratic communication promotes mutual cooperation within the class community and helps voluntarily comply with the rules. Those experiences from school will encourage students to become democratic citizens who respect social norms and build social trust based on them.
-
dc.description.abstract민주주의 사회에서 법률과 제도가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제도에 대한 믿음과 지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한국은 법률과 제도에 대한 공적 신뢰가 매우 낮은 사회이며 이러한 불신의 풍조는 학교 현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학교기관과 공교육의 무의미함,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의심, 서로를 믿지 못하는 학생들이 신뢰가 무너진 모습의 대표적인 예이다.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학생들에게 체감되는 법률 및 제도는 학교의 공식적 규범인 학교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가 유지되기 위해서 제도에 대한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교규칙이 실효성을 갖고 공동체 화합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규칙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규칙에 대한 신뢰감은 자발적인 규칙 준수 행동을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협력적 태도를 증진시켜 학교 공동체 유지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형성하게 된다. 특히 초등학생에게 적용되는 공식적 생활규범인 학급규칙은 학급 구성원 간 합의에 의해 성립되고 시행된다. 이 과정에서 학급 구성원들은 끊임없는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된다. 학생들은 학급 의사소통의 방식이 어떠했느냐에 따라 그 결과물인 학급규칙에 대해 신뢰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의 기제로서 소통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먼저 규칙 신뢰감을 형성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밝혀내고자 의사소통을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및 관련 이론을 검토한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의사소통 합리성이 필요하며, 정서적 측면에서 의사소통 개방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민주적 의사소통 방식이 실제로 학생들의 규칙 신뢰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주가설] 학생이 지각한 학급 의사소통 방식은 학생의 규칙 신뢰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1] 학생이 지각한 의사소통 방식이 민주적일수록 규칙 공정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 1-1] 의사소통 방식이 합리적일수록 학급규칙 공정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 1-2] 의사소통 방식이 개방적일수록 학급규칙 공정성이 높을 것이다.
[하위가설 2] 학생이 지각한 의사소통 방식이 민주적일수록 규칙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 2-1] 의사소통 방식이 합리적일수록 학급규칙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 2-2] 의사소통 방식이 개방적일수록 학급규칙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에 소재하는 4개 학교에서 총 13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설문지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케이스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측정된 총 26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의사소통 개방성과 합리성, 규칙 형성 참여 여부, 규칙 시행 참여 여부, 연령, 성별을 독립 변인으로, 규칙 신뢰감을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학생이 지각한 학급 의사소통 방식은 규칙 신뢰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주 가설을 채택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의 합리성과 개방성 모두 규칙의 공정성과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모든 하위가설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의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규칙 신뢰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규범교육의 목표인 규칙 신뢰감 함양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학생이 일상적으로 교사와 또래 학생들과 경험하는 의사소통이 규칙 신뢰감 형성에 강력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신뢰라는 개념이 다차원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됨을 고려할 때 규칙 신뢰감은 생활 전반에 걸친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규칙 신뢰감 연구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동안 학교규칙에 대한 연구는 교사와 학생을 분리하여 교사는 규칙의 집행자로 학생은 규칙을 적용 받는 존재로 전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실을 교사와 학생이 함께 규칙을 만들어 나가는 하나의 공론장으로 보았다. 이는 규칙 운영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동등하게 보았다는 점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셋째, 본 연구는 학급 구성원 간 의사소통이 어떠한 형태로 조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학급 의사소통 방식의 하위 요소로 분석한 의사소통의 합리성과 개방성은 규칙 신뢰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어떠한 의사소통 방식이 학생의 규칙 신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규칙 신뢰감 함양을 목표로 하는 규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규칙 신뢰감은 중간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M=4.15). 학교 규범 교육은 단순히 규칙 준수의 차원에서 벗어나 규칙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민주적인 의사소통의 조성을 통해 가능한 일일 것이다.
민주적 의사소통을 통해 형성된 규칙 신뢰감은 학급 공동체 내에서 상호 간 협력을 증진시키고 자발적으로 규칙을 준수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학교에서의 경험은 학생들이 사회 규범을 존중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신뢰를 형성하는 민주 시민으로 나아가도록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4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5

Ⅱ. 이론적 배경 8
1. 사회과 목표로서 규칙 신뢰감 8
1) 신뢰의 개념과 유형 8
(1) 신뢰의 개념 8
(2) 신뢰의 유형 11
2) 규칙 신뢰감 13
(1) 규범과 학급규칙 13
(2) 규칙 신뢰감의 개념과 내용요소 17
(3) 사회과교육과 규칙 신뢰감 19
2. 민주적 의사소통 21
1) 의사소통의 개념과 특성 21
(1) 의사소통의 합리성 22
(2) 의사소통의 개방성 28
2) 민주적 의사소통과 시민교육 31
(1) 의사소통의 교육적 의미 31
(2) 초등학교 교실 내의 의사소통 33
(3) 민주적 의사소통의 시민교육적 의의 37
3. 의사소통과 규칙 신뢰감 39
1) 소통을 통한 신뢰 구축 39
2) 학급 의사소통 방식과 규칙 신뢰감 40
4. 선행 연구 검토 42
1) 의사소통 관련 선행연구 42
2) 규칙 신뢰감 관련 선행연구 43

Ⅲ. 연구 설계 46
1. 연구 가설 46
2. 연구 대상 47
3. 연구 변인 49
1) 종속 변인 50
2) 독립 변인 50
3) 통제 변인 51
4. 측정 도구 52
5. 분석 방법 55

Ⅳ. 결과의 분석과 논의 57
1. 학급 의사소통 방식과 규칙 신뢰감의 특성 57
1)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 의사소통 방식 57
2) 초등학생의 규칙 신뢰감 58
2.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규칙 신뢰감에 미치는 영향 59
1)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규칙 신뢰감에 미치는 영향 60
2)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규칙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63
3)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규칙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66

Ⅴ. 결론 및 제언 70
1. 요약 및 결론 70
2. 제언 75

참고문헌 78

부록 85

Abstract 9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민교육-
dc.subject법교육-
dc.subject학급규칙-
dc.subject의사소통-
dc.subject규칙 신뢰감-
dc.subject신뢰-
dc.subject.ddc370.19-
dc.title초등학교에서 학급 의사소통 방식이 학생의 규칙 신뢰감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Class Communication Methods on Students' Rule Trust in Elementary School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on, Han Nim-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680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680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