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후가정사고가 지구온난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on Attitudes toward Global Warming: A Problem in Adaptation to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 적응 문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두은미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후가정사고지구온난화 완화와 적응 전략감정적 반응문제 인식 수준심각성 인식극복의지행동의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2019. 8. 류재명.
Abstract
As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re expected to become more widespread and prolonged, mitigation and adaptation to global warming has become a global emphasis on the survival of mankind. In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to improve attitudes toward global warming is two types of counterfactual thinking: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and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Counterfactual thinking is the mental assumption of alternative events that did not happen unrealistically after an event, such as "if ... did (or did not) ..." At this time, a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magines a better alternative than an actual outcome, and a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assumes a worse alternative than the actual outcom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ill improve the level of awareness of global warming problem and willingness to act, and it is assumed that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ill cause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o global warming and willingness to overcome it.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6th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and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showed mor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han th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Also, in the will of overcoming the global warming, the group of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and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level of perception of global warming problem, th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global warming' factor than the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Lastly, in the willingness to act, the results of th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were parti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are helpful in improving attitude toward global warming in different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adaptation in global warming education. The two strategies of global warming, mitigation and adaptation, are complementary, suggesting that more balanced research and education is needed in the future.
지구온난화로 인한 영향이 더욱 광범위해지고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구온난화현상을 완화하고 이에 적응하는 삶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전 지구적 강조점이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지리교육은 다양한 지리적 현상에 대한 문제 대처 능력을 기르는 교과로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이는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사후가정사고의 두 유형인 상향적 사후가정사고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이다. 사후가정사고란 만약 ...했다면(또는 하지 않았다면), ...했을 텐데와 같이 어떤 사건 이후에 실제와 다르게 일어나지 않았던 대안적인 사건들을 정신적으로 가정하는 것으로 결과의 비교 방향에 따라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실제 결과보다 더 나은 대안을 상상하는 것이고,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실제 결과보다 더 나쁜 대안을 상상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현실과 대안과의 대비효과를 통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부정적인 감정과 미래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가 유발되며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긍정적인 감정이 유발된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향적 사후가정사고가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인식 수준 및 행동의지를 향상시킬 것이라 가정하고, 하향적 사후가정사고가 지구온난화에 대한 긍정적 감정 반응과 극복의지를 유발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소재 한 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과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 통제 집단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은 지구온난화 피해 사례에 대한 텍스트를 읽고 피해를 예방하지 못한 경우를 찾아 적었으며, 만약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면 현재 어떻게 되었을지 상상해보았다.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은 지구온난화 적응 사례에 대한 텍스트를 읽고 지구온난화를 이용한 좋은 점을 적었으며, 만약 지구온난화현상을 이용하지 않았다면 현재 어떻게 되었을지 상상해보았고, 통제 집단은 지구온난화에 관한 지문을 읽었으며 간단한 확인 문항에 응답하였다.
실험 결과,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 보다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보였다. 또한 지구온난화 극복의지에 있어서도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 및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향적 사후가정사고가 유발하는 긍정적인 감정이 극복의지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인식 수준에 있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이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 및 통제집단에 비해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 인식 요소에 있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상향화 되어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 인식 수준에 있어서도 부분적이지만 상향적 사후가정사고가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행동의지에 있어서도 상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이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처치 집단 및 통제 집단에 비해 부분적으로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자유서술 문항의 응답에서도 이와 일관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상향적 사후가정사고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각기 다른 요소에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태도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지구온난화 교육에 있어 교육적 목적에 따른 유형별 사후가정사고의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 적응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지구온난화 교육에 있어 적응의 중요성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지구온난화 적응이란 손해를 감소시키거나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순응과는 달리 생존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지구온난화의 두 전략인 완화와 적응은 상충되지 않으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앞으로 보다 균형 있는 연구와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3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