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이론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Moral/Ethics Education Curriculum :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Theory of G. Lind
린트(G. Lind)의 도덕교육론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창우-
dc.contributor.author강민겸-
dc.date.accessioned2019-10-18T17:04:17Z-
dc.date.available2019-10-18T17:04:17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16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6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2019. 8. 정창우.-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게오르그 린트(Georg Lind)의 도덕교육론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식 전수 위주의 교육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학교 교육에서 역량 개념의 도입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요구, 전통적 지식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지식관의 도래, 교육과정 개념에 대한 재정의의 논의 속에서 등장하였다. 역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 정의가 이루어져왔으나 공통적으로 총체성, 맥락성, 수행성, 학습 가능성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 네 가지 공통된 특징을 바탕으로 역량을 학생들이 실제적 삶 속에서 무언가를 할 줄 아는 실질적인 능력으로 정의한다.
문서로서 제시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학교 교실 현장에서 개별 교사가 설계하고 수행하는 수업을 통해 실현된다. 이때,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한 조건으로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 및 이를 위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문서상의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한 교사 전문성이 제시되고 있다.
독일의 도덕심리학자이자 교육자인 린트는 도덕성을 도덕적 행위에서 드러나는 두 가지 측면, 즉 도덕적 지향(moral orientation)과 도덕적 역량(moral competence)으로 파악한다. 그는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가치, 덕목을 포함한 도덕적 지향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었으며 앞으로의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지향하는 선(善)을 삶에서 성취할 수 있는 능력인 도덕적 역량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원주의 민주 사회에서 발생하는 많은 도덕적 문제와 시민들 사이의 갈등 상황은 도덕적 지향의 부재라기보다는 도덕적 역량의 부재로 인한 폭력과 속임수, 권력 남용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적 역량의 구체적인 의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적 도덕 원리를 참조하여 폭력이나 속임수 대신 숙고와 토론을 통해 도덕적 문제와 갈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따라서 민주주의 사회에서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이 되기 위해 학생들은 도덕적 역량을 길러야 하며 학교는 학생들의 도덕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린트는 자신의 도덕성 개념을 원리로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도덕적 역량 검사(MCT)를 고안하였고, 도덕적 역량의 특징과 MCT의 구성 원리를 충실히 반영한 교수·학습 전략인 콘스탄츠 방식의 딜레마 토론(KMDD) 수업을 설계하여 교육과정의 일관성과 수업의 효과성을 확보하였다.
린트의 도덕성 규정과 교육과정상 역량 개념의 일반적 특징 사이에서 발견되는 개념적 유사성, 그의 도덕교육론 내용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성공 조건이 갖는 구조적 유사성은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이론으로서 린트의 도덕교육론을 고려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이를 통해 도출해 낸 시사점으로 첫째,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의 함의이다. 도덕적 역량은 도덕과의 중심 교과 역량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가치와 세부 교과 기능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단원을 재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도덕적 역량은 도덕과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인 중첩된 인간상에 도달하기 위한 목표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덕적 역량의 증진은 도덕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인성과 정의로운 시민으로서 요구되는 시민성의 중첩지대인 시민적 인성의 함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둘째, 린트의 도덕교육론은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의 구체적인 방법이자, 도덕과 평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중심평가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도덕적 역량 증진을 위해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인 KMDD는 수업의 방법이자 동시에 평가의 도구이다. KMDD의 하위 목표와 진행 절차, 교사의 역할 및 유의사항은 도덕적 역량의 특징과 MCT의 구성 원리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한 교사 전문성에 관한 함의이다. 문서화된 교육과정은 교사의 수업에 의해 실현된다. 린트의 도덕교육론이 제시하는 교사의 역할 및 교사 훈련은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천 주체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과 전문성의 구체적인 내용과 교사 교육의 목표 및 방법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moral education theory of Georg Li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moral/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emerg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knowledge transfer-oriented education, is a so-called competence-based curriculum centered on key competencies.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e concepts in school education emerged amid the demand to prepare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the arrival of reflection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new knowledge, and the discussion of redefining the concept of curriculum. Competence has been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but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totality, contextuality, performance, and learning potential. Based on these four common characteristic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fines competence as the practical ability of students to do something in real life.
National-level curriculum presented in documentary is realized through classes designed by individual teachers at school classroom. At this time, the conditions for effectiv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are presented,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centered on the subject compenectes,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to help students' overall growth,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required to realize the curriculum on the school site.
Lind, a moral psychologist and educator, identifies morality as two aspects that manifest itself in moral behavior: moral orientation and moral competence. Until now, moral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moral orientation, including desirable values and virtues for students, and future mo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moral competence, the ability to achieve what students are desiring for in life. This is because many moral problems and conflicts among citizens in a pluralist democratic society stem from violence, deception and abuse of power due to lack of moral competence, rather than from lack of moral orientation.
The specifics of moral competence refer to the ability to resolve problems and conflicts on the basis of inner moral principles through deliberation and discussion instead of violence and deceit. Thus, in order to become moral man and just citizens in a democratic society, students must develop moral competence, and schools must provide education to foster students' moral competence. Based on this concept of morality, Lind devised a Moral Competence Test (MC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designed a Konstantz-Method of dilemma discussion(KMDD),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at faithfull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competence and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MCT, to ensure consistency in the curriculum and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similarity of concepts found betwee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Lind's morality definition and general meaning of competence, his moral education theory and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success conditions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Lind's moral education theory as a theory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moral/ethics curriculum. First, the implications of setting goals for competence-based moral/ethics curriculum are derived from these implications. Moral competence can be set up as a central teaching competence with morality, through which the unit can be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ore values and detailed teaching functions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an organically. Furthermore, moral competence can be set as a goal to reach the overlapping human model, an ideal human figure pursued by the moral/ethics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promotion of moral competence means the cultivation of civil character, a superposition of civic character required as a moral man and a just citizen.
Second, Lind's moral education theory can be used as a specific method of unifying curriculum-classes-evaluation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as well as a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 for overcoming problems in moral/ethics education evaluation. In particular, KMD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resented to enhance moral competence, is both a method of teaching and an instrument of evaluation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the KMDD's sub-target and progression procedures, teachers' roles and caveats faith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competence and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MCT.
Third, it implies teacher expertise for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a competence-based moral/ethics curriculum. Documentary curriculum is realized through classes designed by individual teachers at school classroom. Teacher's role and teacher training presented in Lind's moral education theory can be used to establish specific content of teacher expertise required as a competence-based moral/ethics curriculum implementer and to set goals and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for i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11
제 1 절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 중심적 접근 11
1. 역량 개념의 이해 12
2.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등장 배경 17
제 2 절 도덕성에 대한 역량 중심적 접근 23
1. 도덕 발달에 대한 인지주의 이론의 전개 23
2. 린트의 도덕적 역량 개념의 등장 33

제 3 장 린트의 도덕교육론 41
제 1 절 린트의 도덕 발달 이론 41
1. 도덕적 행위의 이중 측면 모델 41
2. 도덕적 역량 개념에 대한 해석 48
제 2 절 도덕적 역량 검사(MCT) 52
1. 기존 심리 측정 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52
2. MCT의 구성 원리 및 특징 58
제 3 절 콘스탄츠 방식 딜레마 토론(KMDD) 67
1. 도덕 발달을 위한 딜레마 토론의 의의 67
2. KMDD의 구성 및 특징 71
제 4 절 린트 도덕교육론에 대한 평가 81
1. 린트 도덕교육론의 의의 및 한계 81
2.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88

제 4 장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제언 94
제 1 절 도덕적 역량을 통한 도덕과 교육 목표 설정 94
1. 도덕과 중심 교과 역량으로 도덕적 역량의 설정 94
2. 중첩된 인간상 실현을 위한 목표로서 도덕적 역량 101
제 2 절 린트 도덕교육론을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105
1. 도덕적 역량을 고려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개선 105
2. MCT와 KMDD를 적용한 과정중심평가 실현 114
제 3 절 교사 전문성 확보를 통한 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현 127
1. 교육과정 실천 주체로서 교사 전문성 127
2. 도덕적 역량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중요성 133

제 5 장 결론 138

참고문헌 144
Abstract 15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덕적 역량-
dc.subject역량기반 교육과정-
dc.subject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dc.subject도덕적 역량 검사(MCT)-
dc.subject콘스탄츠 방식의 딜레마 토론 수업(KMDD)-
dc.subject게오르그 린트(Georg Lind)-
dc.subject.ddc170-
dc.title역량기반 도덕과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이론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Theory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Moral/Ethics Education Curriculum :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Theory of G. Lind-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ingyeom Kang-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윤리교육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린트(G. Lind)의 도덕교육론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16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16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