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xamination of spectator intention to re-attend in V-league volleyball game 2018, Korea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pplying Spectator Attenda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Nominzul Khuyag

Advisor
이충근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pectator attendancetheory of planned behaviourvolleyballprofessional sport leagu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2019. 8. 이충근.
Abstract
Rationale for the research
Professional sports management have become more comprehensive and more sophisticated to purpose that have generating enormous revenue. Furthermore, big percentage of revenue comes from gate receipts, merchandise and broadcasting etc. Sports marketing managers have designed marketing strategies more rational and coherent based on their own market research. Leisure time and technology advancement can be used as an advance of sports manager. Understanding the spectators psychologic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attendance of a sport event then marketing managers can manage the spectators consumption of sports. Which will further improve of marketing strategy with the spectator. George. B (2003) stated that Attracting people to the stadium or ballpark not only increase ticket revenue, but increases sub revenue streams such as parking, concession and merchandis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y spectators come to V-league and what makes them come back again in volleyball game.
The researcher used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better understand spectator intentions to re-attend sport event (i.e., volleyball). Data was collected by Korean volleyball federation. V-league is the only professional league all across Asian countries and one of the top sport in Ko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quantitative research is to examine spectator intentions to re-attend in volleyball event. Dependent variable is intention to re-attend, independent variables are friend and family are subjective norm, pleasant, entertaining, valuable, exciting, family bonding and making friends as attitude and money, time and stadium location as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Research population are the spectators who are attending the V-leagu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spectators who were attended in V-league match.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Central findings justification received that predictions (hypothesis 1 and 3) that attitude and perceived control had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ntion to re-attend a V-league match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Further, descriptive statistic such as comparison of mens and womens match showed slight difference to explain the compensation of demographic and intention to further game. Study has some limitations which were related with content of questionnaire.
프로 스포츠 매니지먼트는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보다 포괄적이고 정교해졌다. 더욱이 수입의 큰 비중은 입장권, 머천다이즈, 방송 등에서 비롯된다. 스포츠 마케팅 관리자들은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일관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했다. 여가 시간 증대와 기술의 발전은 스포츠 매니지먼트의 발전에 사용될 수 있다. 스포츠 이벤트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관중들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면 스포츠 마케터들은 관중들의 스포츠 소비를 관리할 수 있다. George. B (2003)는 사람들을 경기장으로 이끄는 것은 티켓 수익뿐만 아니라 주차, 이용권, 머천다이즈 등의 하위 수입도 증대시킨다고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관중들이 V리그를 찾는 이유와 배구 경기장을 다시 찾게 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관중의 스포츠 이벤트 재관람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 이론을 적용하였다. 데이터는 한국 배구 연맹을 통해 수집되었다. V리그는 아시아 모든 나라를 관통하는 한국의 유일한 프로 리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배구 경기 관중들의 재관람 의도를 검증하기 위한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관람이며, 독립변수는 친구와 가족의 주관적 규범, 기쁨, 즐거움, 가치있음, 흥미로움, 가족 유대, 사교의 태도, 그리고 돈, 시간, 경기장 위치의 지각된 행동 통제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한국 V리그 경기 관중들이다. 데이터는 V리그 경기에 참석한 323명의 관중들에게 수집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회귀 분석 결과에 따르면 태도와 지각된 통제가 V리그 경기 재관람 의도에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는 가설 1과 가설 3의 예측이 주요한 결과이다. 더욱이, 남자 경기와 여자 경기의 비교와 같은 기술통계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추후 경기 참석 의도를 설명하는데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질문지의 내용 및 구성에 관한 제한점을 가진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7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28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