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USAMGIKs Approach to the Subjectivity of Civics and Farmer after the Liberation: A Content Analysis of the Farmer's Weekly : 해방 후 공민과 농민 주체에 관한 미군정의 접근 연구: ⸢농민주보⸥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ani KIM

Advisor
강대중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armerCivicsKongminFarmers' enlightenmentLiteracyFarmer's Weekl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협력전공,2019. 8. 강대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intention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1945-1948) were represented in the Farmers Weekly,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in terms of enlightening farmers as a new subject of newly-independent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Farmers Weekly to illustrate the aspects of literacy that are found in it and the subjectivity the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produce through such literacy. The newspaper is viewed as a literacy education texts in that it contained contents on knowledge, attitudes, values, and practices to cultivate a certain literacy.
The contents of the Farmers Weekly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literacy they foster: basic, political, and agricultural literacy. The basic literacy contents are subdivided into Korean literacy, the history of Korea, and health. The political literacy contents comprise the following: the USAMGIKs policies, activities, and political perspectives; criticisms against the communist Soviet Unions; and democr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gricultural literacy contents include food policies, crop cultivation techniques, animal husbandry, and farmers virtues.
These contents are restructured as the literacy required for the kongmin (civics)—a political subject—and the farmer—an economic subject. The kongmin is the subject who realizes nation-building and democracy within the US-led liberal camp while conforming to the national authority. Literacy for the kongmin is composed of, first, basic literacy of Hanguel, Korean history, and health and, second, political literacy comprising appreciation of democracy, pro-US and anti-Soviet perspectives, and conformity to the national authority. This was a noticeable switch from colonial education for imperial subjects, characteristic of the approach of the military government (MG) to the political subject of a democratic state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The conformity required of the kongmin, however, had the potential to override the value for democracy, amid highly nationalistic colonial legacies remaining in education, as it meant refraining from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farmer is a rational economic subject, who is required for scientific literacy for farming. The literate farmer also learns to become not only self-reliant to break the cycle of individual poverty but also devoted to supporting the national economy. This incorporates both the United States introduction to a rational way of thinking and practice in farming, as well as values that were conventionally required of farmers from the late colonial period with continuing rural poverty, limited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d procrastination of land reforms after the liberation. As such, the subjectivity the USAMGIK intended through the medium of the Farmers Weekly ha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ut was also based upon the educational contexts intertwined with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unfolding from the colonial period into liberated Korea.
This thesis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literacy education for farmers. It discusses the features of literacy that the MG required farmers to learn, in terms of making them the new subjects of independent Korea. It also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farmers economic as well as political subjectivity, while previous research was more inclined to solely investigate political subjectivity focusing on kongmin in the political contexts of the Cold War.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군정 (1945년-1948년)이 농민들에게 의도했던 새로운 국가의 주체의 모습이 공보부가 발간한 신문 ⸢농민주보⸥에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농민주보⸥에 나타나는 문해의 여러 측면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군정이 어떤 종류의 주체성을 생산하고자 했는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농민주보⸥를 문해를 위한 특정한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 내용을 담고 있는 문해교육 교재로 보고,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탐구하였다.
⸢농민주보⸥의 내용은 육하는 문해의 종류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뉜다. 첫째, 기초 문해를 위한 내용은 한글 문해, 한국사, 보건 및 위생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정치 문해를 위한 내용은 미군정의 정책, 활동, 정치적 관점, 소련에 대한 경계와 비판, 민주주의 및 정치 참여로 구성된다. 셋째, 농업 문해를 위한 내용은 미군정의 식량 정책, 작물 재배법, 축산법, 농민으로서 갖춰야 할 미덕을 포괄한다.
이 내용들은 미군정이 정치적 주체인 공민에게 요구한 문해와 경제적 주체인 농민에게 요구한 문해로 재조직될 수 있다. 미군정은 농민들을 미국의 자유진영 안에서 민주주의와 국가건설을 실현하는 공민으로 교육하고자 했다. 또한, 공민은 국가의 필요에 철저하게 순응적인 주체여야 했다. ⸢농민주보⸥는 공민을 위해 한글, 국사, 보건 지식 및 실천으로 구성된 기초 문해와 민주주의 및 친미-반소의 관점, 국가 권위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 구성된 정치 문해를 가르쳤다. 이는 일제강점기 황국신민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냉전 하에서 민주 국가의 정치적 주체 교육에 대한 미군정의 독특한 접근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가 권위에 대한 순응을 강조한 것은 극도로 국가주의적인 식민지기 교육의 잔재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공민으로 하여금 국가의 권위에 대한 순응을 민주적인 가치와 실천보다 우선시 하게 할 수도 있었다.
또한, 미군정은 농민을 합리적 경제 주체로 계몽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서 농민들은 농사일에 적합한 과학 문해와 농사에 대한 합리적인 사고방식과 실천을 배워야만 했다. 또한, 미군정이 농민에게 요구한 문해는 빈곤에 대한 개인적 책임의식과 국가 경제에 대한 헌신과 같은 가치관도 포함하였다. 이는 미군정이 경제적 주체로서의 농민이 새롭게 소개된 합리성을 습득하면서도, 가치관 측면에서는 지속되는 농촌 빈곤, 국가 지원의 제한, 농지 개혁의 지체 속에서 일제강점기 후반 이후 줄곧 농민에게 기대되었던 바를 유지하기를 의도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미군정이 의도한 농민의 주체성은 그 시기의 독특한 특징을 띄고 있지만, 동시에 일제강점기 후반부터 해방 이후까지 지속되어 오던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도 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9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7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