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모빌리티의 상상과 새로운 삶의 실험: 농촌 이주 청년들의 서사를 중심으로 : 'Imagined Mobility' and Experiment for New Way of Life: A Study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반석

Advisor
김홍중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귀농귀촌농촌 이주상상된 미래상상된 모빌리티자율성행위성꿈.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2019. 8. 김홍중.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ir own narratives. I argue that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hould be regarded as practice for envisaging and reconstructing their future lives through the mobility towards rural areas. In a situation where young people feel that their lives cannot be sustained in the survivalistic atmosphere in urban areas, they seek to regain their agency and initiatives for rebuild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Before examining young peoples narratives, I first looked at the semantics of the gwinong/gwichon(return-to-farm/return-to-rural) discourse in Korea. In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of late-90s in Korea, gwinong has emerged as a social phenomena, which is promoted as alternative for unemployment on the one hand, and ecologic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Young people, meanwhile, appeared as main agent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in recent years, in the crisis of demographic declination in rural areas and shortage of manpower in agricultural sector.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s often viewed as seeking for economic opportunities in agricultural sector, or pursuing ecological value and establishing community in rural areas.
It is this point that this study raises question. Comparing with that of older people, who have been the main actor of gwinong/gwichon phenomena, young peoples urban-to-rural involves much more risks and unstability, in that they have few resources to utilize, and are in very vulnerable status in rural areas. Thus, the problem of the motivation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cannot be simply explained in the viewpoint of their value orientation―economic value or ecological/ alternative value, because they have to take many risks and challenges in order to pursue their values in rural areas.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s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migration into rural areas, focussing on their imagined future. The narratives analyzed in this study cover the general course of young peoples migration, starting from their experiment in urban areas before their migration, their encounter with rural areas and decision of migration, and their settlement in countryside and experiment for new way of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s stress and skepticism in urban areas is not only the problem of trouble and difficulty in their current lives, but also related to the impossibility to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future. In the interview,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could not sustain their lives anymore in the urban areas. Meanwhile, facing the lethargy in urban life, they had steadily pursued change of lifestyle before they moved to rural areas. These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as their construction of agency to envisage their future and mak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young peoples experiment of lifestyle in their days in urban areas later influenced their migration to rural areas for searching for new life.
Second, the process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eems to be contingent process involving various chances of encountering and experiencing the rural, rather than linear process involving deliberate planning and preparation for migration. Along this course of encountering the rural, young people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unfamiliar space of rural areas, examine the possibility of rural life, and give shape to their imagination of moving into rural areas.
Finally, young people who moved into rural areas try to make their own lifestyle in each aspects of their lives. In the core of their project is agency and autonomy to design their life course. Unlike in urban areas where they could not have initiative of their own lives, in rural areas they could be protagonist of their labor and living, planning their daily lives, and own the output of their work. Such experience was at the heart of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lives in countryside. In this way, young people reconstruct their prospect of future lives and try to build sustainable lifestyle in rural areas.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회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을, 청년들 자신의 삶의 서사로부터 다시 규명해 가려는 연구이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생존경쟁과 불안정한 삶의 여건 가운데 더 이상 자신의 삶을 지속해 갈 수 없다고 느낀 상황에서, 농촌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자신들의 삶의 자율성과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들의 삶의 전망을 재구성해 가는 실천으로서 청년들의 농촌 이주에 주목하였다.
우선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의 배경을 살피기 위해, 한국사회의 농촌 이주 현상 전반을 아우르는 귀농귀촌 담론의 흐름과 그 의미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정부의 실업자 구제책의 일환으로서 귀농이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한편에서는 생태운동의 일환으로서 귀농운동의 흐름이 등장하면서, 귀농귀촌이 사회적인 현상으로서 가시화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농촌의 세대교체를 담당할 젊은 인력들이 필요해지면서, 청년들의 귀농귀촌을 장려하는 움직임이 최근 들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만들어진 청년 귀농귀촌 담론에서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농촌에서의 창업으로서 규정하거나, 경쟁적이고 소비적인 도시에서의 삶의 방식에 저항하며 농촌에서 대안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활동으로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가 문제제기를 하는 지점은 바로 이 부분에서이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한다는 것은, 이제 막 삶의 진로와 향방을 정해야 하는 이행기적 시기에, 동원할 수 있는 자원도 부족하고, 농촌사회 내에서의 위치도 훨씬 취약한 상황에 놓인다는 점에서, 장년층의 귀농귀촌에 비해 훨씬 많은 위험요소와 불안감을 감수해야 하는 결정이다. 그러한 점에서 경제적인 기회나 대안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귀농귀촌 담론의 설명틀만으로는 청년들이 그 모든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농촌에서의 삶을 선택하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해낼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들 자신의 미래에 대한 전망과 상상의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들이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면서 농촌으로의 이주를 결심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새롭게 미래를 꿈꾸며 자신의 삶을 꾸려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농촌 이주 이전 도시에서 겪었던 회의와 스트레스는, 이들이 더 이상 자신의 삶의 미래를 전망할 수 없다는 무기력함과 연결되어 있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어려움은 단순히 현재의 삶의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대로는 자신의 삶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는, 삶의 전망의 불가능성으로 이어진다. 한편 청년들은 도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거치며 스스로 삶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경험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는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부터 이미 불안정한 삶의 전망을 마주하는 가운데 자신의 삶을 기획해 나가고자 하는 계기들을 마련해 온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과 모색의 경험들은 이후 이들이 농촌이라는 새로운 삶의 무대에 자신을 던지는 데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로 청년들의 농촌 이주 과정은, 처음부터 농촌 이주를 목표로 하고 치밀하게 준비하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계기들이 누적되는 가운데 농촌에서의 삶을 실험하고 모색한 끝에 비로소 본격적인 이주로 이어지는 비선형적인 형태를 띠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청년들이 농촌이라는 미지의 공간에 자신을 던져 보면서, 농촌에서의 삶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 농촌의 삶에 대한 막연한 상상을 구체화시키는 과정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이동에 대한 상상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뒷받침해 주는 정책이나 공동체와 같은 다양한 기회구조를 경유하면서, 구체적인 이동의 실천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은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각자의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삶을 새롭게 꾸려 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청년들의 삶의 기획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자율성이다. 도시에서는 자기 삶의 주도권을 갖지 못했던 데 비하여, 농촌에서는 자기가 직접 노동과 삶의 주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기획해 나가고, 약소하나마 노동의 결과물을 자신이 향유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농촌 이주 동기와 이주 이후의 삶에 대한 서사에서 되풀이되어 등장했다. 이렇게 자기 삶의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의 행위 공간을 확보해 나가는 가운데, 청년들은 도시에서와는 또 다른 삶의 전망을 구성해 나가고,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을 추구하며 자신의 생애를 기획해 나가는 것이다.
청년들의 농촌 이주가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으로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농업의 세대교체나 지역 발전, 혹은 대안적인 공동체의 건설과 같은 청년들의 농촌에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청년들이 농촌으로 오기를 바란다면, 청년들에게 모종의 역할을 기대하기 이전에 이들이 농촌을 자신의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택하고, 그곳에서 자신의 삶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청년들이 농촌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 나가기를 원하는지, 청년들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청년들의 삶의 전망과 미래에 대한 꿈의 차원으로부터 청년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43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1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