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년기 건강상태 및 우울이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지혜

Advisor
한경혜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년기배우자관계만족도건강상태우울상호의존성자기효과상대방효과상호의존모형APIM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2019. 8. 한경혜.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interdependence with associations among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ctor and partner effects based on association among older couples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n mar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d society in Republic of Korea, older couples are more likely to spend daily time in company with. This social phenomenon puts emphasis on marital relationship readjustment. When the old encounters a number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loss and decline, their health status becomes weaken and depression due to the decline of health tends to be increas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caused by the health decline in old age may let spouses to be burdened with several roles of daily life for caring his or her partner. In this point,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old age may negatively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terms of marital interdependenc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4th, 5th, 6th waves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ith 791 dyads(1,582) over 65years old. Decline of health status increased depression, and this increased depression decreased marital satisfaction. In this mechanism, marital interdependence of older couples did not occurred symmetrically. Wives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spects of husbands.
This study found major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is affected by health status occurred only to husbands, and the partner effect appeared to both wives and husbands.
Second, under the condition that health status affects depression, the actor effect appeared to both wives and husbands, but the partner effect did not occurred.
Third, based on depression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e actor effect appeared to husbands, and the partner effect occurred to wives. For older wives, spousal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under the associati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actor effect occurred to both wives and husbands, and the partner effect appeared only to wives. These results revealed a clear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existing more conservative patriarch ideology within Korean older couples.
The present study added older couples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by focusing on a dyadic perspective. This finding directs future researchers to further elaborate on the mechanism with caring, household labor, gender role attitude, communication behavior to empirically explore the remained Korean traditional patriarch ideology among older couples.
노년기는 부부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됨에 따라 배우자관계의 재적응이 중요하다. 특히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의 경우는 배우자관계만족도의 정도에 따라 여생의 삶의 질이 달라 질 것이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노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쇠퇴와 상실을 맞이하면서 건강상태가 약화되고, 다른 발달적 특성과 다르게 건강상태의 약화로 인한 우울의 증가는 매우 두드러진다. 건강상태의 약화와 우울의 증가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가까운 배우자에게 일상생활의 다양한 요구와 역할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년기 건강상태와 우울은 배우자와의 관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에 노년기 배우자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에서는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간과해왔다. 더욱이 노년기에는 은퇴와 자녀의 독립으로 부부만의 일상이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에 부부의 상호의존성은 더욱 중요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변수 간 관련성을 개인 단위에서 밝히는 것을 넘어 부부 단위의 자료를 통해 부부가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2012년, 2014년, 2016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상태가 우울을 거쳐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부의 상호의존성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건강상태의 약화는 노년기 우울을 증가시키고, 우울의 증가는 배우자관계만족도를 낮추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서 부부의 상호의존성은 부부 간 대칭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아내는 남편의 특성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상태의 약화와 우울의 증가는 배우자관계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부부의 상호의존성에서 나타난 노년기 부부관계 역동을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상태가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는 남편에게만 나타났고, 상대방효과는 아내와 남편 모두에게 일어났다. 아내의 건강상태는 남편보다 좋지 못함에도 아내의 건강상태는 자신의 배우자관계만족도에 유의하지 않았는데 반해, 남편의 건강상태는 아내의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잔존해있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따라 아내의 건강상태보다 남편의 건강상태를 더욱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암시하게 했다.
둘째,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는 아내와 남편 모두에게 일어났지만 상대방효과는 두 배우자 모두에게 나타나지 않았다. 노년기의 만성질환이 늘어나고 기력이 쇠해짐에 따라 우울이 증가하는 것은 개인 내 매우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부부의 상호의존적인 영향은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우울이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는 남편에게만 일어났고, 상대방효과는 아내에게만 일어났다. 우울에 따른 다양한 역기능적 행동이 아내보다 남편에게 더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으로 인해 배우자관계만족도는 낮아질 수 있음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상태가 우울을 거쳐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는 아내와 남편에게 모두 일어났으며, 상대방효과는 아내에게만 나타났다. 자신의 심신이 고갈되어 갈 때 배우자는 삶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에 배우자와의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다. 또한 가부장성을 사회화 한 두 배우자에게 있어 심신이 쇠약한 남편은 아내에게 더 의존적이고 밀착된 관계로 다양한 요구를 하게 되기 때문에 아내는 역할 과중으로 인한 부담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다르게 아내의 우울보다 남편의 우울이 부부 체계에서 더욱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남편의 우울로 인한 부부관계의 부적응과 관련한 연구가 누적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건강상태가 우울을 거쳐 배우자관계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부부의 상호의존성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내 노년기 부부 체계에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 인한 남성중심적인 관계 역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통해 노년기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돌봄 및 가사 노동,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행동 등으로 건강상태, 우울, 배우자관계만족도의 관련성을 보다 구체화시킨다면 노년기 배우자관계만족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개입의 방향과 범위를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47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9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