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토마스 오스본 작곡 거문고 독주곡 <해를 잡아매야> 분석 연구 : An Analysis on Composed by Thomas Osborn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윤정-
dc.contributor.author박정민-
dc.date.accessioned2019-10-18T17:46:21Z-
dc.date.available2019-10-18T17:46:21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3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5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1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19. 8. 허윤정.-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Thomas Osborne(토마스 오스본)의 첫 거문고 독주곡인 를 분석하여 악곡의 구조와 연주법을 밝힌 논문으로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곡가는 다양한 폭의 농현(혹은 농음), 장식음, 여음의 울림과 당김음 등을 한국음악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여겼으며 특히 거문고 개방현의 울림과 섬세한 탄현법에서 표현되는 다양한 음색의 변화를 악곡 전반에 걸쳐 상용하고 있다.
둘째, 단 악장 형식의 를 나타냄 말, 빠르기 변화 등에 따라 󰆲, 󰆳, 󰆴, 󰆵, 󰆶, 󰆷, 󰆸의 총 7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각 단락은 작곡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음악용어를 포함한 다양한 나타냄 말로 지시하고 있으며 단락별로 나타나는 잦은 박자 변화는 본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다.
셋째, 본 작품은 음향학적 요소를 통한 새로운 연주법의 시도가 두드러지므로 음고, 음색, 음가, 음향의 네 가지 특성에 의거하여 주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가 변화를 위해 사용된 주법은 농현과 전성, 추성, 퇴성, 미분음과 이러한 주법간의 다양한 결합이다. 음색의 변화를 위한 주법은 동일 음을 각기 다른 현에서 연주하도록 하여 음색을 변화시키는 방법과 뜰 주법, 하모닉스, 스르렁, 피치카토 등의 주법들을 사용하였다. 음가의 변화를 위한 주법은 트레몰로의 사용이 있었고, 음량의 변화를 위한 주법으로는 손바닥을 사용하여 줄을 막는 주법이 있다.
본 연구가 거문고 연주자들에게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작품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 특히 주법의 특성을 음향학적인 요소로 파악한 본 논문의 분석방법이 연주자별로 다양한 해석을 통한 개성 있는 연주를 시도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더불어 토마스 오스본과 같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지닌 작곡가들의 거문고 및 다양한 국악기에 대한 창작이 활성화되어 한국음악의 현대적 창작 활동이 다변화되고 거문고의 저변이 한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확대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omas Osborne is a composer from the U.S. who is deeply interested in Asian music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nd has released 23 pieces using Korean instruments so far in 2019. The composer defined his music as music using Korean instruments based on Western and personal musical background. Results of his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Korean music can also be found in his work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piece and the techniques of geomungo based on the composers understanding of geomungo and Korean music.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terviews with the composer via e-mail, scores and performance video provided by the composer.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er explained the moving tone(nonghyeon or nongeum), ornamentation(bending, sliding, and playing quick grace note pattern), resonance and syncopation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In particular, he describes the deep, resonant tones of the open strings combined with the powerful attacks of each tone make geomungo that has the ability to express ideas and feelings that other instruments cannot. It can be seen throughout the piece .
Second, the piece is divided into seven paragraphs(paragraph 󰆲 to 󰆸)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empo, expression signatures, etc. Each paragraph dictates what the composer intends to express with various expression signatures and the frequent changes in beats in each paragraph ar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iece.
Third, geomungo techniques for the change of sound elements are divided into pitch, timber, phonetic value and volume. Techniques to change pitch are nonghyeon(shape a pitch by means of bend vibrato), jeonsung(moving the string up and down in quick), choosung(moving the string forward before resonance ends), tweosung(moving the string backward before resonance ends), use of microtone and combination of techniques. For the change of timber, use of different string to make same note, ddeul(similar to up bowing), harmonics, pizzicato are being used. Tremolo is used for the change of phonetic value and players obstruct the resonance of sound with palm to change volume.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in this study, I hope players could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background of the piece before playing Thomas Osbornes .
In addition, composition using geomungo by composers of various sociocultural backgrounds will be activated so that a wide range of study can be carried out on it and Thus, the usage of geomungo can be expanded in the contemporary creations of Korean music.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8

Ⅱ. 토마스 오스본의 작품세계 10
1. 생애 및 작품 활동 10
2. 국악기를 사용한 작품 활동 11

Ⅲ. 의 구조 18
1 작품 개관 18
2. 악곡 분석 20
1) 조현법 20
2) 단락별 악곡 구조 21
(1) A 단락 25
(2) B 단락 27
(3) C 단락 30
(4) D 단락 31
(5) E 단락 33
(6) F 단락 34
(7) G 단락 38

Ⅳ. 의 음향학적
요소에 의한 연주법 40
1. 음고 40
1) 농현 41
2) 전성 42
3) 추성 43
4) 퇴성 45
5) 미분음 50
6) 주법의 결합 51
2. 음색 52
1) 현(弦)의 변경을 통한
동음 연주 53
2) 뜰 55
3) 하모닉스 56
4) 스르렁 57
5) 피치카토 59
6) 술대의 사용 61
3. 음가 - 트레몰로 63
4. 음량 – 줄 막음 주법 64

Ⅴ. 결론 66

■ 참고문헌 68
■ 부 록 72
■ Abstract 9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거문고-
dc.subject거문고 독주곡-
dc.subject토마스 오스본-
dc.subject해를 잡아매야-
dc.subject거문고 주법-
dc.subject.ddc780-
dc.title토마스 오스본 작곡 거문고 독주곡 분석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Composed by Thomas Osborn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음악대학 음악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contributor.major국악기악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31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31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