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Time in Painting : 회화 안의 시간: 들뢰즈의『감각의 논리』의 시간적 변조 개념 연구
Temporal Modulation in Deleuze's Francis Bac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수인

Advisor
Peter W. Milne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변조,시간감각,힘신체형상,들뢰즈,프랜시스 베이컨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미학과,2019. 8. Peter W. Milne.
Abstract
Can "time" be painted? In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Deleuze claims that Bacon's painting renders time by stating that, "Time itself is being painted." Yet, how is time "being painted" on a canvas that statically occupies a space? This claim seems to depart from ou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genre of art, more specifically a painting. We tend to think of paintings as stationary, and hence, we describe paintings of being more concerned with space and spatiality than with time, since time seems to imply movement and duration. Time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other artistic genres such as film, or dance, where the duration is more obvious. Then, how could we understand the Baconian temporality?
In Francis Bacon, Deleuze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of Bacons paintings, the field of monochromatic background, and the multicoloured Figures sitting or lying in it. And Deleuze says that the interaction of time works through the modulation of colour between these two areas. Deleuze here uses the word "Chronochromie," Colour of Time to describe the time painted in Bacon's canvases. None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onian modulation of colour, and time have not been yet closely examined. Accordingly, this thesis attempts to show that understanding the modulation is a critical link in grasping the time produced by the colour of time created by the interplay of the field and the Figure in Bacons canvases. To put it concretely, I argue that in the light of the Deleuzian modulation, we could understand the production of the time of sensation in Bacons canvases.
To this end, this thesis examines Deleuze's understanding of modulation.
In Francis Bacon, modulation is presented as a logic that successfully captures the finished Figure on canvases from the mere possibilities of the Figure. Deleuze states that this notion i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modulation to be found in the French philosopher Gilbert Simondon. By doing so, I clarify that the crystal could be an excellent example in that it reveal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ulation. That is, the temporal modulation is a creative process which allows the latent forces and materials to form the body in the present through the passage of time. This understanding of the modulation in the context of Francis Bacon is also consistent with the notion of modulation that Deleuze applies in his art theory in A Thousand Plateaus and The Fol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 modula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phenomenon of perceiving the colour and form of a visible body can be also regarded as the temporal modulation. This leads us to understand the rich communication from the light of the field to the colours of the Figure through the crystal, which divides light into colours. Following the discussion of the temporal modulation of the crystals discussed above, this thesis considers that the field represents the time of Aion and that the Figure represents the time of Chronos, and explores how these two temporalities relate and produce the time of the Figures sensation. This is possible by positively considering these two temporalities revealed in Logic of Sense and A Thousand Plateaus. Finally, I analyze how the time works through the modulation in the concrete paintings of Bacon.
This thesis,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temporality of Bacon's paintings, does not provide a comprehensive model that can be applied equally to Deleuze's theory of painting or his theory of art in general. However, given that the "temporality" of painting composed by the interaction of colours is not yet covered in the discussion of painting in general, this thes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temporality inherent in painting. Furthermore, this thesis can be a stepping stone to reconsider the time that can be uniquely captured in the plastic arts, which are regarded to be mostly static, such as sculptures and architectural works.
화폭 안에 시간이 담길 수 있을까? 본고는 들뢰즈의 저작『감각의 논리』에서 제시되는 시간적 변조(temporal modulation) 개념을 통해 회화 속에 시간이 포착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한다. 영국 현대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에 집중해 자신의 회화론과 예술론을 전개하는 이 저작에서 들뢰즈는 베이컨의 캔버스에 "시간 자체가 칠해진다"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예술 장르의 시간성에 대한 통상적인 이해에서 벗어나는 것처럼 보인다. 흘러가는 시간과 이에 따른 움직임이 명백히 감지되는 영화나 음악과 달리, 물감이 굳어있는 캔버스는 그대로 공간 속에 멈춰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들뢰즈가 말하는 베이컨의 회화 속 시간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감각의 논리』에서 들뢰즈는 베이컨 회화 속의 두 영역인 아플라(field) 즉 빛나는 단색의 배경, 그리고 그 안에 앉거나 누운 다색의 형상(Figure)이 서로 관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두 영역 사이에서의 색의 변조를 통해 시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들뢰즈는 이 두 색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변조에 의해 작동하는 시간을 시간의 색, 즉 "크로노크로미(Chronochromie)"라고 부른다. 들뢰즈가 이처럼 명시적으로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색의 변조, 그리고 시간성과의 연관은 면밀히 검토된 바가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고는 변조를 이해하는 것이 베이컨의 화폭에서 생성된 시간을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연결고리가 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들뢰즈의 변조 개념에 비추어 베이컨 화폭 속에서 감각이 생산되는 시간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변조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를 먼저 검토한다.『감각의 논리』에서 변조는 형상이 될 수 있는 수많은 가능성들로부터 현실적인 형상을 화폭에 성공적으로 포착해내는 논리로 제시된다. 그리고 들뢰즈는 이 변조 개념이 시몽동으로부터 연유한 것임을 언급한다. 그러나 들뢰즈는 어떤 의미에서 변조가 형상으로서 감각을 붙잡을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고는 시몽동이 변조의 범례로 제시한 "결정화(crystallization)"를 탐구하고, 결정체의 예시가 힘과 재료에 잠복했던 힘들을 계속적으로 예측불가능한 형태를 새롭게 만들어가는 창조적인 과정, 즉 변조의 시간적 특성을 탁월하게 보인다는 점을 밝힌다. 『감각의 논리』의 맥락에서의 변조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들뢰즈가 『천 개의 고원』,『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에서 자신의 예술론에 적용하는 변조 개념과도 상통한다. 이러한 시간적 변조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본고는 빛 안에 잠복한 힘을 늘 미세하게 달라지는 색으로 감각하게 함으로써 시각적 물체의 형태를 지각하게 해주는 현상 또한 시간적 변조로 볼 것으로 제안한다. 요컨대 마치 프리즘처럼 작동하는 결정체의 가장자리에서 일어나는 빛과 색 사이의 끊임없는 전이 과정 또한 시간적 변조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에 대한 이해는『시간-이미지』,『디알로그』에서 들뢰즈가 결정체를 통해 제공하는 시간의 작동에 대한 설명과도 맞물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감각의 논리』에서 빛의 아플라와 색의 형상 사이에서 일어나는 소통, 그리고 들뢰즈가 빛이 색들로 나누어지면서 발생한다고 묘사하는 베이컨 화폭 속 시간의 상호 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결정체의 시간적 변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본고는 아플라가 "아이온(Aion)"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리고 형상이 "크로노스(Chronos)"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한다. 그리고 이 두 시간의 영역 사이에서 어떻게 형상의 감각을 생산하는 시간이 포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것은 『의미의 논리』그리고 『천 개의 고원』에서 드러나는 이 두 시간 개념을 적극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가능하다. 마지막으로는 베이컨의 구체적인 회화 작품 속에서 어떻게 시간이 변조를 통해 작동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베이컨의 회화적 맥락에서의 시간적 변조 개념을 자세히 규명하고, 나아가 시간적인 색의 변조가 끊임없이 형상의 감각을 생산하는 논리를 이해할 수 있다.
베이컨의 회화 속의 시간성을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둔 이 글은 들뢰즈의 회화론 또는 예술론 전반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모델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색의 상호작용이 이루어내는 회화의 "시간성"이 전반적인 회화에 대한 논의에서 아직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본고는 회화에 내재한 고유한 시간성을 고려해보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회화 일반에서 나아가, 본고는 조각이나 건축 작품과 같이 주로 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조형 예술 속에도 시간성이 포착될 수 있음을 재고해볼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59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9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