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재이(災異) 분류와 재이론의 합리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종태-
dc.contributor.author이정림-
dc.date.accessioned2019-10-18T18:26:45Z-
dc.date.available2019-10-18T18:26:45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20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0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2019. 8. 임종태.-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8세기 조선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이 제시했던 재이론을 살핀다. 특히 그의 저작 『성호사설(星湖僿說)』의 기사를 중심으로, 그가 전통 재이론(災異論)의 한계를 인식한 뒤 재이의 원인과 성격을 새로이 규명한 논리와, 독특한 방식으로 재이를 분류한 점에 주목했다. 나아가 그가 재이가 일어났을 때 사회 구성원들이 취해야 할 행동 방침에 대해 어떤 관점을 제시했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재이론은 중종 대 이후 조선 조정의 정치적 논의에서 중요한 소재로 자리 잡았지만, 16세기 후반 이후 붕당의 영향으로 재이와 정치적 사건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경향이 늘어났다. 본 연구는, 이익이 재이와 인사의 일대일 대응을 비판하던 17세기 학자들의 연장선에서 있다고 바라보았다.
이익은 재이가 기수(氣數)의 변화에 의해 일어난다고 주장하면서, 정해진 기수는 천명(天命)의 영역으로 인간이 바꿀 수 없으므로 재이의 발생은 막을 수 없지만, 인간이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자신의 운명을 바꿔가는 조명(造命)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논리를 제시했다. 즉 재이의 발생은 액운(厄運)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액운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며 조심한다면 재이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이전의 재이론 전통과 달리, 재이를 하늘의 재이와 땅의 재이로 분류했다. 먼저 모든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문 현상은 하늘의 재이로 부르며, 분야설(分野說)에 따라 그 감응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국소적인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지표에서의 현상 혹은 기상현상은 땅의 재이로 부르며, 이는 그 지역에 가까울수록 감응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분류 체계의 도입에 대해, 본 연구는 서양 과학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 특히 서학서(西學書)를 통해 접했을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서 제시한 천상계-지상계 구분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라 추측했다.
이익에게 재이의 분류는, 재이가 일어났을 때 조심해야 할 지역의 범위와 재이가 끼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열쇠였다. 이러한 재이의 재구성과 재이의 분류는 재이의 책임이라는 문제로 확장된다. 이익은 재이가 일어났을 때, 국왕뿐 아니라 재상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조정의 범위 밖으로까지 확대되어, 지역의 군자(君子)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논리로 이어졌다. 재이에 책임을 지며 덕을 닦고, 자신의 운명을 바꾸어가면서 피해를 줄이도록 노력하여 조명해야 한다고 바라본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theory of portents proposed by Yi Ik in the 18th century Joseon, and especially focuses on how he investigated the cause and feature of newly classified portents in his collection of jottings, titled the Fragmented Essays of Master Seongho(星湖僿說). This paper also considers Yi Ik's argument about how people should react when portents occurs.
Although the theory of portents became one of the main topics in political issues of Joseon after the Jungjong Restoration(中宗反正), the tendency of one-on-one correlation between portents and events in human society increased after the late 16th century as conflicts between the Bungdang(朋黨) intensified. This paper suggests that Yi Ik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of the Joseon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which criticized the one-on-one correlation between portents and events in human society.
Yi Ik argued that portents occurred by change of gisu(氣數), and humans cannot prevent a portent from occurring as change of gisu is a matter of Heaven's will(天命). However, Yi Ik develop an argument that it is possible for humans to cope actively with the occurrence of portents and to change their own destiny, namely, Jomyeong(造命). Arguing that occurrence of portents means the possibility of an encounter with akeun(厄運), Yi Ik emphasized one's careful effort to evade in which aekun could decrease damage from portents.
Furthermore, unlike previous tradition of the theory of portents, Yi Ik classified the portents into those occurring in heaven and on earth in order to elaborate a system of correspondence between portents and human societies. First, Yi Ik classified astronomical portents that could be observed globally as portents of heaven. He then proposed an elaborate Theory of Field Allocation(分野) by which to measure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heavenly portent and the localities on the globe. On the other hand, what Yi Ik classified terrestrial portents and atmospheric portents as portents of earth, could be observable only in a locality and thus, corresponded to only that place. This paper argued that his introduction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might have been affected by an encounter with Western science, especially Aristotle's dividing universe into celestial spheres and terrestrial spheres, which Yi Ik might have encountered through Western learning books.
Reconstruction and classification of portents extend to matters of responsibility for portents. Yi Ik argued that not only the king, but also the chancellor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occurrence of portents. This extended out of the court, and developed an argument for the responsibility of local kunza(君子). Yi Ik thought that kunza should cultivate virtue by taking responsibility for portents that occurred around them, and should make an effort to decrease damage from the portents, which led them to mold their own destiny, namely, jomyeo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2. 재이론의 위기에 대한 이익의 진단 10
2.1. 재이론의 역사와 이익의 재이론 진단 10
2.2. 이익의 조명론(造命論) 18

3. 이익의 재이 정의(定義)와 조명론의 적용 23

4. 이익의 재이 분류 31
4.1. 하늘의 재이와 땅의 재이 31
4.2. 이익 재이론에서 서양 과학의 영향 40

5. 재이론과 사대부의 책임 53

6. 결론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익-
dc.subject성호사설-
dc.subject재이-
dc.subject기수-
dc.subject조명론-
dc.subject서학-
dc.subject.ddc501-
dc.title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재이(災異) 분류와 재이론의 합리화-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20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20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