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통비용 변화에 따른 후생 영향 분석: 전 도시의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 A Welfare Analysis of Changes in Transportation Cos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은선

Advisor
김성수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후생 영향 분석교통비용 변화AIDS 수요모형탄력성근로자/자영업자가구소득계층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2019. 8. 김성수.
Abstract
The paradigm of traffic policy changes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traffic technology. As the traffic paradigm changes, major policies change, but the policies that are implemented are policies to manage demand by raising the cost of time and money mainly such as traffic inducement fee and congestion toll. This will affect the spending of the people as the price of the goods or services is changed. Especially, items with a high ratio of spending to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such as transportation, have a greater impact on household economic changes. Consumption expenditure items have a mutually inherent 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see any consumption items as neutral. Therefore, if the analysis of expenditure data is used to analyze changes in demand according to prices, it can be concluded that more realistic results reflecting not only the expenditure items but actual consumption patterns can be deriv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welfare effects of car and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ice changes using the household expenditure data. We estimate price elasticity by means of Almost Ideal Demand system(AIDS) and estimates welfare effects using the concept of compensation change. The analysis targets the households of two or more people in the whole city in spatially, and the modeling and analysis are carried out by dividing the households into three groups of workers / self-employed and three income groups, taking into account the expenditure share by means. In terms of time, it is selected from 2006 to 2016, and there is a big change in the transportation cost during the period, and it is analyzed based on the change. Therefor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e period from 2006 to 2012, in which the price index increases, and the period from 2012 to 2016, when the price index chang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elfare effect due to the change of the transportation cost is basically proportional to the ratio of spending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price to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f the household. Self-employed household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spending on car, is greatly affected by the welfare effects of car and in workers households the welfare effect of public transport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lf-employed households. Hierarchically, high-income households have a high proportion of spending on car, so they are highly affected by welfare by cars. Low-income households are more affected by welfare effects of public transportation. Also, according to the price fluctuation, when the price is raised, the rate of welfare change due to 1% fluctuation of the price is smaller than when the price is lowere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welfare is restored a little faster when the price is lower than the welfare loss due to the price increase.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traffic as essential material and the constraints on the choice of means.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case of a policy that changes the transportation cost in establishing the transportation policy, various mean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because it changes organically with other means. The effect of changes in transportation costs on income levels varies considerably. In particular, if the policy is expected to lead to a large welfare loss for low-income earners, policy implementation and suppor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as well.
교통정책의 패러다임은 경제와 교통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된다. 이와 같은 교통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주요 시책은 변하지만 실시되는 정책들은 교통유발부담금, 혼잡통행료 등과 같이 주로 시간 및 금전비용을 상승시킴으로 수요를 관리하는 정책이다. 이는 정책시행에 따라 관련 재화 또는 서비스의 가격이 변하면서 국민들의 지출도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교통과 같이 총 소비지출 대비 지출비율이 높은 항목의 경우 가계의 경제적 변화에 더 큰 영향을 일으킨다. 또한 소비지출 항목들은 상호 내재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어떠한 소비항목도 중립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가격에 따른 수요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면, 지출항목간 관계뿐만 아니라 실제 소비행태를 반영된 좀 더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구지출 자료를 이용하여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가격변화에 따른 후생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준이상수요모형(AIDS)으로 수단별 가격탄력성을 구하며, 이를 통하여 보상변화 개념을 활용한 후생 영향을 추정한다. 분석 대상은 공간적으로는 전 도시의 2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수단별 지출비중을 고려하여 근로자/자영업자 가구와 세 개의 소득계층으로 구분하여 모형 구축 및 분석을 수행한다. 시간적으로는 2006년부터 2016년으로 선정하며, 대상기간 동안 교통비용에 큰 변화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따라서 전체 기간인 2006년~2016년과 물가지수 변동이 크게 바뀌는 2012년을 기준으로 물가지수가

증가하는 2006년~2012년, 물가지수가 감소하는 2012년~2016년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로 교통비용 변화에 따른 후생 영향은 기본적으로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해 수단별 지출비중과 물가변동율과 비례한 비율로 발생한다. 승용차 지출비중이 높은 자영업자 가구에서 승용차에 의한 후생 영향을, 근로자 가구는 자영업자 가구에 비하여 대중교통에 의한 후생 영향을 크게 받는다. 계층적으로는 고소득 가구일수록 승용차의 지출비중이 높으므로, 승용차에 의한 후생 영향을 많이 받으며, 저소득 가구일수록 대중교통에 의한 후생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물가변동에 따라 살펴보면 가격이 인상될 때는 물가 1% 변동에 따른 후생 변동률은 가격이 인하될 때보다 작다. 즉 가격인상으로 인한 후생 손실보다, 인하될 때 약간 빠르게 후생이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교통이 필수재 성격을 띄며, 수단선택에 있는 제약 등으로 이와 같은 차이를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교통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교통비용을 변화시키는 정책일 경우, 다른 수단과 유기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여러 수단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교통비용의 변경을 통한 정책은 소득계층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저소득층에게 큰 후생손실이 예상되는 정책이라면, 정책시행과 함께 지원정책도 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1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9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