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구 해운대역 산업유산 공원화 계획 : A Plan for the Park of Industrial Heritage on Haeundae Scrapped St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호

Advisor
성종상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산업유산공원화 계획동해남부선 구 해운대역도시공원해운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2019. 8. 성종상.
Abstract
In modern time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pread of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have lost their function and are left as scrapped facilities.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industrial aesthetics and new aesthetic for scrapped industrial facilities, the facilities of the past industrialization are being reinterpreted as heritage. Among the industri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such as urban infrastructure, have a great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The creation of cultural facilities with new functions for these industrial facilities has become a way to faithfully reflect the diversity and diversity that the culture and arts sectors are seeking. These industrial facilities have played a role as roots for urbanization and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y are being rebuilt as a facility for residents in the center of an expanding city and supplying culture to the residents.
The area of this study is Haeundae Station, which is one station on The Donghae Nambu Line. The Donghae Nambu Line is a railway facility built to exploit the resources of the East Coast area into the Busan Po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existing railway facilities remain scrapped facilities due to the double line between Songjeong Station and BEXCO Station. A new facility has been established except for the Haeundae Station station site. Therefore, this study plan for the park of industrial heritage with the potential resources that Haeundae Station has.
The analysis of the site was conducted in four directions. The first includes the status, location,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ite. The site was famous as a hot spring town and a white sand beach since the Silla Dynasty. Haeundae Station was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became a famous sightseeing spot. At that time, residents of Haeundae performed commercial activities for Japanese tourists on a pedestrian walkway across the railway station. After the Korean War, a shanty town was built around the railway station of Busan, which was the evacuation city, and resident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near the Haeundae Station by the refugees. A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the armistice, legislation to bind the land ownership and development rights of individuals was legislated, and the residential facilities adjacent to Haeundae Station were recognized as illegal buildings and remain as abandoned facilities until now. In 1970s, a fence has been built at the border of Haeundae Station for safety reasons, and a pedestrian crossing across the railway station has been prohibited and a buffer planting area has been created to prevent the spread of noise and air pollution. Until it was closed, Haeundae Station had a lot of impacts on Haeundae to grow as a tourism city. The South side between Haeundae Station and Haeundae Beach, was developed at a high density, but on the other side, the North side remained a dwelling place with severe aging. This is because the Haeundae Station was disconnected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Recently, a line connecting Haeundae Station, which has been closed, has been restored, and a part of the north side complex has been remodeled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being restored.
Second, traffic and parking facilities near the site were surveyed. Busan Urban Railway Line 2 Haeundae Station is passing near the site and bus transfer cent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site. The floating population was dominated by students, workers and visitors. In order to go to and from school at 7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the north side of the case, the worker was to go from a residential facility located on the north side to a commercial facility located on the south side or to visit a commercial facility located on the south side. Visit the neighborhood. In the case of parking spaces, the parking facilities in the South were well-equipped, but the north side was not able to do so, and illegal parking frequently occurred on the shoulder near the destination.
Third, facilities and programs near the site were investigated. Haeundae is a global tourist destination, and mega events are held annually at Guamno Road, which is a wide walkway connecting Haeundae Beach with the site. Due to this, commercial facilities were developed at a high density in the South, but the North was severed by Haeundae Station and the aging process was advanced. Recently, however, a walking commuter line has been established across the Haeundae Station to build a local commercial district.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near Haeundae Station were investigated. Haeundae Station has a lot of floating population compared to residents, and most of them visited the nearby commercial faciliti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t population. Most of the visitors visited the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South, and most of them finished the sightseeing at Haeundae Beach and Guam Road. Lastly,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residents in the previous study show that the demand for the park is high.
Therefore, this study has planned the park with the concept of connection between disjointed regions, past history of the past and modern connection, and connection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First, we will restor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wo areas and exp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South to the north side, to be reborn as a charming sightseeing city, and plan to become a neighborhood park where local residents can enjoy. The existing Woo-1 Dong Neighborhood Park is a living-type neighboring park that does not fulfill its conditions and functions. It i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and is inconvenient to access.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park that was planned on the opposite side. Therefore, the target area should be constructed as a walk-in neighborhood park, so that residents of Woo-1-dong area can approach within walking distance. Next, I want to give them a theme through the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of the site and the historical story of the site in the past. It consists largely of theme spaces divided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the industrialization era, and the modern era. Finally, we have created community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for visitors to enjoy. However, the facility was designed as a space where small events can be complemented with mega events held at nearby Haeundae Beach and Guam Lo. Therefore, a functional space was divided into a square facility, a connection facility, and a community facility.
Through this project, this study hopes to create a city park that the residents of Woo-dong could not enjoy nearby. Through this, it is aimed to promote the physical strength and emotions of the residents and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occurs. Next, this study would like to promote the prosperity of Haridan-road Development Council and Haridan-road through the recovery of disconnection in one area. Haridan-road is a residential complex adjacent to the Haeundae Station in the past, but it is a commercial complex formed by local residents because of deregulation and improved accessibility through the crossing roads of Haeundae Station. Therefore, we want to attract the high tourist demand of the South and promote the commercial complex and growth of the local economy. Finally, we want to make Haeundae 's modern and modern history as a space to keep. Woo-dong was the center of life for diligent people who have lived in providing commercial services to visitors based on the tourism resources that have been famous since the time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Woo 1-dong serves Japanese touris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domestic tourists since the 1970s, and tourists from around the world since the late 00s. During the Korean War, it is a space that has embraced refugees and it still retains its traces. I hope that this trail will be preserved and it will be able to give good influence to residents, students and workers in the future.
The firs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evelopment plan to commercial facility that landowner wants isnt fully considerd. However, the fact that the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prefer to park in the park and that the top plan, 2030 Busan Metropolitan City Park Green Area General Plan, established a plan to park of the site, and that two urban parks planned near the city park were not parked Considering the points, I promoted the park planning. It also has a second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fully examine other functional facilities that can bring better socio-economic effects to the area.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s a plan of the park, focusing on the promotion to create a healthy society through providing basic facilities that residents should deserve to use.
현대에 들어서 산업구조의 변화와 도시의 확산으로 산업시설들이 본 기능을 잃고 유휴시설로 남겨지며 도시문제가 발생해 왔다. 이에 유휴 산업시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산업 미학의 등장으로 과거 산업화의 시설들이 유산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산업시설 중 도시 인프라시설과 같이 지역 경제의 근간이 되어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산업시설은 지역사회로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이러한 산업시설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능의 문화시설로 조성하는 것은 문화·예술 분야가 지향하는 다원성과 다양성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이 되었다. 이 산업시설들은 일대에서 도시화를 이끌어낸 뿌리의 역할을 했고, 그 팽창한 도시의 중심부에서 주민들을 위한 시설로 재조성되어 문화를 공급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동해남부선의 한 정거장인 해운대역이다. 동해남부선은 일제강점기에 동해안의 자원을 부산항으로 수탈하기 위해 조성된 철도시설로 송정역~벡스코역 구간이 복선화되어 기존의 철도시설이 폐쇄되었다. 현재 이 유휴시설은 새로운 시설로 조성되었으나 해운대역 정거장 부지는 아직 유휴시설로 남아있다. 이에 해운대역이 산업유산으로서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공원화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상지 분석은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대상지의 현황 및 입지와 역사 및 개발 과정을 알아보았다. 대상지는 신라 시대부터 온천과 백사장으로 유명했던 관광지로서 일제강점기에 해운대역이 설치되면서 유명한 관광지로 부상했다. 당시 해운대 주민들은 기차역을 가로질러 다니는 보행길에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상업행위를 했으며 당시의 보행로 흔적이 필지 유형으로 남겨져 있다. 이후 한국전쟁이 일어나 피난 도시였던 부산의 기차역을 중심으로 판자촌이 형성되었으며 해운대역 인근에도 피난민들에 의해 주거시설이 조성되었다. 휴전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개인의 토지소유권과 개발권이 결속되어야 하는 법안이 마련됨에 따라 해운대역에 인접한 주거시설은 불법건축물로 인정되어 현재까지 유휴시설로 남겨져 있다. 근래에 이르러 안전상의 이유로 해운대역의 경계부에 울타리가 조성되어 기차역을 가로지르는 도보가 가로막히고 소음과 대기오염원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완충식재대가 조성되었다. 이후 폐쇄될 때까지 해운대역은 해운대가 관광도시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해운대역을 기준으로 해운대해수욕장 방면인 남측지역은 고밀도로 개발이 되었으나 반대로 북측은 노후화가 심한 주거지로 남아있다. 이는 해운대역이 남북을 단절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최근 폐쇄된 해운대역을 가로지르는 동선이 마련되면서 북측 단지의 일부가 개축되어 상업시설이 조성되는 등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단절성의 회복이 더욱 절실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대상지 인근의 교통 및 주차시설을 조사하였다. 대상지 인근에 부산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이 지나고 있으며 버스 환승장이 대상지 앞에 있다. 유동인구는 학생, 근로자, 방문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학생은 북측에 있는 7개의 초중고등학교에 등하교하기 위해서, 근로자는 북측에 있는 주거시설로부터 출근하거나 외부에서 해운대역 남측의 상업시설로 출근하기 위해서였고, 방문객의 경우 남측에 있는 관광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 대상지 인근을 방문한다. 주차공간의 경우 남측은 주차시설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으나 북측은 그렇지 못해 대상지 인근 갓길에 불법주차가 빈번히 발생했다.
세 번째로 대상지 인근의 시설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해운대는 글로벌 관광지로서 대상지와 해운대해수욕장을 잇는 넓은 보행로인 구남로에서 매년 메가 이벤트가 열리고 있다. 이로 인해 남측에는 높은 밀도로 개발된 상업시설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북측의 경우 해운대역에 의해 단절되어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였다. 다만 해운대역을 가로지르는 보행 동선이 마련되어 로컬상업지구가 조성되고 있으며 최근 조합원이 마련되어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네 번째로 해운대역 인근 인구특성을 조사하였다. 해운대역은 거주민에 비하여 많은 유동인구를 보이며 이들 대부분이 인근 상업시설에 방문함을 통해 유출입 인구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인근 지역 이용자 이용행태는 많은 방문객이 남측에 있는 상업시설만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해운대해수욕장 및 구남로에서 관광을 마치고 돌아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대상지의 공원화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절된 지역 간의 연결, 지난날의 역사와 현대의 연결, 주민 간·주민과 방문객 간의 연결을 컨셉으로 공원을 계획하였다. 먼저 남북 간의 연결성을 회복하여 남측의 긍정적인 효과를 북측으로 확장하여 매력적인 관광도시로 거듭나도록 도모하며 인근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근린공원으로 계획하고자 한다. 기존에 있는 우1동의 근린공원은 생활형 근린공원으로 그 조건과 기능을 하고 있지 않으며 변두리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불편하며 반대편에 계획되었던 공원은 실현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대상지를 도보권 근린공원으로 조성하여 우1동 일대의 주민들이 도보권 내에서 접근하도록 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산업유산의 가치와 지난날 대상지에 있었던 역사적 이야기를 통해 테마를 부여하고자 한다. 크게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 시대, 현대로 나눈 테마 공간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주민 간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과 방문객이 즐길 수 있는 문화시설을 조성하였다. 다만 이 시설의 경우 인근 해운대해수욕장과 구남로에서 개최되는 메가 이벤트와 상호보완되는 소규모의 다양한 이벤트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광장 시설, 연결로 시설, 커뮤니티 시설로 나누어 기능 공간을 조성하였다.
본 연구의 해운대역 산업유산 공원화를 통해 우1동 주민들이 그동안 인근에서 누릴 수 없었던 도시공원을 조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체력 증진과 정서 함양을 도모하고 나아가 이용자들 간의 소통이 발생하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일대의 단절성 회복을 통해 해리단길 발전 협의회와 해리단길의 번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해리단길은 과거 해운대역에 인접한 주거단지였으나 규제 완화 및 해운대역의 횡단 도로 설치를 통한 접근성 향상으로 지역 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상업 단지다. 따라서 남측의 높은 관광수요를 이끌어와 상업 단지의 활성화와 지역경제의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해운대의 근현대역사를 간직한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우1동은 남북국시대부터 유명했던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방문객들을 상대로 상업서비스를 제공하며 살아온 근면한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었다. 우1동은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관광객을, 70년대 이후로는 내국인 관광객을, 00년대 이후로는 전 세계로부터 이곳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피난민을 포용한 공간이며 그 흔적을 아직 대상지에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흔적을 보전하여 앞으로 우1동의 거주민과 학생, 근로자들에게 선한 영향을 전해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토지소유주가 상업시설로 개발하고자 하는 방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다는 데에 첫 번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주민과 지자체에서 공원화를 선호하고 있다는 점과 상위계획인 2030 부산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에서 대상지를 공원화로 계획을 수립했다는 점, 도시공원일몰제로 인근에 계획되었던 도시공원 2개소가 공원화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원화 계획을 추진했다. 또한, 공원 이외에 일대에 더 좋은 사회·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다른 기능시설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두 번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상지 일대 주민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삶을 위한 시설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사회를 조성하도록 도모함에 초점을 맞추어 공원화를 추진 및 공원 계획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3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